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ritical Review on Jeong Yakyong's Preference Theory of Human Nature

정다산(丁茶山)의 성기호설(性嗜好說)에 대한 주자학적(朱子學的) 반론(反論)

  • Received : 2010.05.10
  • Accepted : 2010.06.0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Jeong Yakyong deconstructs the Li theory of human nature in order to restore the original tradition of Confucius and Mencius. He downgrades theoretical statuses of Taeguk(ultimate pole) and Li, and denies truth values of the sameness premise of human nature and Li. He argues that human nature must be non other than mind's preference, and thus that human substance must not be human nature, but mind. Since mind can do good things as well as bad things, he tries to lead mind to do good things by way of restoring a primitive worship for Sangje(heavenly emperor). However, his major concepts and premises do not fit with original meanings of old confucian biblical books. Futhermore, his preference theory of human nature contains many contradictions and errors. Thus, his theory could not be evaluated as one which had transcended the Li theory of human nature.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은 '맹자(孔孟)의 전통을 복원하겠다'는 취지 아래 성리학(性理學)의 해체를 감행하였다. 다산은 태극(太極)과 이(理)의 위상도 격하하고, 성즉리(性卽理)라는 명제도 부정하였다. 다산은 성(性)은 '마음의 기호(嗜好)'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따라서 인간의 본체는 '성(性)'이 아니라 '마음'이라고 주장하였다. 사람의 마음은 선(善)도 행할 수 있고 악(惡)도 행할 수 있는 자주적 존재이거니와, 다산은 상제(上帝)에 대한 신앙을 복원시킴으로써 마음을 선(善)으로 유도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성리학(性理學)의 주요 개념이나 명제들 역시 충분한 경전적 근거를 지니고 있는 것이었다. 또 다산의 주요 개념이나 명제들이 반드시 고경(古經)의 원의와 부합하는 것이라고 단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니었다. 게다가 다산의 성기호설(性嗜好說)은 중대한 모순과 하자를 지니고 있었다. 이렇게 본다면, 다산학이 성리학을 초극(超克)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겠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0년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