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Oil

검색결과 585건 처리시간 0.021초

식이 DHA와 환경보충이 흰쥐의 뇌지방조성 및 Acetylcholinesterase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HA and Environmental Enrichment on Brain Fatty Acid Composition an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 김문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1호
    • /
    • pp.32-40
    • /
    • 1996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docosahexaenoic acid(DHA) and environmental enrichment on brain fatty acid composition and acetylcholinesterase(AChE) activity, two groups of was fed isocaloric diets containing 10 or 12% dietary lipids for 7 weeks. A third group was fed 10% (w/w) dietary lipids with supplemented 2% DHA-rich fish oil. Each diet group was housed either in a stainless steel cage individually or in a large enriched cage with toys where 7 rats were kept together.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and brai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lipid composition but not by environmental enrichment. Fish oil supplementation significanlty decreased plasma levels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MUFA) and increased polyunsaturated fatty acids(PUFA). Fish oil supplemented groups also maintained lower plasma n-6 fatty acids and higher n-3 fatty acids levels than unsupplemented groups. The fish oil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arachidonic acid and increased eicosapentaenic, docosapentaenoic acids, and DHA in brain fatty acid composition. In addition, brain DHA level in supplemented groups tended higher than the unsupplemented. Brain, AChE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environmental enrichment but not by the fish oil supplementation. These finding suggest that the 2% fish oil (0.57% DHA & 0.31% EPA, per diet weigth) supplementation is enough to accumulate n-3 fatty acids and to change the n-6 n-3 ratio in brain and environmental enrichment might promote the learning ability.

  • PDF

어유 및 식물 종자유의 급이가 흰쥐가 간장, 뇌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and Some Seed Oils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in Rats)

  • 정승용;김성희;김한수;최운정;김희숙;정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18-425
    • /
    • 1991
  • S-D계 흰쥐에 중성지방 혈증 유발을 위해 12% 야자종실유와, 시험유지로서 올리브유, 돈지(豚脂), 어유, 들깨유,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를 각각 3%씩 급여하여 4주간 사육한 후 간장 및 뇌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바, 간장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SFA의 함량이 많고 MUFA는 적었으며, 중성지질에서는 MUFA의 함량이 SFA보다 약간 많은 편이었고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는 SFA 함량은 적고 MUFA는 월등히 많았다. 각 획분 모두 PUFA의 함량은 적었으며 PUFA중 $C_{18:2}(n-6)$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n-3계 PUFA는 어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 비교적 많은 반면 n-6계 PUFA는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 많았다. 뇌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 SFA의 함량은 적은 반면 PUFA의 함량이 현저히 많았으며, n-3계 PUFA로서는 $C_{20:5}와\;C_{22:6}$이 n-6계 PUFA로서는 $C_{18:2}$가 주요 지방산을 이루고 있었다.

  • PDF

Effect of Monensin and Fish Oil Supplementation on Biohydrogenation and CLA Production by Rumen Bacteria In vitro When Incubated with Safflower Oil

  • Wang, J.H.;Choi, S.H.;Yan, C.G.;Song, M.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221-225
    • /
    • 2005
  • An in vitro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onensin or fish oil addition on bio-hydrogenation of $C_{18^-} unsaturated fatty acids and CLA production by mixed ruminal bacteria when incubated with safflower oil. Commercially manufactured concentrate (1%, w/v) with safflower oil (0.2%, w/v) were added to mixed solution (600 ml) of strained rumen fluid and McDougalls artificial saliva (control). Monensin $Rumensin^{(R)}$, 10 ppm, w/v, MO), mixed fish oil (0.02%, w/v, absorbed to 0.2 g alfalfa hay, FO) or similar amounts of monensin and fish oil (MO+FO) to MO and FO was also added into the control solution. All the culture solutions prepared were incubated in the culture jar anaerobically at $39^{\circ}C$ up to 12 h. Higher pH (p<0.047) and ammonia concentration (p<0.042) were observed from the culture solution containing MO at 12 h incubation than those from the culture solutions of control or FO. The MO supplementation increased (p<0.0001-0.007) propionate proportion of culture solution but reduced butyrate proportion at 6 h (p<0.018) and 12 h (p<0.001) of incubations. Supplementation of MO or MO+FO increased (p<0.001) the proportions of $C_{18:2}$. The MO alone reduced (p<0.022-0.025) the proportion of c9,t11-CLA compared to FO in all incubation times. The FO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proportion of c9,t11-CLA. An additive effect of MO to FO in the production of c9,t11-CLA was observed at 6 h incubation. In vitro supplementation of monensin reduced hydrogenation of $C_{18^-}$UFAs while fish oil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production of CLA.

