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ery environmental improvemen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3초

연안이용 및 개발에 따른 수산자원관리 실효성 제고를 위한 협의제도 개선방안 (Improvement of the Consultation Systems Governing Fishery Resource Management in the Development of Coastal Areas)

  • 이대인;엄기혁;김귀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99-404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revisions in the law governing assessments of the environmental impact of marine projects. In particular, we suggest strengthening the consultative role of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the agency responsible for regulating coastal area utilization and development,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 by which fishery resources are managed, thus preventing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 Moreover, such an improved impact assessment statement would include reasonable evaluations of the dispersion of pollutants, such as the suspended solids generated by construction projects, as well as of the dredging, dumping and sand mining involved in coastal area reclamation. Thus, public confidence in the latter would be increased by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tandardized and consistent guidelines addressing environmental research, simulation processes and evaluations of data.

어촌·어항법에 따른 개발사업의 해역이용협의 대상사업의 범위 설정 개선방안 (Improvement of The Scope of Business Subject to Consultation on Utilization of Sea Areas for Developments According to the Fishing Village and Fishery Harbors Act)

  • 탁대호;이대인;김귀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1-217
    • /
    • 2016
  • 어항시설에 대한 해역이용협의 시 계류시설이 협의대상에서 정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고, 항만시설과 규모에서 차이가 있으나 협의대상 규모를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어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항을 분석하기 위해 최근 2년간(2013-2014) 해역이용영향검토기관에서 검토된 어항관련 일반해역이용협의서 17건을 분석 후 세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해역이용협의 대상사업 범위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어항개발은 외곽시설을 포함한 계류시설 등 다양한 시설설치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기본시설, 기능시설 등을 모두 고려하는 등 해역이용협의 대상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시설규모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 그 밖의 어항시설의 경우는 공유수면 점용 사용 면적이 $50,000m^2$일 경우 일반해역이용협의 대상이나, 대부분 소규모 어항의 경우 항계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 대상사업의 범위가 과대하게 설정되어 있어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해역이용협의에 대한 근거의 혼선을 해소하기 위해 협의대상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공유수면 점 사용 허가 및 적용배제의 근거인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과 "해양환경관리법"에 따른 공유수면 점용 사용과 관련된 협의대상 사이에서 나오는 불명확성과 혼란을 제거하기 위해 협의대상의 근거를 명확히 설정하는 규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Sanitation Level and Culinary Environment of Using Fishery Products for the Housewiv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Rha, Young-Ah;Lee, Woo-Sik;Hong, Sang-Pyo;Kwon, Woo-Taeg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3-5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anitation level and purchase behavior of fishery products, and to identify management conditions of bad smell from cooking fish at home as perceived by housewives in a metropolitan are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as statistical techniques for current study. Total 270 were collected from housewives. The statistical variables included the kinds of cooking oil and the age of housewives, the types of hoods for fish roasting, the types of covers for fish grills, the number of family, the ventilation methods, and the maintenance of kitchen utensils based on family incomes, and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5). Furthermore, the housewives whose sanitary cognition level for fishery products was high, the housewives whose level of purchase attitude was relatively high, and the housewives who utilized specialized kitchen utensil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5). It resulted from the assessment of such actual conditions as difference of culinary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anitation level of fishery products, the level of purchase attitude, and whether the housewives utilized special kitchen utensils or not. The more efforts were proved from those who had the intentions for improvement of an amenable culinary environment at homes, according to the higher income obtainers, the smaller nuclear family, the younger generation, whether the housewives utilized special kitchen utensils or not, and those who had the higher sanitary cognition level of fishery products. The above results were derived from an individual lifestyle or a dietary lifestyle, but eventually this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propensity and values hierarchy of individuals.

해수교환 방파제 설치에 따른 수질개선효과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Install)

  • 한동준;이달수
    • 환경위생공학
    • /
    • 제21권3호
    • /
    • pp.61-72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verification of efficiency of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which was installed in joomoongin harbor for the first time in our country. The joomoongin harbor, where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has been constructed, shows typical for fishery and tourist port city specifics of greatest pollutants discharge volume in spring and summer, when tourist inflow and fishery activity is most vigorous. On the East Sea seawater flux through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for the smallest waves (up to 0.5 m) was found out to be $1,526-3,052m^3/day$. After construction of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Zone 1 and Zone 2 of stagnant water inside the port were found to be a lot improved. Zone 3, adjacent to outport area, was found to be lower comparing with Zone 1 and Zone 2.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how that comparing with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before and after seawater exchange, water quality after installation of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became much better, primarily because of physical change around the harbour.

