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st molar

검색결과 1,016건 처리시간 0.025초

Endodontic treatment of a mandibular first molar with 8 canals: a case report

  • Arora, Ankit;Acharya, Shashi Rashmi;Sharma, Padmaj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1호
    • /
    • pp.75-78
    • /
    • 2015
  • Presented here is a case where 8 canals were located in a mandibular first molar. A patient with continuing pain in mandibular left first molar even after completion of biomechanical preparation was referred by a dentist. Following basic laws of the pulp chamber floor anatomy, 8 canals were located in three steps with 4 canals in each root. In both of the roots, 4 separate canals commenced which joined into two canals and exited as two separate foramina. At 6 mon follow-up visit, the tooth was found to be asymptomatic and revealed normal radiographic periapical area. The case stresses on the fact that understanding the laws of pulp chamber anatomy and complying with them while attempting to locate additional canals can prevent missing canals.

제3대구치의 선천적 결손과 타 치아수의 이상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GENITALLY MISSING THIRD MOLAR AND VARIATION OF NUMBER OF THE OTHER TEETH)

  • 박준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5-64
    • /
    • 198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analyzing case histories, intraoral radiographs, orthopantomographs, intraoral slide films and dental cast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mplied from 654 outpatients of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When one or more thins molar teeth were congenitally missing, the incidence of the other congenitally missing teeth was high. 2. The frequency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was comparatively higher in male, maxilla, class II and class III. 3. The congenitally missing srea of the third molar by Angle's classification was not significant. 4. The order of frequency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was the third molar, the second premolar, the lateral incisor, the first premolar, the central incisor, the canine, the first molar, the second molar.

  • PDF

제1유구치의 조기 상실로 인한 공간 변화에 대한 3차원적 분석 (THREE-DIMENSIONAL SPACE CHANGES AFTER PREMATURE LOSS OF THE PRIMARY FIRST MOLAR: A LONGITUDINAL STUDY)

  • 김지연;정다운;곽소연;유승은;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97-304
    • /
    • 2008
  • 본 연구는 제1유구치의 조기 상실 시공간 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3-Dimensional Laser Scanner를 이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예비논문이다. 6세-8세 사이의 제1대구치가 맹출하여 확실한 교합 관계를 이루는 혼합치 열기 어린이 중 편측 제1유구치의 조기 발치가 필요한 6명의 발치 전 후의 모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구치 공간변화는 상악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현저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고, 하악은 실험군에서 3명 중 2명에서 공간감소가 관찰되었다. 2. 치열궁 너비, 치열궁 둘레는 초기모형과 최종모형에서 비슷한 값을 보였다. 3. 협설측 경사도 변화는 유견치에서는 상하악 모두 특별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제2유구치는 상악은 실험군과 대조군이 유사하였고, 하악에서는 3명중 2명에서 실험군이 더 큰 설측경사도 변화를 보였다. 제1대구치는 하악에서 실험군이 더 큰 설측경사도 변화가 관찰되었다. 4. 근원심 경사도 변화 측정에서 유견치는 상하악 모두 특별한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고 제2 유구치의 경우 하악에서 실험군이 더 큰 근심경사도 증가가 보였다. 제1대구치는 상악에서 실험군, 대조군 모두 원심 경사도가 증가되었다.

  • PDF

하악 제1대구치 맹출 장애에서 Cantilever-Type의 견인 장치를 활용한 맹출 유도 (Cantilever-Type Traction Appliance for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s with Eruption Disturbances)

  • 임희정;이은경;정태성;신종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29-236
    • /
    • 2021
  •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는 매우 드물지만, 발생할 경우 교합 발육에 다양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의 조기 진단과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맹출 장애를 가진 하악 제1대구치의 두 증례에 대한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악 제2유구치를 고정원으로 하는 cantilever-type의 spring을 추가한 견인 장치를 적용하여 매복된 제1대구치 견인을 시행했다. 따라서, 건전한 제2유구치가 존재하는 환자에서 이 장치가 짧은 시간 안에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의 하악관의 각도와 이공의 위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ndibular canal angle and location of mental foramen on the panoramic radiograph)

  • 최항문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9권2호
    • /
    • pp.89-92
    • /
    • 2009
  • Purpose: To assess the angle between mandibular canal and occlusal plane at each posterior tooth region and location of mental foramen on the panoramic radiograph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analysed 46 half-mandibles of panoramic radiographs. Inferior border of mandibular canal was traced. Occlusal plane was drawn from lingual cusp tip of the first premolar to distolingual cusp tip of the second molar. Perpendicular line from occlusal plane was drawn at each tooth region and then tangential lines were drawn from the crossing points at canal. the angle between occlusal plane and tangential line was measured. The location of mental foramen was also studi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mental foramen, radiographs were divided into M (mesial) group and D (distal) group on the basis of the second premolar. and then inter-group analysis about mandibular canal angle was done. Results: The angles of mandibular canals were -17.7$^{\circ}$, -9.5$^{\circ}$, 8.2$^{\circ}$, 22.3$^{\circ}$, and 39.2$^{\circ}$at first premolar, second premolar, first molar, second molar, and third molar, respectively. The commonest position of the mental foramen was distal to the second premolar. Inter-group comparis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second premolar and the first molar(p<0.001). Conclusion: The knowledge of mandibular canal angle and location of mental foramen can help understanding the course of mandibular canal.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9; 39: 89-92)