사료중 어유가 급성기 반응중인 육계 병아리에서 에너지 대사와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박인경;김재환;임진택;이성일;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3-74
    • /
    • 2003
  • 육계 병아리에서 어유 함유사료 급여에 의한 급성기 반응중의 생산성 감소 완화와 단백질 대사, 에너지 대사 및 항산화효소 활성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병아리에 1일령부터 어유 사료를 급여하면 급성기 반응중에 에너지 밸런스를 높이나 성장률, 요산 배설량과 질소 밸런스가 낮아지지 않았으며, 대두유 함유 사료를 급여한 것에 비하여 간장과 적혈구 세포액의 SOD 활성을 높였다. 이러한 결과는 어유 함유사료 급여로 급성기 반응중의 증체량 감소가 완화되는 효과는 항산화효소계의 조정과 에너지 급원의 소화관내 흡수 증가에 기인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대두유. 팜유, 돈지 및 어유의 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Crude gingerol의 영향 (The Oxidation Stability of Soybean, Palm Fish oil and Lard affected by Crude Gingerol)

  • 백숙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98-302
    • /
    • 1993
  • 항산화제가 첨가되지 않은 유지의 $85^{\circ}C$저장중에 과산화물가 측정에 의한 유도기간은 어유, 대두유, 돈지 및 팜유에 대하여 5.0, 17.0, 38.4 및 57.6시간으로 어유의 산화가 가장 먼저 일어났다. Gingerol이 첨가된 각 유지의 상대적항산화 효과는 돈지,대두유, 어유 및 팜유에 대하여 219, 176, 160 및 146%로 나타나 gingerol은 돈지의 산화를 가장 안정시켰으며, 대두유 및 어유에 대하여 BHT보다 산화를 안정시켰다.

  • PDF

어유의 효소적 에탄올화 반응 특성 (Fish Oil Variation during Enzymatic Ethanolysis)

  • 신상규;류홍석;박현덕;전병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311-316
    • /
    • 2006
  • Enzymatic ethanolysis of fish oil with immobilized lipase was investigated for reducing the free fatty acid contents and enhancing the function of fish oil. Ethanolysis reactions were carried out in erlenmeyer flask (25ml) containing a mixture of squid viscera oil and 99.9% ethanol using 1% (based on w/w squid viscera oil) immobilized lipase. The reaction mixtures were incubated at $50^{\circ}C$ and shaken at 100rpm. Ethanol was added into the mixture by stepwise addition method of Shinmada[9]. Measurement of free fatty acid molar amounts was studied by Acid Value. Tendency of oil variation during transesterification was studied by TLC method. Enzymatic ethanolysis composed diglyceride, monoglyceride and fatty acid ethyl ester with reducing free fatty acid contents. Also, selective ethanolysis by Lipozyme TL-IM and Lipozyme RM-IM mostly did not react at the sn-2 position of squid viscera oil. Lipozyme RM-IM was more suitable enzyme to reduce the free fatty acid contents by ethanolysis than Lipozyme TL-IM. Squid viscera oil was transformed into suitable properties (5 in Acid Value) for functional fish oil production.

  • PDF

활성탄과 어유의 첨가가 계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tivated Carbon and Fish Oil Ad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Chicken Meat)

  • 박창일;김영직;김덕진;안종호;김영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6-211
    • /
    • 2002
  • 활성탄 0.9%와 오메가 3계열을 다량 함유한 어유를 급여 수준(0, 1, 2, 4 %)에 따라 5주간 급여하면서 사료효율을 측정하였으며, 5주째 도계하여 혈액 콜레스테롤, 일반성분, 무기물을 분석하고 pH의 변화는 4$\pm$1'E의 냉장고에 진공포장하여 저장하면서 10일간 조사하였다. 사료효율은 2, 3주는 약간 증가하였으나 4, 5주째는 증가하지 않았고, 혈액콜레스테롤은 어유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낮아지고 있었다. (p<0.05). 일반성분은 활성탄과 어유 첨가구에서 큰 차이가 없었고(p>0.05), 단백질은 흉심부위가 대퇴부위보다 약간 많았다. p보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아지고 있었으며(p<0.05), 활성탄과 어유 첨가구에서는 높은 경향이었고, 무기물은 활성탄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많았으며 활성탄과 어유를 함께 급여한 구는 어유 첨가량이 많을수록 무기물 함량은 약간 적었고, 부위별로는 흉심부위가 대퇴부위보다 많았다.

