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Route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7초

지하역사 제연경계벽의 제연 효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moke Barriers in the Subway Station)

  • 김범규;김희영;이성미;박용환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04-208
    • /
    • 2008
  • Casualties Damage from Smoke is very serious consequence. Especially, Damage from smoke in in the Subway Station is the terrible result. Smoke from the fire in the Subway Station that evacuation route on the path and the sight of refugees caused by serious traffic problems. Accordingly, A study on Smoke barriers of smoke systems take into considerations relate to effects depending on wind velocity speed of the piston effect come into the retarding effect of smoke control in smoke barriers. As a result of modeling, According to increasing of Velocity in the platform which installed smoke barriers were been on the increase spreading quantity of smoke in the right direction of upstairs however, In contrast spreading quantity of smoke in the left direction on the upstairs were been on the decrease.

  • PDF

컴퓨터시뮬레이션에 의한 피난행태예측 및 안전성능평가방법에 관한 연구(II)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Building Safety Performance and the Prediction of Occupants′ Egress Behavior during Building Fires with Computer Simulation)

  • 최원령;이경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1-19
    • /
    • 1989
  •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floor plan configulation.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occupant's egress behavior, especially spatial movement pattern, and life - safety performance of building. Fire events were simulated on single story of office building. Simulation run for allowable secaping thime(180 seconds) arbitrarily selected, and involved 48 occupants. The major findings Pre as follows. 1) Computer simulation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Preoccupancy evaluation method of the life-safety performance for architectural design based on prediction of occupants' egress behavior in the levels of validity and sensitivity, 2) Sucess or failure in occupants' escape is determined by decreasing walking speed caused by jamming at exits or over crowded corridor, and increasing route length caused by running about in confusion at each subdivision and corridor. 3) In floor plan configuration which safe areas located at the extreme ends of the corridor, cellular floor planning have to be avoided preventing jamming and running about in confusion at overcrowded corridor.

  • PDF

Evacuation Safety Evaluation According to Slope of the School Ramps

  • Choi, Chang-Jun;Kong, Ha-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1호
    • /
    • pp.184-196
    • /
    • 2021
  •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safety of evacu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SET according to the slope change of the ramp, which is a vertical evacuation route in case of fire in a high school building, Evacuation simulation was run the Pathfinder program changed the slope of the ramp to 10°, 15°, and 20° for each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t was analyzed that when the final RSET slope was 15°, 25.7 seconds were shorter than when 10°, and 4.2 seconds were shorter than when 20°. Male students also found that when the final RSET slope was 15°, 23.8 seconds were shorter than when 10°, and 5.4 seconds shorter than when 20°. It was analyzed that even if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increased and the evacuation simulation was executed, the safety of evacuation could be improved when the slope of the slope is 15° as the RSET when the slope of the slope is 15° is shorter than that of 10° and 20°.

MULTI-SENSOR INTEGRATION SYSTEM FOR FOREST FIRE PREVENTION

  • Kim Eun Hee;Chi Jeong Hee;Shon Ho Sun;Jung Doo Young;Lee Chung Ho;Ryu Keun 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450-453
    • /
    • 2005
  • A forest fire occurs mainly as natural factor such as wind, temperature or human factor such as light. Recently, the most of forest fire prevention is prediction or prevision against forest fire by using remote sensing technology. However in order to forest fire prevention, the remote sensing has many limitations such as high cost and advanced technologies and so on. Therefore, we need to multisensor integration system that utilize not only remote sensing but also in-situ sensing in order to reduce large damage of forest fire though analysis of happen cause and prediction routing of occurred forest fi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sensor integration system that offers prediction information of factors and route of forest fire by integrates collected data from remote sensor and in-situ sensor for forest fire prevention. The proposed system is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for collect observed data from various sensors. The proposed system not only offers great quality information because firstly, raw data level fuse different format of collected data from remote and in-situ sensor but also accomplish information level fusion based on result of first stage. Offered information from our system can help early prevention of factor and early prevision against occurred forest fire which transfer to SMS service or alert service into monitoring interface of administrator.

