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Numerical Analysis on Pressurization System of Smoke Control in Consideration of Flow Rate of Supply and Leakage  

Kim, Jung-Yup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실)
Shin, Hyun-Joon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실)
Publication Informatio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v.24, no.5, 2010 , pp. 87-9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fact that the smoke hinders evacuation and fire-fighting activities as well as becomes the major cause of life casualt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moke control system. As one of the fire safety standards designed to secure the smoke safety, NFSC501A (Design Guide for Smoke Control System of Special Evacuation Stairwell and Lobby) has been proposed, preventing smoke from penetrating into the smoke-free escape route by raising the pressure of the smoke control zone higher than fire area. For model building of 20 stories, pressurization system was designed according to standard and pressure field of compartments in whole building induced by pressurization system was analyzed using the network model.
Keywords
Smoke control system; Pressurization; Numerical analysis; Network mode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정엽, 신현준, "고층건물 제연시스템에서 피난문 개방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23-28(2009).
2 김진수, "피난계단 제연설비의 과압배출 댐퍼에 대한 고찰", 대한설비공학회 설비건설부문 학술강연회 논문집, pp.51-61(2002).
3 김상욱, "건축물의 제연설비", 한국설비기술협회지, Vol.22, No.8, pp.78-91(2005).
4 김명배, 한용식, "건물의 가압방연시스템 설계를 위한 유동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Vol.14, No.2, pp.14-20(2000).
5 조재훈, "고층 주거건물에서의 압력분포 시뮬레이션 및 압력차 문제 해결",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Vol.21, No.11, pp269-276(2005).
6 NIST, CONTAMW 2.4 User Guide and Program Documentation(2008).
7 J.H. Klote and J.A. Milke, Principle of Smoke Management(2002).
8 BS EN12101-6, Smoke and heat control systems Part 6: Specification for pressure differential systems (2005).
9 G.T. Tamura, "Fire Tower Tests of Stair Pressurization Systems with Overpressure Relief", ASHRAE Trans., Vol.96(1990).
10 G.T. Tamura, "Assessment of Stair Pressurization System for Smoke Control", ASHRAE Trans., Vol.98(1992).
11 NFPA 92A, Standard for Smoke-Control Systems Utilizing Barriers and Pressure Differences(2006).
12 NFSC501A,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2009).
13 박형주, 김상욱, "국내 고층건물의 피난성능확보를 위한 급기가압방연(제연)시스템의 제도개선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15, No.4, pp.49-56(2001).
14 박용환, "급기가압 댐퍼의 설정 기준압에 따른 부속실 차압 특성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1,No.4, pp.12-17(2007).   과학기술학회마을
15 윤영민, 이민정, 김남일, 유홍선, "풍도 내 유동 교란과 자동차압 댐퍼의 성능 특성 기초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3, No.6, pp.16-23(2009).   과학기술학회마을
16 허영준, 유철권, "기계 제연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 대책에 관한 연구", 설비저널, Vol.32, No.1, pp.27-35(2003).
17 이용재, 김운형, "고층 공동주택 제연설비의 안전성능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pp.74-79(2000).
18 김정엽, 이동호, 김하영,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현장 성능평가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pp.251-254(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