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gas

검색결과 1,031건 처리시간 0.03초

국내 가스 사고사례 중 NG 및 LPG의 가스 화재.폭발사고 예측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diction System Construction of Fire.Explosion Accident by NG & LPG among Domestic Gas Accidents)

  • 고재선;김효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8-55
    • /
    • 2006
  • 한국적 상황에 적절한 사회적 위험기준을 제시하고, 도시가스시설에 대한 화재 및 폭발사고에 대한 포괄적이고 정량적인 예측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하여 최근 11년간의 가스사고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였다. 동종유형의 가스사고 발생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Poisson분석 방법을 적용한 결과(t=5년), 시공 작업 부주의-폭발-배관의 항목의 사고발생반도가 가장 작았으며, 배관연결부이완부식-누출-배관의 경우는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가스사고 대응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가스사고에 대한 신뢰성 있는 분석을 위해서는 가스로 인한 화재 폭발사고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확충보완을 시켜야 되며, 이를 위한 표준 코드화 작업이 요구된다.

  • PDF

불활성 가스계 혼합소화약제의 n-Heptane 불꽃소화농도 및 배가스 조성 (Flame Extinguishing Concentrations and Flue Gas Compositions of n-Heptane by Mixed Inert Gas Agents)

  • 김재덕;김영래;홍승태;이성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77-83
    • /
    • 2002
  • 질소, 아르곤, 이산화탄소와 같은 불활성가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소화약제로 하여 n-Heptane을 연료로한 cup-burner test 장치에서 불꽃소화농도와 연소시 배가스의 조성을 측정하였다. 이성분 불활성가스계 혼합소화약제의 소화농도는 혼합물의 구성비를 이용한 모델에 의해 잘 예측됨을 알 수 있었다. 불활성 가스계 혼합 소화약제에 의한 소화작용에 있어서 혼합가스의 평균비중이 클수록 소화 성능이 우수하였다. 또한 밀폐된 공간의 구조가 소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소시 배가스 중 이산화탄소 조성은 사용하는 소화약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일산화질소 발생은 소화약제의 질소 함량과는 상관이 없으며 공기유량을 크게 하여 불꽃을 크게 했을 때 검출되었다.

콘칼로리미터와 적외선분광계(FTIR)를 이용한 폼블럭의 연소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Fire Characterization of Foam block using Cone-calorimeter and FTIR)

  • 한봉훈;서동호;권영희;민세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23-32
    • /
    • 2017
  • 폼블럭은 셀프 인테리어 용품으로 새롭게 유행하고 있는 건축마감재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되고 있어 화재에 취약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폼블럭 2종(일반, 난연)을 KS F ISO 5660-1(연소성능시험)의 기준에 따라 화재시 발생되는 연소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적외선분광계(FTIR)를 이용하여 시편의 연소로 발생하는 가스중 대표적 독성가스를 측정한 후 기존의 독성모델에 적용하였다. 콘칼로리미터 시험 결과 2종의 시편 모두 복사열 차단장치를 제거하자마자 인화 및 불꽃연소가 시작되어, 화재시 화염의 급속한 전파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적외선분광계를 통한 연소가스 분석 결과, 일반적인 연소가스인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뿐만 아니라 인체에 심각한 위해를 주는 아크롤레인, 암모니아 및 시안화수소 등이 다량 검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폼블럭 제품은 착화성과 발열량이 높으며 유해가스가 다량 방출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폼불럭 사용에 따른 재료의 연소특성, 즉 착화성 저감, 최대 열방출률 제한 및 주요 유해가스의 농도를 제한하는 기준마련도 시급히 요구된다.

조립식 건축물의 화재특성연구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Knockdown Building)

  • 이정윤;김홍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0-35
    • /
    • 2008
  • The recent fire incident in an elementary school of Chonan city causes the media focus on the fire safety of residential container buildings. In this study, real fire tests were conducted in this kind of buildings. Combustion products including $O_2$, $CO_2$, CO, $NO_x,$, $SO_x$, HCI, HCN were measu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azard-reduction effects of employing gas mask protected with filter during the fire emergency of residential container building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whether or not employing the filter showed a sheer difference in the toxicity of the fire-induced gases, and then the importance of wearing a gas mask was evidently demonstrated.