  • PDF

Nolla stage에 의한 영구치의 석회화 시기에 대한 연구 (THE CALCIFICATION TIMING OF THE PERMANENT TEETH BY NOLLA STAGE)

  • 안상현;양규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40-548
    • /
    • 2000
  • 본 연구는 아동의 신체적 발육이 향상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여 Nolla stage에 따른 각 영구치의 석회화 시기 및 순서를 재평가하여 소아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임상적 자료로 사용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전신 상태가 양호하며, 교정치료 경험이 없는 4세에서 13세까지의 아동 258명 (남자 149명, 여자 109명)을 대상으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Nolla의 분류법을 이용한 각 치아의 석회화 단계에 따라 남,녀별 상,하악별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Nolla stage에 의한 각 영구치의 석회화 시기에 대한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그중 Nolla stage 7에 의한 평균치는 다음과 같다. 남자 상악에서 중절치는 6세 9개월, 측절치는 7세 4개월, 견치는 7세 9개월, 제1소구치는 8세 8개월, 제2소구치는 9세 4개월, 제 1대구치는 6세 3개월, 제2대구치는 10세 8개월로 나타났으며, 남자 하악에서 중절치는 5세 11개월, 측절치는 6세 4개월, 견치는 7세 5개월, 제1소구치는 8세 1개월, 제2소구치는 8세 6개월, 제1대구치는 5세 6개월, 제2대구치는 10세 3개월로 나타났다. 여자 상악에서 중절치는 6세 2개월, 측절치는 6세 7개월, 견치는 6세 11개월, 제1소구치는 8세 1개월 2소구치는 8세 5개월, 제1대구치는 5세 10개월, 제2대구치는 9세 10개월로 나타났으며, 여자 하악에서 중절치는 5세 6개월, 측절치는 5세 9개월, 견치는 6세 8개월, 제1소구치는 7세 6개월, 제2소구치는 8세 4개월, 제1대구치는 5세 3개월, 제2대구치는 9세 7개월로 나타났다. 2. 치근의 1/3이 형성되는 시기로 비교하였을때의 석회화 순서는 남,녀 상,하악 모두에서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견치, 제 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으로 나타났다. 3. 치근 형성이 완료되는 시기에 있어서는 남, 녀 모두에서 상악에서는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순으로, 하악에서는 중절치, 제 1대구치, 측절치 순으로 나타났다. 4. 여자가 남자보다 영구치 석회화 시기가 빠르게 나타났다(p<0.05). 상기 자료는 소아 치과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임상적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제 1대구치와 제 2유구치의 교합면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OCCLUSAL FEATURES OF FIRST PERMANENT MOLAR AND SECOND PRIMARY MOLAR)

  • 전소희;김재곤;양연미;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9-100
    • /
    • 2005
  • 형태학적으로 아주 유사한 상, 하악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의 교합면 형태를 분석하고자 정상교합의 유치열기 아동(Hellman dental age II A)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과 영구치열기의 성인(Hellman dental age IV A) 86명 (남자 43명, 여자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 하악 제2유구치와 제 1대구치의 상, 하악 석고모형의 3차원 형상 data로부터 각 교두정간 거리, 교두정을 최소한의 오차로 지나는 평면과 교합면사이의 체적, 평면에서 교두정간 까지의 방향별 Section curve를 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형성된 표준평면과 각 교두정과의 거리에 관한 오차는 하악 제2유구치에서 남자 0.05-0.09mm, 여자 0.04-0.09mm로서 제일 작았다. 2. 각 교두정간의 거리는 하악 제2유구치와 제 1대구치 에서 남자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제2 유구치에서는 유의성이 존재하였다(p<0.05). 3. 남녀 모두에서 사주 교두거리를 제외하고, 상악 제2유구치는 원심 협측교두와 설측교두 사이가, 하악 제2유구치는 원심교두와 원심 설측교두 사이가, 상악 제1대구치는 근심 설측교두와 협측교두 사이가, 하악 제1대구치는 원심 설측교두와 근심 설측교두 사이의 거리가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4.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에서 교합면 체적은 하악에서 크게 나타났고, 영구치가 1.40-1.75배 값을 보였으며(p<0.05), 남녀간에는 남자가 큰 값을 보이긴 하였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5. 대부분의 경우 유치열에서 보다 영구치열에서 section curve가 넓고 깊었으며 교두사이의 사선거리를 제외하고 상악의 경우 근심 협측과 설측교두 사이에서 유치열과 영구치열 모두에서 가장 깊은 section curve를 이루었으며 하악에서는 영구치열은 원심 협측과 원심교두사이 유치열은 원심 설측과 원심교두 사이에서 가장 깊은 section curve를 이루었다.

