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fighter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7초

실내 환경에서 소방대원간의 조난확인 및 위치추적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Location Tracking and Distress Check System among Firefighters in Indoor Environments)

  • 이광희;이성엽;고봉진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90-9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4 기반 무선센서네트워크(WSN) 및 수신신호세기(RSSI)를 이용하여 건물 내에서의 소방대원의 조난을 감지하고 무선으로 조난신호를 보냄으로써 근처 동료 소방대원이 수신신호세기(RSSI)를 통해 조난신호의 송신방향을 읽고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에서 이론값과 실험값의 오차가 작기 때문에 RSSI를 통한 위치추적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임파워먼트와 가족기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powerment and Family Function on the Depression of Firefighters)

  • 최희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116-121
    • /
    • 2018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임파워먼트와 가족기능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소방공무원의 우울에 관한 예방 차원의 실천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지역 소방공무원 351명을 대상으로 유의표집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소방공무원의 우울에 임파워먼트와 가족기능이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 예방을 위해 내적 대처자원으로서 각 개인의 임파워먼트를 적용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과 소방공무원 가정의 가족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이 필요하며, 가족의 건강성 회복을 이끌어내기 위해 예방차원의 효과적인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의 적극적 도입과 지원을 제안하였다.

소방용 보호장구의 무게가 신체활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eight of Fire-protective Equipment for Physical Activity Ability)

  • 허만동;방창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28-13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소방용 보호장구의 무게가 소방공무원의 신체활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최대 지친상태 도달시간은 소방용 보호장구의 무게와 같은 웨이트 자켓을 입은 경우가 체육복을 착용한 경우보다 18.8% 짧게 나타났다. 최대산소섭취량($VO_2max$)은 체육복을 착용한 경우가 웨이트 자켓을 입고 신체활동을 수행할 때보다 17.6% 증가하였다. 최대심박수(HRmax)는 체육복을 착용한 경우가 웨이트 자켓을 입고 신체활동을 수행할 때보다 5.4% 높게 나타났다.

소방방화복 무게가 최대 신체활동 후 평형성과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eight of Fire-protective Clothing for Physical Balance and Agility after Maximum Physical Activity)

  • 방창훈;허만동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45-4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방방화복의 무게가 최대 신체활동 후 신체의 평형성과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신체의 정적평형성 평가를 위하여 눈감고 한발로 서기와 동적평형성 평가로는 평균대 걷기를 실시하였으며, 신체의 정적민첩성 평가는 전신반응검사 동적민첩성 평가는 반복 옆뛰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대 지친 상태에서 소방방화복의 무게는 신체의 정적평형성과 동적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소방공무원의 안전을 위한 실제적인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방공무원의 장갑제작을 위한 손 치수 연구 (Hand Sizing Study for Development of Firefighting Gloves)

  • 권채령;장미나;정다운;김동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16-426
    • /
    • 2019
  • This study measured and analyzed male firefighters hand sizes as well as suggested data for developing firefighting gloves with a good fit. Accordingly, body dimensions related to the hand were measured for 100 male firefighters. Twenty-three measuring items related to the hand and lower arm were selected. The firefighters' measurement data were compared to general adult male measurements from the 6th Korean Anthropometric data to analyze the hand sizes characteristics of firefighters. As a result, height, hand circumference, hand breadth, wrist circumference, elbow-wrist length, forearm-fingertip length and firefighter weight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adult males. A correlation analysis for 23 items was conducted to select items used as standards for setting a size when manufacturing firefighting gloves. Hand length and circumference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hand parts for making firefighting gloves. Cross analysis between hand length and circumference were conducted to find the section showing the highest distribution ratio. As a result, the highest sections were between 19cm and 21cm for hand circumference and between 18.5cm and 19.5cm for hand length, which may be suggested as the most important ranges.

Comparisons of Core Temperature Between a Telemetric Pill and Heart Rate Estimated Core Temperature in Firefighters

  • Pearson, Stephen J.;Highlands, Brian;Jones, Rebecca;Matthews, Martyn J.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1호
    • /
    • pp.99-103
    • /
    • 2022
  • Background: Firefighters may experience high environmental temperatures or carry out intensive physical tasks, or both, which leads to increased core body temperature and risk of fatalities. Hence there is a need to remotely and non-invasively monitor core body temperature. Methods: Estimated (heart rate algorithm) and actual core body temperature (ingested telemetric pill) measures were collected simultaneously for comparison during training exercises on 44 firefighter volunteers. Results: Prediction of core body temperature varied, with no specific identifiable pattern between the algorithm values and directly measured body core temperatures. Group agreement of Lin's Concordance of 0.74 (95% Upper 0.75, lower CI 0.73), was deemed poor. Conclusion: From individual agreement data Lin's Concordance was variable (Min 0.11, CI 0.13-0.01; Max 0.83, CI 0.86-0.80), indicating that the heart rate algorithm approach was not suitable for core body temperature monitoring in this population group, especially at the higher more critical core body temperatures seen.

