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irefighter and Police Officer's Perception about the Arson Cause Investigation

소방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방화원인 조사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 고기봉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이시영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채진 (군포소방서)
  • Received : 2010.03.11
  • Accepted : 2010.06.1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research derived the perception with, and their remedies, in our country's fire cause investigation system by conducting survey on the working-level officials responsible for fire cause investigation in the fire stations and police station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departments exclusively responsible for fire statistics management, broad area fire cause investigation task force, fire appraisal organizations besides National Institute of Scientific Investigation, standards for retaining fire investigation equipment, ways of improving technical education system, and improving the system for those who are specialized in arson (fire) cause investiga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방화원인조사를 주로 담당하고 있는 소방과 경찰관서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방화원인조사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결과 방화통계관리를 위한 전담부서의 설치, 광역 방화원인조사전담팀의 설치,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이외의 화재감정기관의 설립, 화재조사 장비 보유기준 제정, 방화(화재)원인조사 전문교육제도의 개선, 방화(화재)원인조사 담당자들의 전문화를 위한 제도개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중앙소방학교, 화재조사론 II, p.301(2009).
  2. 박형민, 방화범죄의 실태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소식, 제87호 1/2월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p.31 (2005).
  3. 박형민, 방화범죄의 실태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소식, 제87호 1/2월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p.31 (2005).
  4. 고기봉, 이시영, "화재조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3, No.2, pp.105-106 (2009).
  5. 인터넷 네이버 검색, "급증하는 보험사기 전직 수사관 인기짱", 내일신문, 2008년 5월 5일(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