• 제목/요약/키워드: Fit preference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6초

조건부 로짓함수를 이용한 경관선호 모델: 지리산 국립공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Formulating the Landscape Preference Model Using a Mixed Conditional Logit)

  • 이덕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768-777
    • /
    • 2006
  • 이 연구는 지리산 국립공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경관선호 모델을 형성하기 위하여, 지리산 경관과 영국의 케이른고럼스 경관의 선택적 상황에서 경관선호를 결정하게 하는 요소로서 시각적 경관 요소와 더불어 경관자체의 효과를 검증하는 조건부 로짓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택적 상황에 따른 경관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지리산 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에 대하여 영국의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의 경관사진과 지리산 경관사진을 쌍체로 배열한 사진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시각적 경관의 구성요소는 디지털사진측정의 과정을 거쳐 상호 수직적인 주요인들로 축약되어, 모델의 설명변수로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 시각적 경관의 구성요소만으로 형성되는 일반조건부로짓모델은 비유관대안도립성(IIA)의 가정을 충족하지 못하고, 모델의 설명력이 낮게 나타났다(${\rho}^2=0.06$). 반면, 대안특성상수(ASC)로서 표현되는 경관자체의 효과를 포함하는 혼합조건부로짓모델은 비유관대안독립성(IIA)의 가정을 충족하였고, 모델의 적합성 또한 양호하게 나타났다(${\rho}^2=0.25$). 이는 경관선호모델에 있어서 선호의 요인으로써 시각적 경관의 구성요소 뿐만 아니라, 경관자체의 효과를 포함하는 혼합조건부로짓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해석된다.

대학생의 선호직업유형이 확증편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 Preference Job Type on Confirmation Bias)

  • 노선희;김기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69-178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선호 직업 유형이 진로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역할을 검증하고, 그 과정에서 확증편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7년 6월 20일부터 7월 9일까지 20일 동안 3회에 걸쳐 수도권 소재의 대학교 남녀 재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 중 사례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로부터 얻은 자료에서 분석한 결과는 선호 직업 유형, 진로 적성과 상관없이 개인별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대부분 직업 진로에 대해 확증편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확증편향적 사고는 연구 참여자들의 심리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사회적 인식이 반영된 틀 속에 자신을 맞추려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시사점은 선호 직업 유형이 전공에 대한 선택에 영향을 미치며, 확증편향은 취업과 직업 탐색에 방해 요소가 되기도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과 개인별 직업 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바르게 정립되도록 진로 교육과 교육 환경 및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정다산(丁茶山)의 성기호설(性嗜好說)에 대한 주자학적(朱子學的) 반론(反論) (A Critical Review on Jeong Yakyong's Preference Theory of Human Nature)

  • 이상익
    • 한국철학논집
    • /
    • 제29호
    • /
    • pp.55-88
    • /
    • 2010
  •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은 '맹자(孔孟)의 전통을 복원하겠다'는 취지 아래 성리학(性理學)의 해체를 감행하였다. 다산은 태극(太極)과 이(理)의 위상도 격하하고, 성즉리(性卽理)라는 명제도 부정하였다. 다산은 성(性)은 '마음의 기호(嗜好)'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따라서 인간의 본체는 '성(性)'이 아니라 '마음'이라고 주장하였다. 사람의 마음은 선(善)도 행할 수 있고 악(惡)도 행할 수 있는 자주적 존재이거니와, 다산은 상제(上帝)에 대한 신앙을 복원시킴으로써 마음을 선(善)으로 유도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성리학(性理學)의 주요 개념이나 명제들 역시 충분한 경전적 근거를 지니고 있는 것이었다. 또 다산의 주요 개념이나 명제들이 반드시 고경(古經)의 원의와 부합하는 것이라고 단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니었다. 게다가 다산의 성기호설(性嗜好說)은 중대한 모순과 하자를 지니고 있었다. 이렇게 본다면, 다산학이 성리학을 초극(超克)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겠다.

