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damage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3초

Fire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Firewall Structure Associated with Impact Damage Induced by Explosion

  • Hye Rim Cho;Jeong Hwa Yoo;Jung Kwan Seo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99-110
    • /
    • 2023
  • When a fire accident accompanied by an explosion occurs, the surrounding firewalls are affected by impact and thermal loads. Damaged firewalls due to accidental loads may not fully perform their essential funct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advanced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firewalls damaged by explosions. The fragments were assumed to be scattered, and fire occurred as a vehicle exploded in a large compartment of a roll-on/roll-off (RO-RO) vessel. The impact velocity of the fragments was calculated based on the TNT equivalent mass corresponding to the explosion pressure. Damage and thermal-structural response analyses of the firewall were performed using Ansys LS-DYNA code. The fire resistance reduction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fire-exposed and unexposed surfaces, temperature increase rate, and reference temperature arrival time. The degree of damage and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firewalls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impact loads. When naval ships and RO-RO vessels that carry various explosive substances are designed, it is reasonable to predict that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will be degraded according to the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the cargo.

소방설비 작동신뢰성 기반 건축용도별 화재리스크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Fire Risk for each Building Usage Based on the Reliability of Operation of Fire Protection System)

  • 진승현;김혜원;서동구;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3-114
    • /
    • 2020
  • In the design and maintenance of buildings, identifying the degree of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is an important factor in fire prevention and fire safety design. In order to predict fire damage, safety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by predicting the nature of evacuation according to fire, smoke and in-house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the operation of fire safety facilities should also be considered, but in Korea, the risk analysis due to the operation of fire safety facilities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uses fire statistics and sprinkler inspection data to analyze the degree of fire damage caused by the operation of sprinkler facilities in a probabilistic manner.

  • PDF

한국에서의 화재 피해 관련요인 분석 (Analyses on Related Factors with Fire Damage in Korea)

  • 장은미;강병기;박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55-37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화재로 인한 피해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사전 연구를 살펴보고, 주요 화재피해 결정요인에 대한 모델을 만들고 지역환경 요소와 화재피해요소의 변수를 선정하여 상호인과관계 모형을 정립하였다.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28개의 시군구 자치단체별로 공표된 통계를 선정하여, 화재피해에 대한 4개의 종속변수와 22개의 독립변수를 선정하여 검증을 하였다. 독립변수는 인적 취약성, 물리적 취약성, 경제적 취약성 및 경감요소와 지역의 특성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선택된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준로그 모형을 적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22개의 독립변수 중에서 만명당 재난약자수, 만명당 제조업 종사주수, 만명당 연료소매업 종사자수, 만명당 음식 요식업 종사자수는 화재의 발생건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이와는 달리 화재로 인한 사망자수는 만명당 사회복지사수와 상업지구비율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외에 화재로 인한 경제적 손실값을 설명하는 변수로는 만명당 부과된 재산세가 유의미한 변수로 도출되었다. 단순히 인구와 면적으로 소방에 필요한 자원을 배분하지 않고 피해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 결과물은 화재예방정책과 화재안전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터널화재시 콘크리트 라이닝의 폭렬 및 화재손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Damage and Spalling of Concrete Lining in Tunnel Fire)

  • 김흥열;김형준;조경숙;이재승;권기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10-120
    • /
    • 2009
  • 터널의 경우 타구조물에 비해 화재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지는 않으나, 밀폐된 공간이라는 특성상 5분 이내 $1000^{\circ}C$ 이상으로 급격한 온도상승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시 대형 인명피해 및 화재 후 막대한 보수 보강비용이 파생된다. 이러한 터널화재로 인한 구조적 손상을 규명하기 위해, KS F 2257-1과 EFNARC 규정에 부합하고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의 화재손상평가가 가능한 가열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가열로를 실증실험에 사용하여 터널화재 시나리오(ISO, $1^{\circ}C$/SEC, MHC, RWS)에서의 콘크리트 PC패널라이닝의 폭렬특성과 화재손상범위를 ITA기준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실증실험결과 ISO 화재조건에서는 30mm, $1^{\circ}C$/SEC에서는 20mm, MHC에서는 100mm, RWS에서는 50mm로 화재손상범위가 평가되었으며, 폭렬깊이는 RWS와 MHC 화재조건에서 30mm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자 통계자료를 활용한 건축물 화재 위험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Analysis of Building Fire Using Statistical Data of Casuals)

  • 진승현;김혜원;구인혁;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8-49
    • /
    • 2021
  •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fire risk of a building is to predict damage or loss of life and property in unspecified circumstances and to minimize expected damage. The fire risk assessment for buildings in Korea analyzes fire risk according to performance-oriented design under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ire Facilities Act and the Fire Causing Index under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Multi-Use Business Act. Fire risk analysis is mainly conducted by using fire statistics or analyzing the results of safety inspections of buildings. In the case of fire statistic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ire risk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fire damage in each number of fires, as all fires received by the fire department are collect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ise fire safety measures for buildings by predicting the number of casualties that may occur due to fires in each building.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asualties by building use using the number of fires judged to have grown.

