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gas

검색결과 1,029건 처리시간 0.03초

가스화재사고 원인조사 연구(LP가스를 중심으로) (Gas Fire Accident Cause Survey Study)

  • 김영철;차종호
    • 한국화재조사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08
  • 가스연료는 사업체, 가정 등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고위험도도 증가추세 이며, 사고원인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가스사고를 원인(취급부주의, 제품불량 등), 형태(화재, 폭발, 누출 등), 피해등급(1,2,3,4급), 사상자(사망, 중상, 경상)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가스연료 중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LP가스 시설은 가스용기, 압력조정기, 호스, 중간밸브, 연소기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이 구성요소 중의 어떤 부분에서 취급부주의, 제품불량 등의 원인에 의해 화재 및 폭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고 발생시 과거화재사례에 대한 연구 및 화재조사 시 착안사항을 참고하여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어야 한다.

  • PDF

불활성 가스 발생장치(Inert Gas Generator) 소화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Inert Gas Generator to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 한용식;김명배;김수용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9-74
    • /
    • 2005
  • 대량의 비활성가스를 발생시키는 Inert Gas Generator(IGG)를 소화설비로 사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스터빈을 채용한 IGG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소화성능을 검토하였다. IGG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조성을 동일하게 만든 모사 혼합가스를 이용하였으며, Cup Burner시험방법으로 소화농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소화농도를 NFPA 2001에서 권장하는 방법에 적용하여 소화설계 농도 및 소화공간 크기를 산정하였다. 또한, $2m\times2m\times2m$ 크기의 공간에서 화재진압 실험을 수행하여 실제 소화성능을 확인하였다.

Performance Analysis of an Inert Gas Generator for Fire Extinguishing

  • 김수용
    • 연구논문집
    • /
    • 통권29호
    • /
    • pp.5-15
    • /
    • 1999
  • Present study deals with performance analysis of an inert gas generator (IGG) which is to be used as an effective mean to suppress the fire. The IGG uses a turbo jet cycle gas turbine engine to generate inert gas for fire extinguishing. It is generally known that a lesser degree of oxygen content in the product of combustion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ire suppressing. An inert gas generator system with water injection will bring advantages of suffocating and cooling effects which are considered as vital factors for fire extinguishing. As the inert gas is injected to the burning site, it lowers the oxygen content of the air surrounding the flame as well as reduc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fire as the vapour in the inert gas evaporates during the time of spreading. Some important aspects of influencing parameters, such as, air excess coefficient. $\alpha$, compressor pressure ratio, $ pi_c$, air temperature before combustion chamber, $T_2$, gas temperature after combustion chamber, $T_3$, mass flow rate of water injection, $M_w$, etc., on the performance of IGG system are investigated. Calculations of total amount of water needed to reduce the turbine exit temperature to pre-set nozzle exit temperature employing a heat exchanger were made to compare the economics of the system. A heat exchanger with two step cooling by water and steam is considered to be better than water cooling only. Computer programs were developed to perform the cycle analysis of the IGG system and heat exchanger considered in the present study.

  • PDF

가스폭발 사고와 관련된 국가배상 사례의 분석 (Analysis of A Gas Explosion-Related State Compensation Case)

  • 이의평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44-59
    • /
    • 2020
  • 이 논문에서는 2층 건물 지하층의 다방에서 가스냄새가 난다고 119신고가 되어 소방대원들이 출동하여 옥상에 있는 LPG 가스통들의 밸브를 직접 잠그고 지하층 다방의 중간밸브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 현장에 도착한 가스공급 및 설치 업자에게 안전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하고 철수한 후 7분 만에 가스폭발사고가 발생하여 2명이 사망하고 21명이 부상을 입은 사례를 분석하고 있다. 법원은 가스폭발사고의 원인이 규명되지 아니하였으므로 가스공급 및 설치 업자와 한국가스안전공사에 배상 책임을 물을 수 없고 안전조치를 하지 않고 철수한 소방기관에게만 배상책임이 있다고 판결하였다. 그러므로 가스가 누설된다고 119신고가 되는 경우에 출동한 소방대는 가스 밸브를 잠그고 사람들을 대피시키거나 접근하지 못하게 하고 환기를 시키는 등 안전조치를 하고 화재나 폭발가능성이 없음을 확인한 후 철수해야 한다.

Numerical simulation on gas continuous emission from face during roadway excavation

  • Chen, Liang;Wang, Enyuan;Feng, Junjun;Li, Xuelong;Kong, Xiangguo;Zhang, Zhibo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0권3호
    • /
    • pp.297-314
    • /
    • 2016
  • With the mining depth continuously increasing, gas emission behaviors become more and more complex. Gas emission is an important basis for choosing the method of gas drainage, gas controlling. Thus, the accurate prediction of gas emission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coal mine. In this work, based on the sources of gas emission from the heading faces and the fluid-solid coupling process, we established a gas continuous dynamic emission model, numerically simulated and applied it to the engineering. The result was roughly consistent with the actual situation and shows the model is correct. We proposed the measures of reducing the excavation distance and borehole gas drainage based on the model. The measures were applied and the result shows the overproof problem of gas emission disappears. The model considered the influence factors of gas emission wholly, and has a wide applicability, promotional value. The research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the controlling of gas disaster, gas drainage and pre-warning coal and gas outbursts based on gas emission anomaly at the heading face.

