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Official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4초

목조 문화재 건축물의 화재 방재를 위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Fire-Safety in Cultural Property Wooden Buildings)

  • 장형순;조원석;김흥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25-32
    • /
    • 2008
  • The prevention of disasters in cultural property is very important management and historical duties. The reason can't be measured values with monetary scale of our contemporary. Therefore, this paper was considered fire-safety as one of terrible threat-disasters about the wooden buildings. This research deal with 47 cases cultural property wooden building by whole investigation(field survey and interview) in Gangnung province. The most buildings have basic fire extinguisher; ABC powder. A few buildings are rarely installe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s; outdoor fire hydrant, heat sensor, ground sprinkler, CO2-hose-reel. But these state is very insufficient for the fire-safety in cultural property wooden buildings. Specially as particular attention in province, forest fire of regional characteristic have close relation with cultural property fire. The majority of factor against forest and building fire is to provide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CCTV, Fence, Sensor, Alarm and paid guard man against incendiary.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system with the organic cooperation such a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orest Service,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regional citizen.

  • PDF

소방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방화원인 조사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fighter and Police Officer's Perception about the Arson Cause Investigation)

  • 고기봉;이시영;채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5-32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방화원인조사를 주로 담당하고 있는 소방과 경찰관서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방화원인조사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결과 방화통계관리를 위한 전담부서의 설치, 광역 방화원인조사전담팀의 설치,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이외의 화재감정기관의 설립, 화재조사 장비 보유기준 제정, 방화(화재)원인조사 전문교육제도의 개선, 방화(화재)원인조사 담당자들의 전문화를 위한 제도개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의 식사속도와 대사증후군에 관한 연구 (Relation of Eating Speed and Metabolic syndrome in Fire fighters)

  • 이창섭;김지희;방성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13-119
    • /
    • 2014
  • 소방공무원은 근무 중 예고 없이 출동해야 하기 때문에 식사속도가 빠를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 식사속도가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소방공무원과 다른 직종 종사자에 대한 식사속도를 측정하였다. 식사에 소요되는 평균시간 측정결과, 소방공무원이 8분 29.00초로 가장 짧았으며, 해양경찰공무원 8분 33.17초, 군인 10분 44.77초, 일반직공무원 12분 49.33초, 대학생 14분 15.00초, 일반회사원 16분 51.00초 순으로 측정되었다. 빠른 식습관은 체중증가 및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국 소방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8년간 7.7파운드의 체중증가가 있었다고 발표되었다. 소방공무원의 식사시간을 늦추기 위해서 각 소방학교의 교육과정 중에 건강에 유익한 식습관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의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관한 의식조사연구 (A Study on Survey of Non Face to Face Realtime Education Focused on Firefighter in COVID-19)

  • 박진찬;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22-732
    • /
    • 2021
  •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 펜데믹으로 인해 모든 교육기관은 전면 비대면 실시간 교육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이에 소방공무원에게도 비대면교육을 적용하여 소방교육을 운영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펜데믹 상황에서 중앙소방학교가 소방공무원에게 실시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비대면 실시간 교육의 방향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시 하려한다. 연구방법: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질적 향상 및 전문화를 위한 의식조사' 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심층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첫째, 교수자 혹은 교육운영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특성에 맞는 원격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비대면 교육을 위한 전용노트북을 제공하여 모든 학습자들이 교육 참여에 어려움 없는 교육환경을 제공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소방공무원 교육훈련 특성상 장비 활용이 필요한 교육훈련의 경우에는 각 소방서에 교육 장비를 배치하여 비대면 실습교육 장소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실습교육은 이론교육으로 대처하는 것은 만족스러운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렇기에 비대면 실시간 실습교육이 가능한 시설과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한다. 그러한 비대면 실습교육이 가능해지기 전까지는 사회적 거리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대면교육을 적절하게 병행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다섯째, 비대면 교육은컴퓨터 화면의 불빛과 전자파로 인하여 눈의 피로도가 높고 시간이 흐를수록 집중도가 많이 떨어진다는 의견으로 보아 적절한 수업시간과 휴식시간을 통해 학습자의 눈의 피로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시간을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수자는 일방적인 지식전달을 하는 교육보다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학습자 참여 중심의 교육을 운영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대면 원격교육 기술적인 문제는 사전시스템 점검을 통해 교육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요소에 의한 공간만족평가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천지방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Influence Factors on Job Satisfaction Factor and Spatial Environments Evaluation of Fire-Fighting Officer - Focused on Fire Official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