화재시 터널내 열유동 시뮬레이션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Heat and Gas Flow for Fire Simulation in a Tunnel)

  • 우경범;김원갑;한화택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4권7호
    • /
    • pp.584-591
    • /
    • 2002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 model to predict heat and gas flow movement by fire in a tunnel. The model includes component models such as turbulence model, combustion model, fire model, jet fan model, etc. It has been validated using the data from Memorial Tunnel Fire Ventilation Test Program. The predictions are in good quantitative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in the far-field region of the tunnel. It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to develop models for radiation between surfaces, for composite boundary conditions for conduction and convection, and for vigorous turbulent mixing in a tunnel especially for a large size of fire.

가스계 소화설비 오작동으로 인한 질식사고의 피해영향 평가 (A Study on Damage Effects Assessment for Asphyxiation Accident due to Malfunction of Gas Type Fire Extinguishing System)

  • 김의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6-43
    • /
    • 2020
  • 가스계 소화설비는 경제적으로 매우 유용한 설비이지만 설비를 갖춘 후 장기간 미사용될 경우 용기부식으로 인한 파열 현상과 설비 시스템 작동 오류 등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어 큰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다. 하지만 소화설비 특성 상, 설비의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 불가하여 파열 및 오작동으로 인해 밀폐공간 내에 가스가 일시적으로 방출되면 가스질식으로 인한 큰 인명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한 가스계 소화설비작동 오류로 인한 질식 사망 사고를 바탕으로 사고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사고가 발생한 현장에 대해 3D 스캐너와 FLACS를 활용하여 설비 오류로 인한 이산화탄소 가스의 유입경로와 이로 인한 사망 가능성 및 사망에 이르는 시간 등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질식사고로 인한 정확한 피해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유류화재증거물의 정성적 분석 기법 연구 (Qualitative Analysis of Ignitable Liquid Residues in Extracts from Fire Debris Samples)

  • 한동훈;이성룡;김수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4-20
    • /
    • 2011
  • 다양한 원인과 우연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에 관하여, 화재조사관이 현장의 증거물, 화재패턴으로부터 화재원인을 밝혀내기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다양한 화재 원인 중의 하나인 유류화재와 관련된 화재증거물에서 잔존물을 추출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ASTM E 1618에 근거한 유류화재 증거물 속에 잔존유류를 분석하는 기술(다양한 전처리법을 통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매스스펙트로미터 분석)을 이용하여 시중에서 유통되는 유류를 먼저 분석한 후, 유류화재 실험을 통한 증거물을 채집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화재 후 채집 시간, 전처리 방법에 따라 토탈이온크로마토그램의 패턴이 달라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Poisson분포를 이용한 도시가스 화재 폭발사고의 발생 예측프로그램 및 사회적 위험기준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dictable Program of Fire.Explosion Accident Using Poisson Distribution Function & Societal Risk Criteria in City Gas)

  • 고재선;김효;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14
    • /
    • 2006
  • 가스로 인한 화재 및 폭발사고의 예측 가능한 프로그램을 구체화하고, 적절한 사회적 위험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최근 11년간의 가스사고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였다. 먼저 동일유형의 가스사고 발생가능 성을 판단할 수 있는 Poisson 분석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3개의 사고유형, 즉 누출, 폭발, 화재로 구분하여 총 16개 항목으로 나누어서 적용하였다. 그 결과, 시공 작업 부주의-폭발-배관의 항목의 사고발생반도가 가장 작았으며, 배관연결부이완부식-누출-배관의 경우는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가스사고 대응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치명적인 가스사고의 추세와 합리적인 위험정책에 대한 지침을 결정하기위해 D. O. Hagon 방정식과 회기직선식을 이용하여 F.N 곡선의 누적사망자의 최소 및 최대점에 대응시켜 허용가능영역을 설정하였다. 향후 가스사고에 대한 신뢰성 있는 분석을 위해서는 가스로 인한 화재 폭발사고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확충보완을 시켜야 되며, 이를 위한 표준 코드화 작업이 요구된다.

고압가스배관의 제트화재 예측모델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Jet fire Estimation Model on the High Pressurized Pipeline of Natural Gas)

  • 이상곤;김동성;황철승;조원철;이태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71-375
    • /
    • 2007
  • Due to the benefit of QRA(Quantitative Risk Analysis) method, we can evaluate the risk, and it helps us to make our safe. We also depend to some of correlation equations to assess the jet fire at high pressurized transmission line. However, we can evaluate the risk within limitations. After comparing the current model to investigation report of natural gas transmission line accident at EL-Paso in U.S., this study concludes that more research and study are required because currently developed model cannot expect factors of the fire risk such as flame configu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