열해석을 이용한 가스 실린더 캐비닛의 내화성능 최적설계 (Optimum Design on Fire Resistance of Gas Cylinder Cabinets using Thermal Analysis)

  • 남민서;김지유;김의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4-40
    • /
    • 2022
  • 특정 고압가스 등을 사용하기 위해 배관과 안전장치 등이 일체로 구성된 가스 실린더 캐비닛은 화재 발생 시 고온의 열로 인한 급격한 압력상승으로 실린더 폭발 및 파편 비산 등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위험성은 용기 내부에 충전된 가스의 유출을 초래하여 중독, 질식 등의 2차 피해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크므로 내부 용기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스 실린더 캐비닛의 내화성능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국외의 경우 가스 실린더 캐비닛이 화염에 노출되는 상황에서 일정 시간동안 내부의 실린더를 보호할 수 있도록 미국 NFPA code, 유럽 EN-14470-2 등에서 가스 실린더 캐비닛 내화시험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내압성능과 기밀성능 기준만 명시되어 있고, 그 대상은 배관계로 한정되어 있으며 국외보다 가스 실린더 캐비닛의 내화성능을 위한 연구 및 규정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가스 실린더 캐비닛의 내화성능 기준 확립을 위해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이용하여 열해석을 수행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구조, 재질 측면에서의 최적 조건을 도출하고자 한다.

1회용 가스라이터로 인한 화재 원인과 예방대책의 조사·분석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Causes and Preventive Measures of Fires Caused by a Disposable Gas Lighter)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2호
    • /
    • pp.74-81
    • /
    • 2017
  • 이 논문에서는 1회용 가스라이터의 규제실태, 화재발생 실태, 화재 및 사고의 발생원인, 예방대책을 조사 분석하였다. 1회용 가스라이터에 어린이 보호기능이 의무화된 이후에는 미국과 일본 등과 마찬가지로 전체화재 중 불장난으로 인한 화재의 비율이 감소하고 있다. 1회용 가스라이터로 인한 화재는 방화와 불장난을 제외하면 잔화, 의도하지 않은 점화, 큰 화염 발생, 고온장소 방치로 인한 파열 또는 폭발 등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예방대책은 어린이 불장난 도구로 이용될 수 없게 조치, 잔화로 인한 화재사례 홍보, 차량 대시보드 위 또는 고온장소 방치의 위험성 홍보, 차량 의자 레일 멈춤 부분의 보호용 합성수지 커버의 개선, 서랍 등에 보관 시 주의사항 홍보, 폐기방법 홍보 등을 제안한다.

주유소 내 부대시설 화재발생시 복사열에 따른 주유설비 안전거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Distance of the Fuelling Facilities by the Radiation Heat in the Fire at the Gas Station)

  • 김기성;이상원;송동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13
    • /
    • 2021
  • 최근 주유취급소 내의 건축물에 편의점, 자동차 수리점 등의 부대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대시설에서 화재 발생 시 고정주유기에 미치는 화재의 영향을 알아보고 현행 규정의 타당성을 검증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대시설에서의 화재 시 고정주유기까지의 이격거리에 따라 미치는 복사열의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FDS 5.5.3을 사용하여 화재모델링을 하였고, 화원의 크기는 실규모 화재평가 장치를 이용한 사무실의 연소실험을 통한 단위면적당 열방출율을 입력하였다. 화원과 고정주유기의 이격 거리는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3 주유취급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서 명시하는 2 m 부터 이격거리를 1 m 간격으로 늘여가며 10 m까지 화원의 크기를 Case A의 경우 512.41 kW/m2, Case B의 경우 250 kW/m2로 설정하여 총 13개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2 m의 이격거리는 부대시설의 화재 시에 주유기의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소 4m 이상의 이격거리에서 복사열이 피해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부대시설의 화재 발생시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는 설비가 필요하며 부대시설의 용도를 제한하거나 건축물과 고정주유기의 이격거리를 다시 제고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Application of a Turbojet Engine for Fire Extinguishing

  • Slitenko, A.F.;Kim, Soo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권1호
    • /
    • pp.62-69
    • /
    • 2000
  • Present study deals with performance analysis of an inert gas generator (IGG) which can be used as effective means to suppress fire. The IGG uses a turbo-jet engine to generate inert gas for fire extinguishing. It is generally known that a less degree of oxygen content in the product of combustion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ire extinguishing. An inert gas generator system with water injection has advantages of suffocating and cooling effects that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fire extinguishing. Some aspects of influencing parameters, such as, air excess coefficient, compressor pressure ratio, air temperature before combustion chamber, gas temperature after combustion chamber, mass flow rate of water injection etc. on the performance of IGG system are investigated.

  • PDF

콘칼로리미터 연소가스 FT-IR 분석을 위한 국제표준 초안의 비교시험 결과분석 (Results of a Round-Robin Test for the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on FT-IR Gas Analysis of Fire Effluents from a Cone Calorimeter)

  • 최정민;박계원;정재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1-8
    • /
    • 2019
  • ISO TC 92에서는 콘칼로리미터의 연소가스를 FT-IR 방식의 가스분석기로 분석하기 위한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2018년에는 표준 초안(WD 21397)의 절차에 따라 6개 기관이 참여하여 표준 초안의 반복성 및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시험대상 시료는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경질 폴리우레탄 보드 및 PVC 장판이었고 콘칼로리미터 시험결과 중 착화시간(s), 최대 열방출률(kW·m-2), 총 방출열량(MJ·m-2) 및 유효연소열(MJ·m-2·kg-1)을, 그리고 FT-IR 가스분석결과 중 독성가스의 최대 농도(µL·L-1), 가스 발생량(g) 및 가스 수율(g·g-1)을 ISO 5725-2에 따라 통계 분석하여 정밀도를 평가하였다. 이상치(outlier)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콘칼로리미터 시험의 반복성(sr/m)은 1.5%, 재현성(sR/m)은 9.8%로 나타났고 FT-IR 가스분석의 반복성은 12.9%, 재현성은 27.9%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