  • PDF

우리나라 30 ha 이상 산불피해의 분포 및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Damage over 30 ha in Korea)

  • 이형석;이시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39-46
    • /
    • 2011
  • 산불 발생에 대한 방지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과거 산불 자료의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1975년부터 2010년까지의 우리나라 산불 통계자료를 근거로 30 ha 이상 산불 피해의 분포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30 ha 이상 산불 피해의 발생건수는 1978년에 2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1970 년대 이후부터 2000년대 들어서서 산불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주로 30 ha~50 ha의 규모 정도의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강원 지역의 산불이 총 66건(37.0 %)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점밀도 분석 결과로는 강원 지역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30 ha 이상 산불 피해는 4월에 발생건수가 114건(63.0 %)으로 가장 높았으며, 일요일에 44건(24.3 %)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1975년 이후로 산불 발생 건수와 피해액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산불관련 기관에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불방지 정책 수립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산불피해지역에서 숲 가꾸기 실행유무가 산불에 미치는 영향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the forest characteristics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on forest fire burnt area)

  • 이시영;이명욱;염찬호;권춘근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53-156
    • /
    • 2008
  •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the forest characteristics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on forest fire burnt area was studied in this work.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inning slash in forest fire, Gangneung-si Wangsan-myeon, Ulgin-gun Wonnam-Myeon, Samchok-si Gagok-Myeon, in which forest fire broke out, were selected. As a result that investigated forest fire danger ratio between thinning slash and non-thinning slash, leeward scorching ratio(36%), crown damage ratio(29%), mortality of branch at the former are higher than those at the latter, leeward scorching ratio of tree, where thinning slash is around, is 10%-20% higher than that of independent tree. So I estimate that thinning slash has a some effect on the intensity of forest fire. And the result to investigate damage of forest fire according to tree species shows that leeward scorching ratio of conifer is 5% higher than that of non-conifer, and mortality of branch of the former is 19% higher than that of the latter. It is considered that forest fire may affect directly to a tree trunk if it diffuse to piled thinning tree because there was no space between thinning trees and tree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re-ignition had a chance to occur due to lots of piled thinning trees.

  • PDF

THE INTEGRATION OF COMPONENTS OF FIRE TECHNOLOGY

  • Marchant, Eric W.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11-18
    • /
    • 1997
  • Fire safety systems in large buildings are likely to be complex and may be designed independently of other systems. This means that the interactions and interfaces between the fire safety systems and between the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and the fire safety systems may not be carried out properly. Many large, recent buildings have many technological component systems that are used for the control of the environment within the building. Because of the "special" nature of the fire safety systems there is little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possibility systems with a dual function. However, many of the functions of fire safety systems are extensions of systems that provide the day to day control over the internal environment. The present world-wide trend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codes, and regulations, will enable the functional design of all systems and thereby allow closer integration of the "ordinary" and "special" systems. Some aspects of the functional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ystems in buildings are introduced and discussed. Special reference is made to the contributions of the systems to the minimisation of fire damage.e minimisation of fire damage.

  • PDF

LNG 재기화 공정에서 LNG 누출에 따른 화재 및 폭발사고의 피해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f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due to LNG Leaks in the LNG Re-gasification Process)

  • 이윤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25-83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LNG 공급계통시스템의 재기화 공정에서 배관 손상으로 인한 누출사고 발생시 LNG 성분 및 누출공의 크기에 따른 연소특성에 대한 피해범위를 산출하고, 피해영향을 해석하였다. LNG 성분에 따른 연소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7곳의 LNG 산지별 위험도를 확인한 결과 산지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LNG 구성성분 중 메탄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플래시화재 발생범위 및 증기운 폭발에 의한 과압이 발생하는 위험범위 그리고 제트화재 발생에 의한 열 복사량 피해영향이 다른 산지에 비해 비교적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배관 누출공의 크기에 따라 누설, 파공, 파괴 3단계에 나누어 위험 범위 및 폭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플래시화재로 인한 피해영향범위를 계산하고, 이에 따라 LNG 누출시 화재가능 위험범위를 확인했으며, 과압의 영향 및 복사열로 부터의 피해범위를 예측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LNG 조성 및 배관 누출공의 크기가 화재 및 폭발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었다.

지역 유형별 화재 피해 특성변수 모델: 가설과 검증 (Regional Characteristics Model to Explain Fire Damage Elements : Hypotheses and Verification)

  • 강병기;장은미;최갑용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79-393
    • /
    • 2015
  • 도시화와 산업화로 화재 빈도는 감소하나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와 피해액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자체 수준에서 지역의 화재안전에 대한 정책은 소방서에 의존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기존 화재 통계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기술적 통계에 의존하여 전체적인 경향성을 설명하는데 그치고 있는데 비해 본 연구는 화재의 피해를 화재로 인한 사망자수, 화재로 인한 부상자수, 화재로 인한 피해액을 종속변수로 하고 전국 222개 지자체에 대한, 5년간의 공적 통계를 활용하여, 15개의 변수를 4개의 요인으로 그룹화 한 후에 가설을 세우고 특별시 및 광역시 단위 소속의 구와 도 소속의 시와 도 소속의 군으로 그룹을 지어 헤도닉 분석법에 의해 회귀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화재피해를 설명하는 결정요인이 시 군 구의 수준즉 지역 특성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인구와 면적기준의 소방력 배치 원칙과 더불어 향후에 소방정책과 화재안전 활동에 가장 중요한 변수로 삼았던 원칙을 넘어 보다 유연한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으며, 특히 재난 약자의 수에 비례한 소방력 확충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