  • PDF

Proximity of the mandibular molar root apex from the buccal bone surface: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study

  • Kim, Dokyung;Ha, Jung-Hong;Jin, Myoung-Uk;Kim, Young-Kyung;Kim, Sung Ky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1권3호
    • /
    • pp.182-188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ximity of the mandibular molar apex to the buccal bone surface in order to provide anatomic information for apical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es of 127 mandibular first molars and 153 mandibular second molars were analyzed from 160 patients' records. The distance was measured from the buccal bone surface to the root apex and the apical 3.0 mm on the cross-sectional view of CBCT. Results: The second molar apex and apical 3 mm were located significantly deeper relative to the buccal bone surface compared with the first molar (p < 0.01). For the mandibular second molars, the distance from the buccal bone surface to the root apex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patients over 70 years of age (p < 0.05). Furthermore, this distance was significantly shorter when the first molar was missing compared to nonmissing cases (p < 0.05). For the mandibular first molars, the distance to the distal root apex of one distal-rooted tooth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distance to the disto-buccal root apex (p < 0.01). In mandibular second molar, the distance to the apex of C-shaped root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distance to the mesial root apex of non-C-shaped roots (p < 0.01). Conclusions: For apical surgery in mandibular molars, the distance from the buccal bone surface to the apex and apical 3 mm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ocation, patient age, an adjacent missing anterior tooth, and root configuration.

A 2-plane micro-computed tomographic alveolar bone measurement approach in mice

  • Catunda, Raisa Queiroz;Ho, Karen Ka-Yan;Patel, Srushti;Febbraio, Maria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1권4호
    • /
    • pp.389-39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troduces a standardized 2-plane approach using 8 landmarks to assess alveolar bone levels in mice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Bone level differences were described as distance from the cemento-enamel junction (CEJ) to alveolar bone crest (ABC) and as percentages of vertical bone height and vertical bone loss, comparing mice infected with Porphyromonas gingivalis (Pg) to controls. Eight measurements were obtained per tooth: 2 in the sagittal plane (mesial and distal) and 6 in the coronal plane (mesiobuccal, middle-buccal, distobuccal, mesiolingual, middle-lingual, and distolingual).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EJ-to-ABC distance between Pg-infected mice and controls were found in the coronal plane (middle-lingual, mesiobuccal, and distolingual for the first molar; and mesiobuccal, middle-buccal, and distolingual for the second molar). In the sagittal plane, the distal measurement of the second molar was different. The middle-buccal, mesiobuccal, and distolingual sites of the first and second molars showed vertical bone loss relative to controls; the second molar middle-lingual site was also different. In the sagittal plane, the mesial sites of the first and second molars and the distal site of the second molar showed loss. Significantly different vertical bone height percentages were found for the mesial and distal sites of the second molar (sagittal plane) and the middle-lingual and distolingual sites of the first molar(coronal plane). Conclusion: A reliable, standardized technique for linear periodontal assessments in mice is described. Alveolar bone loss occurred mostly on the lingual surface of the coronal plane, which is often omitted in studies.

하악 제1대구치 상실 시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이동양상에 따른 교합력 변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비교 연구 (Changes in occlusal force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adjacent and opposing teeth after loss of lower first molar: comparative study by using a strain gauge)

  • 송명자;박지만;전윤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1호
    • /
    • pp.47-59
    • /
    • 2016
  • 목적: 하악 제1대구치 상실 시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경사 및 정출 정도에 따른 교합력의 변화를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 및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경사 및 정출이 심화되는 정도를 점진적으로 네 개의 다이에 표현 후, CAD/CAM 제작 맞춤형 다이 시스템을 통하여 주모형에 부착 및 교체 가능하도록 하였다. 치아에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 후, 만능물성시험기로 저작력을 가하면서 상하악 치아의 교합력을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alpha}=.05$). 결과: 대구치 상실 후 치아이동에 따른 교합력의 양상은, 네 단계의 모형에 대한 교합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감소 추세였다. 음식물 저작 시 인접 치아들의 이동에 따라 상악 제1, 2소구치, 하악 제2대구치에서 점차 교합력이 감소되었다. 음식물의 경도가 감소함에 따라 치아의 교합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육포 저작 시 하악 제2대구치의 교합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P < 0.05). 결론: 하악 제1대구치가 상실되고 치아 이동이 일어나기 전에는 저작 시 치아가 상실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교합력이 높은 반면, 치아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교합력은 정량적으로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