어유 및 종자유의 급이가 흰쥐의 혈청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and Some Seed Oils on Lipid Composition of Serum in Rats)

  • 정효숙;김성희;김한수;김갑순;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2-319
    • /
    • 1991
  • n-3계 EPA 및 DHA를 함유하고 있는 어유 및 $\alpha$- linoleic acid 함량이 많은 들깨유와 n-6계 linoleic acid 의 함량이 많은 옥수수유 및 고추종자유, n-6계 inoleic acid 함량이 많고 ${\gamma}$-linoleic acid를 약 10% 함유한 달맞이꽃종자유가 흰쥐의 혈청 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청 지질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어유, 들깨유, 옥수수유 급여군이 대조군인 올리브유 급여군 보다 낮은 반면 고추종 자유,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서 높았다.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추종자유,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농도비는 전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높았다. 유리콜레스테롤은 고추종자유 급여군을 제외한 전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낮았으며 특히 어유, 들깨유 및 옥수수유 급여군에서 더욱 낮게 나타났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농도는 n-6계 다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많은 고추종자유, 달맞이꽃종자유 군에서 높았다.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농도비는 대조군인 올리브유 급여군(62%)보다 전 실험군(70.0%~74.4%)에서 높게 나타났다. 인지질 농도는 어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서 낮았고,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들깨유, 어유, 달맞이꽃종자유 군에서 현저히 낮았다. LCAT 활성은 대조군보다 돈지 급여군에서 높은 반면, 다른 실험군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 PDF

n-6, n-3 지방산과 비타민 A 수준이 흰쥐의 체액면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6, n-3 Fatty Acids and Vitamin A Levels on Humoral Immunity in Rats)

  • Kim Suh Ha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6호
    • /
    • pp.468-475
    • /
    • 1992
  • 본 연구는 식이내 n-6,n-3 지방산과 비타민 A 수준이 흰쥐의 체액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평균 체중이 $103pm$2.2g인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68마리를 6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실험식이는 지방을 식이무게의 10% 수준으로 하여 어유와 옥수수유를 사용하였고 비타민 A 수준은 결핍식이(1240 IU/kg diet), 적정식이(4000 IU/kg diet), 과잉식이(400,000 IU/kg diet)로 하였다. 비장무게는 체중 100g당, 비타민 A 과잉 어유섭취군이 유외하게 낮았으며 plaque-forming cell 반응은 지방종류와 비타민 A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혈청의 혈구응집반응 결과는 어유군이 옥수수군에 비해 항체가가 낮았으며, 비타민 A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IgG 농도는 지방종류에 의한 차이가 있어 어유군이 옥수수군에 비해 높았으며, 비타민 A 과잉 어유군이 다른 식이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비타민 A 과잉 어유군은 비장의 크기가 작고 혈청 IgG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비타민 A 과잉시 어유 섭취는 면역기능에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광학현미경으로 살펴본 바에 의하면 비장조직은 어유군이 옥수수유군에 비해 발달이 좋았으며 비타민 A 결핍과 과잉시에 발달이 저해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로 건강한 사람의 경우 면역기능을 온전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타민 A를 적정량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비타민 A과잉시에는 어유섭취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Effects of dietary lipid sources on apoptotic and immune gene expression in head kidne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Hur, Deokhwe;Lee, Sang-Min;Hong, Suhee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9-210
    • /
    • 2012
  • It can be hypothesized that dietary fatty acids can modulate immune responses in fish by inducing apoptosis of immune cells since dietary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increase apoptosis by oxygen radicals generated by peroxidation. Thus we examined the effects of deferent dietary lipid sources such as squid liver oil (FO), linseed oil (LO) and soybean oil (SO) on oxidation (Cytochrome C oxidase; COS), apoptosis (TNF-${\alpha}$ Scinderin like) and immune (IL-$1{\beta}$ and NKEF) gene expression in the main immune organ (head kidney)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Q-PCR analysis after feeding diets containing each oil (5%) for 15 weeks. Linseed oil and soybean oil were chosen to compare n-3 or n-6 enriched vegetable oils, respectively. Consequently, COS, TNF-${\alpha}$ and Scinderin like gene expression was increased in SO group, indicating the induction of oxidation and apoptosis. Mean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immune gene expression. In conclusion vegetable oils containing n-3 PUFA like linseed oil seems to be more suitable lipid source than soybean oil for replacement of fish oil in flounder since n-6 PUFA in SO leads to activation of apoptosis pathways within the cellular damage in head kidn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