항만·어항개발사업의 해역이용협의서 작성실태 평가 및 개선방안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Documentation Status on the Statements for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ccording to the Project of Ports and Fishery Harbors)

  • 탁대호;오현택;김귀영;이대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1-371
    • /
    • 2015
  • 본 연구는 최근 3년간의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에 따른 해역이용협의서 91건을 분석하여 그 작성실태(평가항목별 조사현황과 영향예측 등)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요약 제시하였다. 9개 평가항목 중에서 해양화학, 해양퇴적물 및 해양생태계 부분에서는 현장조사 비율이 높았으나(70 % 이상), 조사자료를 활용한 영향예측은 미흡하였다. 반면, 해양물리의 경우는 현황조사 비율은 낮았지만(조석 7.7 %, 조류 24.2 %), 영향예측 수행비율은 높아 예측결과를 뒷받침할 만한 근거와 검증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조사와 예측에 대한 평가가 연관성이 낮아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었다.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에 있어 영향예측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주요 외력(조석, 조류 및 파랑 등) 및 중점평가사항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이 필요하나, 현재는 사업유형을 고려하지 않는 일반적인 평가방법과 자료인용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향후 사업규모와 지역특성 등을 고려한 중점평가항목과 구체적 평가사항(조사시기, 정점선정)을 사전에 스코핑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현장조사자료의 신뢰성 강화를 위해 해양화학 및 해양퇴적물의 분석에 관한 정도관리체계의 적용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어장환경평가의 평가지수 및 등급 산정 방법 소개 (Procedure of the Ecological Index and Rating Calculation Methods for Fishery Environmental Assessment)

  • 박소현;김선영;김연정;홍석진;정래홍;윤상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35-842
    • /
    • 2022
  • 양식장 환경관리를 위하여 여러 나라에서 양식장 환경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어장환경평가가 그중 하나이다. 2013년에 개정된 국내 어장관리법에는 어류가두리양식장 면허를 연장할 때 어장환경평가를 받도록 명시되어 있다. 어장환경평가는 과학적 분석을 통한 평가를 바탕으로 양식장 환경 개선 조치를 실행하여, 지속 가능한 어업생산 조성, 어장 생산력 증가, 어업인의 소득 증가를 목적으로 한다. 어장환경평가의 평가지표는 저서다모류 군집을 기초로 한 생물지수인 저서동물지수(BHI)와 총유기탄소량(TOC)이며, 두 항목을 점수화하여 단일등급으로 산출하여 평가에 사용한다. 본 연구는 어장환경평가지표인 BHI와 TOC의 선정 과정과 산출된 평가 등급의 생태학적 의미를 설명한다.

해역이용협의서 중 퇴적물 환경기준 개선방안 연구 -항만 어항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 Plan for Sediment Environmental Guidelines in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System -Focused on Port and Fishery Harbor Development Case-)

  • 전은주;주현희;탁대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84-593
    • /
    • 2021
  • 해양의 퇴적물은 해저면을 구성하여 생물 서식지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육상으로부터의 오염물 유입, 자가 오염 등의 내외부적 요인에 의한 오염은 점차 심각해지고 있어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퇴적물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특히, 매립과 준설이 포함된 개발 사업에서의 퇴적물 영향에 대한 검토와 평가는 주변 생태계에 대한 사전적 보호와 관리의 측면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공유수면개발 행위에 대한 해역이용협의서 중의 해양 퇴적물 평가의 지표가 되는 퇴적물 관리 기준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의 해양퇴적물 평가 및 관리기준을 비교검토 하였다. 국내의 경우, 해양환경관리법에 적시된 관련 기준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시에 비교적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 평가기준을 보유한 캐나다와 NOAA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평가기준 적용 및 운영 사례 분석을 위해 해역이용협의서 중 해저 퇴적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최근 5년간(2016-2020)의 항만 및 어항개발 사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일반해역이용협의서 중 퇴적물의 평가 단계에서의 기준과 평가 요소 등을 분석하였다. 고찰과 분석을 통해 해역이용협의서 중 현재의 퇴적물 환경기준에 생태 위해성과 잠재적 인체 위해성에 대한 평가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의령수역의 자동화 물관리 시스템 운영개선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Automatic Water Management System in Uiryeong Watershed Area)