IT 환경에서 소방공무원의 근골격계 증상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ymptom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firefighter under the IT environment)

  • 오경재;이정미;양충용;박형주;박윤희;유찬욱;강은영;정복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11-32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IT환경에서 소방관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하여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평가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직접 대면 면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는 전체 366명의 소방관이 참여하였다. 평가 방법은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에 대한 평가를 위해 NIOSH의 증상 표를 이용한 자가 평가식 설문지로 측정하였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의 평가를 위해 SF-36을 근거로 측정하였다.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률은 상지에서 38.0%, 허리에서 35.5%, 하지에서 21.6%이었으며, 59.3%에서 신체의 두 부위 이상에서 증상이 발생하였다.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는 소방관은 상지에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지 않는 소방관보다 감정 기복 제한을 제외한 삶의 질의 7 범주에서 유의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에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는 소방관은 하지나 허리에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지 않는 소방관보다 삶의 질의 모든 범주에서 유의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근골격계 질환이 삶의 질에 부정적 효과를 갖음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소방관에서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은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적 전략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소방공무원 수험생의 체력검정을 위한 12주간 훈련이 체력요인, 심혈관계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12-Week Training for the Physical Fitness and Cardiovascular Factors to Examine Physical Fitness on Firefighters Test-Taker)

  • 임연섭;박진홍;김종혁;김인동;김재중;박정범;이채문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11-126
    • /
    • 2021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 수험생을 대상으로 12주간 훈련이 체력요인, 심혈관계요인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발적 참여를 동의한 20-30대 남자 40명을 소방공무원 체력검사종목 훈련군(이하 PT group), 소방공무원 체력검사종목과 유산소훈련 병행군(이하 PT+AR group), 소방공무원 체력검사종목과 무산소훈련 병행군(이하 PT+AN group), 소방공무원 체력검사종목과 유무산소복합훈련 병행군(PT+CO group)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분석항목으로는 체력요인(악력, 배근력,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제자리멀리뛰기, 윗몸일으키기, 20m왕복오래달리기), 심혈관계요인(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글루코스,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및 Framingham Heart Risk Score와 체력요인, 심혈관계 요인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12주간 체력검정을 위한 훈련이 체력과 심혈관계에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체력검정을 위한 훈련이 소방공무원 수험생들의 체력향상과 심혈관질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소방 실화재 훈련에서 사용하는 압축목재 가연물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Substances Generated from Combustible Compressed Wood Used during Live Fire Training for Firefighters)

  • 이용호;김진희;김의진;최원준;이완형;강성규;이소연;함승헌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55-564
    • /
    • 2020
  • Objectives: To identify and investigate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he hazardous substances generated when compressed wood was burned at a live fire-training center. Methods: Four types of compressed wood that are actually used in live fire training were burned in a chamber according to KS F2271. The gaseous material was sampled with a gas detector tube and conventional personal samplers. Results: 1,3-butadiene, benzene, toluene, xylene, formaldehyde, hydrogen chloride, hydrogen cyanide, ammonia, carbon monoxide, and nitric acid were detected. In particular, 1,3-butadiene (497.04-680.44 ppm), benzene (97.79-125.02 ppm), formaldehyde (1.72-13.03 ppm), hydrogen chloride (4.71-15.66 ppm), hydrogen cyanide (3.64-8.57 ppm), and sulfuric acid (3.85-5.01 ppm) exceeded the Korean Occupational Exposure Limit as measured by sampling pump according to the type of compressed wood. Conclusions: We found through the chamber testing that firefighters could be exposed to toxic substances during live fire training. Therefore, firefighter protection is needed and more research is required in the field.

소방공무원의 위험유발요인 인식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기 지역 및 소방 지역 공무원의 의식차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Firefighters' Recognition about Risk Induction Factors: Focus on Nicognition Differences between Firefighters of Seoul and Gyunggi Privince)

  • 현성호;김영우;최희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60-169
    • /
    • 2010
  • 소방공무원은 가장 위험한 직업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위험성은 소방공무원을 다른 분야의 공무원들과 근본적으로 차이를 가직 하는 특성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기존의 논문들에서는 위험유발 요인에 대해 직접적인 사고원인으로서만 접근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그 분류에 있어서도 논리적이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소방공무원을 둘러싼 위험 유발 요인들은 제도적 요인, 문화적 요인, 그리고 개인적 경험으로 분류하였다. 제도적 요인으로는 교육에 관한 부분과 작업환경에 관한 부분으로, 문화적 요인들은 성과지향적 문화와 배려지향적 문화로, 개인적 사고경험은 자신과 동료의 사고를 포함한 조직구성원의 사고경험과 기타 일반 희생자의 사고경험으로 나뉜다. 근무환경의 적정성과 관련해서는 특히 열악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조사 결과 소방공무원의 인식차를 가장 극명하게 드러낸 요소는 소방공무원의 근무지역이었는데, 서울지역이 경기 지역에 비해 다수의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