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Aesthetic Elements on Affect Symbol Design - Focused on the Korean Symbol Design -

선호 심볼 디자인에 대한 심미적 영향 요소의 관계 연구 - 한국 심볼 디자인을 중심으로 -

  • 김은주 (전북대학교 디자인제조공학과) ;
  • 홍정표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 홍찬석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Published : 2006.05.31

Abstract

The elements to enhance preference in symbol design are mainly related to consumers' response and aesthetic elements. Because certain aesthetic elements in design affect consumers' response and it is actually presented through (the different level of) preference. This study through surveying case studies examines whether a certain aesthetic element in symbol design gives rise to much prefere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high preference in symbolic design depends on high level of Rhythm, Balance, Harmony, Elaboration, Round, Gestalt, Organic, and Artificial/Natural among aesthetic elements. In comparison, it is founded that Simplicity/complexity, Objective/Abstract, depth, and symmetry should be designed at the moderate level, and proportion, repetition of elements be at the low level. Additionally(or Besides) this study makes out that symbol design cases with high preference have shapes from natural material or patterns of traditional culture, while cases with low preference have shapes from geometric figur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guideline of symbol design could De offered(or suggested) to fit preference of consumers. But, this study is mostly concerned with only affect among emotional reactions of consumer in a scope of study, and is considered only in the aspect of form excluding color and texture.

심볼 디자인에 있어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요소는 주로 소비자 반응요소와 디자인의 심미적 영향 요소와 연관이 있다. 이것은 디자인의 심미적 영향요소가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주고 그것은 실질적인 선호도 차이를 통해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심볼 디자인에서 소비자들에게 선호를 불러일으키는 심미적 영향요소가 무엇인지 사례연구를 통해 조사하였다. 사례연구결과에 따르면, 심볼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는 심미적 영향요소 중 율동, 균형, 조화, 정교성, 곡선, 게쉬탈트, 유기성, 인공성/자연성 등이 높을수록 높았다. 그와 비교해, 단순성/복잡성, 사실성/추상성, 깊이, 대칭 등은 높거나 낮지 않은 적정한 수준으로, 그리고 비례와 요소들의 반복성은 낮은 수준으로 디자인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높은 선호도를 보인 심볼 디자인은 자연물에서 온 형태, 전통문양에서 온 형태들로 나타났으며, 낮은 선호도를 보인 심볼 디자인은 기하학적 도형에서 온 형태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 선호도에 맞는 심볼 디자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 범위상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 중 선호도(Affect)만을 고려하였으며, 색채와 재질 등의 특성들은 배제하고 형태적인 측면만을 고려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