  • 조영제;이명준;김영호;박상현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213-214
    • /
    • 2005
  • Uiryung Watershed area, located at the confluence of Nam River and Nagdong River has 9000 ha of agricultural land area and 3024 ha of paddy rice field have been reclaimed and managed by Korean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KARICO) in the riparian area since 1954. In spite of irrigation and drainage improvement projects in last 3 decades since 1970, there are severe drought and innundation problems in the area. To improve the difficulties and efficient usage of irrigation water not only for agriculture but also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cultural ceremony, Automatic Water management system has been installed supported by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ishery in Korean Government. The control office in Uiryung Branch Office of KARICO, receive all the water management records from Remote Terminal Units in 7 reservoirs and 26 Pump stations to operate the decision supporting system of irrigation and drainage facility during cropping period. Since the completion of the water management system at the end of 2003, the electric cost decrease in 80 % than average years. In spite of decrease of two technical assistants since 2004, complains from farmers for the water management are very rare. The technological experience from the automatic water management system would contribute not only for the efficient water management of Uiryang area but also for the modernization of water management of other watershed areas in the future.

  • PDF

어항의 항내 정온도 평가사례 및 개선방안 (Improvement of the Estimation Method for Harbor Tranquility of Fishery Harbor)

  • 탁대호;김귀영;전경암;이대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37-644
    • /
    • 2015
  • 항내 정온도 평가는 이상파 및 평상파 조건에 대해 수행이 되어야 하나, 어항개발 시 이루어지는 평가는 이상파에 대해서만 수행되고 있다. 축산항, 교암항, 궁평항 및 시산항에 대한 사례를 통해 해역이용협의 시 정온도 평가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대상항 모두 이상파에 대한 항내 정온도를 평가를 수행하였으나, 목표 정온도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평상파에 대한 정온도는 가동률로 평가하며, 가동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파랑관측이 필요하나 수행되지 않고 있었다. 가동률에 대한 평가는 계획의 적정성과 관련 있는 평가항목이기 때문에 개발로 인한 해양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계획의 수립과 어업인들의 정주환경 개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행이 필요하다. 정온도 평가를 위해서는, 정온도 평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장기간의 파랑관측이 수행되어야 하며, 평상파 및 이상파에 대한 평가절차를 명확히 해야 한다. 그리고 실효적인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조석정보와 같은 파랑정보의 제공 및 정온도를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수립이 필요하다.

시설원예단지의 생태계서비스 기능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cosystem Service Function for the Protected Horticulture Complex in Agricultural Landscape)

  • 손진관;공민재;강동현;이시영
    • 농촌계획
    • /
    • 제21권4호
    • /
    • pp.45-53
    • /
    • 2015
  • Agriculture, rural landscapes are accompanied by a variety of environmental iss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Horticulture complex is low groundwater recharge function, it can be evaluated as a facility that biodiversity is impaired. The ecosystem services in agricultural landscapes were obtained 19 kinds of functions. Experts survey Groundwater recharge function (4.13) teeth chapter higher, Water storage (4.05), Amphibian & Reptile habitat (3.96), Aquatic insect habitat (3.92), Flood control (3.87), Water purification (3.86), Avian habitat (3.76 ), Creating landscape (3.74), Vegetation diversity (3.71), Experience, Education (3.69), Biological control (3.48), Fishery habitat (3.42), Climate regulation (3.30), Mammal habitat (3.30), Air quality regulation (3.25 ), Mainenance of genetic diversity (3.25), were analyzed in order Rest area (3.14). Improving capabilities in the Detention Pond, Wetland, Green space, Corridor, Non-Chemical, Program development, Green spaces,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Water cycle system, Surface water storage facilities, Infiltration trench,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Permeable pavemen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agricultural development through ecological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