  • 한명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61-69
    • /
    • 2016
  • A study on how fire officer's job satisfaction factors influence space satisfaction rates. This article will conduct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tudy on these three problems. 'What are the factors of fire officer's job satisfaction?', 'Does space satisfaction rates influence job satisfaction rates?', 'Which job satisfaction factor influence space satisfaction rate?' Therefore, variables were set based on the prior study, and befor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variables were purified through analysis on primary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hypothesis test was done via variable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prior study, factor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rates are as following; self-regulation of tasks, ethics and responsibility level,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job identity. A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pace satisfaction rates do not influence job satisfaction rates. The writer thinks that it's showing that Korean fire officers tend to prioritize colleague relationship and job identity over space improvements. And the factor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rates turned out to be the self-regulation of tasks, and the writer estimates that it's reflecting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 culture of current Korean fire officers. Therefore, future Korean fire station design plans need to consider a space plan that provides fire officer's private self-regulation of tasks.

한국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담당공무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Recognition of Government Officials Regarding Kore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Charge)

  • 이정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0-25
    • /
    • 2010
  • 현대사회에서 재난의 잠재력이 커질수록 재난을 대비하고 대응하는 국가의 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강화하기 위하여 재난관리담당부서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받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관리 기관 간 협력관계, 둘째, 재난관련법 제정 및 재난전담부서의 필요성 셋째, 재난관리 상황적 변수에 대한 인식으로 재난관리 상황요인에 대한 전반적 인식, 재난유형에 대한 전반적 인식, 재난규모에 따른 발생가능성에 대한 인식, 넷째, 재난관리의 구조적 변수에 대한 인식으로 재난관리에 대한 소방방재청, 유관기관, 지방자치단체의 인식 차이, 예방-대비-대응-복구단계의 혼선에 대한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o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olice Officials-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배점모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99-10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직무 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 및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첫째, 직무나 조직의 특성과 관련된 직무스트레스요인들이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대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요인은 역할모호성과 지각된 비통제감인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직무만족에서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가 아주 크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유의미하였다. 셋째, 역할과중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은 직무만족이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경우에는 직무만족이 유의미하게 조직몰입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화재와 관련된 국가배상 사례의 분석 (Analysis of Fire-Related State Compensation Cases)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109-117
    • /
    • 2019
  • 화재발생의 직접적인 원인 제공자들이 그 화재로 인한 피해자들에게 손해배상을 할 능력이 없으면 피해자들은 소방기관에 국가배상책임을 물어 피해구제를 받으려는 경향이 있다. 2가지 국가배상 사례 분석에서 화재로 인한 손해와 소방공무원의 화재예방 또는 소방특별조사 활동과 관련된 과실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으면, 법원은 소방기관에서 피해자에게 손해를 배상하도록 판결함을 알 수 있었다. 2017년 12월 26일 「소방기본법」이 개정되어 '소방활동에 대한 면책' 조항이 마련되었지만 면책을 받으려면 그 활동의 불가피성이 입증되어야 하는데, 화재예방이나 소방검사 활동은 구조·구급활동과 달리 그 활동의 불가피성을 입증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화재와 관련된 국가배상 청구 소송은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Job Stress of Firefighters)

  • 채진;우성천;고기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28-34
    • /
    • 2012
  • 효과적인 조직운영을 위한 직무스트레스의 관리는 무엇보다 조직구성원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직무로 발생하는 스트레스의 역기능을 최소화하거나 스트레스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조직 효과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결과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영향요인은 심리적 환경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이며, 그 다음으로는 조직문화, 신체적 환경 순으로 나타났으며 행정업무와 인간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소방공무원의 부패 저감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Reduction of corruption of the Fire officials in Korea)

  • 채열식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81-89
    • /
    • 2010
  • 오늘날 부정부패 문제는 한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관심으로 떠올랐다. 세계 각 국가들은 부정부패척결이 자국의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고 국가발전을 가져온다는 공통된 인식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나라가 21세기에 선진제국과 대등한 위치에서 그 역할을 수행하려면 부정부패 척결이 매우 긴요한 과제라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부정부패의 추방에는 여야의 구분도 계층의 차이도 있을 수 없다. 지속적인 부패척결과 노력과 더불어 부패현황과 반부패정책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이 확립되어야 한다. 그리고 완전한 소방부패 근절과 저감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무원뿐만 아니라 전체 국민의 의식변화까지 도모해야 진정한 성공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 모두가 변화하는 21세기 청렴라운드시기에 조응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