선호 심볼 디자인에 대한 심미적 영향 요소의 관계 연구 - 한국 심볼 디자인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Aesthetic Elements on Affect Symbol Design - Focused on the Korean Symbol Design -)

  • 김은주;홍정표;홍찬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21-128
    • /
    • 2006
  • 심볼 디자인에 있어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요소는 주로 소비자 반응요소와 디자인의 심미적 영향 요소와 연관이 있다. 이것은 디자인의 심미적 영향요소가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주고 그것은 실질적인 선호도 차이를 통해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심볼 디자인에서 소비자들에게 선호를 불러일으키는 심미적 영향요소가 무엇인지 사례연구를 통해 조사하였다. 사례연구결과에 따르면, 심볼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는 심미적 영향요소 중 율동, 균형, 조화, 정교성, 곡선, 게쉬탈트, 유기성, 인공성/자연성 등이 높을수록 높았다. 그와 비교해, 단순성/복잡성, 사실성/추상성, 깊이, 대칭 등은 높거나 낮지 않은 적정한 수준으로, 그리고 비례와 요소들의 반복성은 낮은 수준으로 디자인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높은 선호도를 보인 심볼 디자인은 자연물에서 온 형태, 전통문양에서 온 형태들로 나타났으며, 낮은 선호도를 보인 심볼 디자인은 기하학적 도형에서 온 형태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 선호도에 맞는 심볼 디자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 범위상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 중 선호도(Affect)만을 고려하였으며, 색채와 재질 등의 특성들은 배제하고 형태적인 측면만을 고려하였다.

  • PDF

60~79세 노년 여성의 슬랙스 구입 현황 및 착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Slacks Purchase Realities and Wearing Satisfaction Focused on Old-Aged Women)

  • 이정진;서미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3호
    • /
    • pp.541-549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slacks purchases and wearing satisfaction among old-aged women who were highly dissatisfied with their bodies and fit due to physical changes and to provide some basic data needed to develop slacks patterns to meet their needs. A survey was taken among 223 old-aged women aged 60~79 living in Seoul.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crosstab.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 most used place for them to shop slacks was a market(including the Dongdaemun and Namdaemun market), which was followed by a department store and a discount store in the order. As for their preference for slacks according to age, those who were in their sixties most preferred straight-line slacks, while those who were in their seventies semistraight-type slacks. As for fit for each body part according to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crotch length. Those who were in their seventies were more dissatisfied with crotch length than those who were in their sixties, feeling that crotch length was short. As for their experiences of repair after purchasing a pair of slacks, 82.5% said they had such an experience. Most of the repairs with length, waist and slacks width involved in size reduction.

유행관여에 따른 여성기성복 상표이미지 포지셔닝 연구 -20대 직장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Brand Image Positioning for Ladies' Ready-to wear According to Fashion Involvement - As Object of working women)

  • 박혜원;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3-403
    • /
    • 1992
  •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positioning strategies of brand Image for ladies' ready to wear by analysing the perceptual dimensions of working women. The subjects were de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fashion involvement, and in each group, a positioning map was composed by use of multidimensional scaling. 251 subjects of this study were gathered into stratified sample groups from working women in Seoul, being subdivided according to their each occupation and age. The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x^{2}-test$, 1-test,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lso, KYST, PROFIT, PREFMAP for multidimensional scaling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wo group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degree of fashion involvement: high-involvement group, and low-involvement group. 2. From the analysis of the similarity of brand image, high involvement group percieved greater difference in brand image than low involvement group. 3. From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of brand attributes, the evaluations in self expression, fashionability, design, sales promotion activity, sociality, quality, fit showed differences bet-ween high involvement group and low involvement group. 4. From the analysis of the preference of brand image, the distribution of preference and ideal point were different between high involvement group and low involvement group.

  • PDF

피부질환자의 니트웨어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Knitwears of Dermatitis Patients)

  • 공진희;권영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023-1035
    • /
    • 2008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find out dermatitis patients' preferred garment performance and their sentiment in spring/summer knitwears. SPSS 12.0 program was used for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Duncan test.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in garments, patients required 'health hygiene', 'practicality in use care', 'skin contact' and 'easy movement'. Especially, 'skin contact' is an important property to be considered in patients' clothes. Second, in garment sensitivity, patients importantly considered 'modesty', 'feminine', 'boldness', 'decency', 'easy movement', 'youth', and 'simplicity'. Third, patients preferred simple and modest plain knitwear in light color with thin and soft fabric such as plain knit. And especially, dot pattern in knitwears should be avoided. Fourth, the preferred style of patients was that 'appropriately fit with suitable ease.' They also preferred 'front closed,' ; 'boat neckline' and 'V neckline'; 'raglan sleeve' and 'set-in sleeve'. For hem trim, they preferred 'rib'. Male preferred simple and plain style with round collar of 'tubular trim' and 'rib trim', while female preferred sophisticated and characteristic style with setin sleeve.