  • PDF

인공신경망 기반 상업용 건축물의 화재 피난허용시간 평가 (Evaluation on Fire Available Safe Egress Time of Commercial Building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 할리오나;허인욱;최승호;김재현;김강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11-120
    • /
    • 2021
  • 상업용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피난경로가 복잡하고 연기 및 화염의 진행방향이 재실자의 피난방향과 비슷하기 때문에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에 대한 성능기반 피난설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성능기반 피난설계를 건축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건축물에 대한 복잡한 화재 시뮬레이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지 않고도 합리적으로 피난허용시간을 도출할 수 있는 피난허용시간 예측 모델을 개발한다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상업용 건축물에 대한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온도와 가시거리, 온도와 유독가스 농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피난허용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ANN)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인공신경망 모델이 다른 상업용 건축물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다른 상업용 건축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제안모델은 이 상업용 건축물의 화재 시 피난허용시간을 매우 우수한 정확도로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소거주공간 진화를 위한 EO/IR카메라 구현 (Implementation of EO/IR Camera for Fire-fighting of Narrow Space)

  • 박현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8-629
    • /
    • 2018
  • 최근 도심지내 주거공간은 다세대 거주공간으로 변화하여 화재 발생시 연기 충전이 발생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피난경로와 연기의 유출 방향이 동일하여 피난자의 연기 흡입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도심지 주거공간과 같은 협소거주공간에서 화재를 진압할 때는 화점 탐색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 소방관 헬멧에 장착하여 화점 탐색에 활용할 수 있는 EO/IR센서를 구현하고 이에 대한 동작시험을 함으로서 향후 화점탐색센서 연구 및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보충량과 누설량을 고려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Pressurization System of Smoke Control in Consideration of Flow Rate of Supply and Leakage)

  • 김정엽;신현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87-93
    • /
    • 2010
  • 화재 시 피난 및 소화활동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인명안전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연기의 제어를 위한 제연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고층 건축물의 화재 시 피난계단으로의 연기 침투를 방지하여 안전한 피난경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화재안전기준 NFSC501A의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 제연용 송풍기와 수직풍도를 이용하여 거실과 계단실 사이에 위치하는 부속실에 외기를 급기함으로써 부속실을 단독으로 제연하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20층 규모의 모델 건축물을 대상으로 NFSC501A 기준과 엔지니어링 설계방안을 바탕으로 급기가압제연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네트워크 모델의 수치해석기법을 사용하여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 내 압력장을 분석 하였다.

대구 지하철역 제연의 문제점과 대책 II. 배기방식 제연설비의 풍량 (A Numerical Simulation of Smoke Control in Daegu Subway Stations II. Air Flowrate of Extraction System)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05-110
    • /
    • 2003
  • II부에서는 I부에서 3가지 기계제연방식 중에서 가장제연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배기방식의 풍량 0.6∼2.4 ㎥/s와 두 화재크기 200 ㎾와 2 ㎿에 대한 공간내 온도와 연기입자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I 부와 동일한 수치법을 동일한 계산영역에 적용한 결과, 배기풍량은 제연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화재크기에서 풍량의 증가가 제연성능을 개선하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주어진 조건에서 대피로의 온도를 $60^{\circ}C$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2.4 ㎥/s 이상의 배기풍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공간위험정보를 적용한 대피자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cuees Risk Assesment for Application of Spatial Risk Information)

  • 홍승범;장재순;박현아;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8-12
    • /
    • 2015
  • 성능위주소방설계 초기단계로서 피난안전성평가에 있어서 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과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를 계산하여 단순비교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DS를 이용하여 열, 연기, 독성가스 등에 대한 위험정보값을 추출하였다. 또한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Artisoc를 이용하여 FDS에서 추출한 위험정보값을 적용하였다. 건축물의 구조는 가로 60 m, 세로 65 m로 구성하였으며, 출입구는 2곳에 설치하였으며 재실자는 50명을 랜덤하게 배치하였다. 시뮬레이션은 case1~case20 까지 총 20회에 걸쳐 진행하여, 피난 경로별 위치에 따른 재실자의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위험정보값을 적용하여 기존의 단순비교 하던 피난안전성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위험정보값 전달기반의 평가기법을 제시하였다.

FFM과 FDS를 이용한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Fire Evacuation Simulation Using FFM and FDS)

  • 이재영;이민혁;전철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6-67
    • /
    • 2018
  • 일반적으로 화재 및 대피에 대한 안전성을 진단하기 위해 화재 시뮬레이터와 대피 시뮬레이터를 독립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방식은 화재 확산을 고려한 보행자의 움직임이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의 안전성 진단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확산을 고려한 보행자의 움직임을 묘사할 수 있는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뮬레이션 기법은 FDS(Fire Dynamics Simulator)의 화재 확산 데이터를 보행모델 FFM(Floor Field Model)에 반영하여, 보행자가 화재를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회하여 안전한 경로로 대피하는 상황을 묘사한다. 연구 범위는 FDS와 FFM 간의 데이터 연동 및 화재 확산을 고려한 FFM 개발로 구성되며, 제안한 방법론의 실험은 대피 시뮬레이터 EgresSIM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화재의 유무에 따른 출구별 대피인원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출구별 대피시간 증감과 병목현상의 심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