푸드 색채 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sitivity of Food Color)

  • 김지영;나정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85-394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timulate the satisfaction on food color sensitivity through objectifying the color sensitivities on customer's foods. The preference analysis on food sensitivity adjectives is measured on 5-point scale by preferring degree on each adjectives. And it is calculated on the sensitivities for the SD method that is used for finding whether it is strong or not on food image stimulus which was photographed on the 8 restaurants in Seoul. We found the outcome as follows. The most preferred sensitivity adjective is 'cleanness', and the worst preferred one is 'unshapliness'. It is differed on genders by $95\%$ confidence interval. The attractiveness, simplicity, richness, comfort and elegance are derived from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food color sensitivity. The yellow or orange color foods are main one for the simplicity and comfort. The orange color food are fit on richness and elegance factor, and it will be most effective if choosing the color more similar to brown one.

사무실 의자의 인간공학적 디자인 (Ergonomic Design of Office Chair)

  • 곽원모;홍성수;정석길;이상도;이동춘;윤훈용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73-80
    • /
    • 1999
  • 국내의 의자 개발은 선진외국의 인체치수 및 설계기준에 의한 디자인으로 인해 많은 사용자가 작업 수행도는 물론, 허리, 목, 어깨 통증에 대한 호소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체격의 사용자가 무리없는 자세로 사무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선 사무용의자의 각종치수에 대한 인간공학적 설계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성인 인체측정자료를 바탕으로 선 연구의 설계지침을 이용하여 설계권장치수를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피실험자들을 측정하여, 선호치수를 구하였고, 그것과 설계지침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사무용의자들과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절가능한 의자를 사용하여, 안락감과 신체불편도를 평가하였으며, 각 설계치수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좌면의 높이가 높으면 허벅지에 영향을 미치고, 등받침대 폭, 높이, 각도는 어깨, 목, 허리에 피로를 가져다준다.본 연구실험결과 한국인을위한 사무용의자의 좌면 높이 권장치수는 고정식일때 425mm, 조절식일때 365-484mm를 추천한다. 그 외 설계권장치수는 논문에 제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인간공학적 설계권장치수는 결론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범위를 제공하므로 설계분야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되리라 본다.

  • PDF

남녀 중고등학생 교복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ddle and High School Boys' and Girls' Uniform Wearing Conditions)

  • 현은경;강명희;남윤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190-1201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middle and high school boys' and girls' uniform wearing condi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data were obtained from 907 middle and high school boys and gir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boys and girls did not know their body sizes other than their height and weight. Second, when purchasing the school uniforms, over 70% of the boys and girls chose to try on the uniforms before their purchase and over 60% of the boys and girls had trouble selecting their sizes just by reading the labels. Third, both boys and girls considered the fi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purchasing jackets, both middle and high school boys considered the shoulder width as most important. Middle school girls considered the jacket and sleeve length as most important, whereas high school girls considered the shoulder width, waist, and bust as most important. When purchasing skirts or slacks, waist girth was considered as most important. Fourth, boys repurchased more school uniforms than girls. Boys have outgrown their uniforms usually in the length categories, whereas girls have outgrown in the girth categories. Fifth, more girls(72.7%) modified their uniforms than the boys(56.8%). Boys usually bought bigger uniforms, modified them to fit and when they grow out of their uniforms they planned to modify their uniforms again whereas girls modified their uniforms to follow the trend. Sixth, the online shopping mall survey has revealed that both boys and girls liked the idea of 3D model that reflect their own body shapes, but they had low preference to purchase school uniforms online. Online purchase has been more attractive to the boys than to the girls, while the way of fashioning uniforms has been more attractive to the girls than to the bo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