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Officers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19초

소방공무원의 근무형태에 따른 수면의 질, 직무스트레스, 피로도, 직무만족 및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차이 (Differences in quality of sleep, job stress,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in fire-fighting officers)

  • 최진;송연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9-162
    • /
    • 2018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근무형태에 따라 수면의 질, 직무스트레스, 피로도, 직무만족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차이를 알아보고, 근무형태에 맞는 심리치료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소방공무원 32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5월 2일부터 5월 2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방공무원의 근무형태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수면의 질, 피로도 차이는 없었다.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화재진압과 구조 구급근무형태였다. 또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수면의 질,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피로도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고 있는 소방공무원들은 수면의 질,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피로도의 어려움을 함께 경험하고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소방공무원 근무형태에 따라 수면의 질, 직무스트레스, 피로도, 직무만족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심리치료 기초 자료를 제공할 때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이 좋아질 것이다.

신임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이 현업적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Training of New Fire Officers on Job Implementation)

  • 채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2호
    • /
    • pp.131-140
    • /
    • 2020
  • 신임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의 효과가 현업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적용되는지에 대한 검증작업은 극히 미미한 상태이며, 학습자 특성, 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 등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주장되는 직무만족에 따른 현업적용의 실증적 검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신임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학습자 특성, 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 등이 재난현장과 소방행정 집행의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임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이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특성과 학습성과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과 교육프로그램, 학습성과와 학습자특성이 현업적용도에 유의미한 영향(P < 0.0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현장 소방공무원의 회복실 운영모델 개발 (Using AHP to Develop a Rehabilitation Room Management Model for Fire Officers at Disaster Sites)

  • 임동균;채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115-12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의 안전과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재난현장 소방공무원 회복실 운영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해외의 운영사례 및 선행연구의 회복실 운영 관련 요소들을 분석하여 관리적 요인과 운영 인력적 요인, 설비적 요인, 접근성 및 편의성 요인 등으로 분류하고,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하였으며, 분야별 중요도의 하위 계층에 대한 중요도를 측정하여 재난현장 소방공무원 회복실 운연을 위한 항목들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전문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재난현장 회복실 운영에서 운영 인력적 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 및 편의성 요인, 관리적 요인, 설비적(비품) 요인, 설비적(장비)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재난현장 회복실 운영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경력탄력성의 관계: 직무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areer Resilience of Fire Fighting Officers: The Mediation Effect of the Job Efficacy)

  • 한혜경;김갑숙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155-163
    • /
    • 2019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경력탄력성의 관계에서 직무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한 4개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151명이며, 연구도구는 직무스트레스(SPSS) 척도, 경력탄력성 척도, 직무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상관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경력탄력성, 직무효능감과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직무효능감과 경력탄력성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직무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경력탄력성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매개자원인 직무효능감은 소방공무원의 경력탄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끝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도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oci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in Fire Officers)

  • Choi, Miyuong;Moon, Taeyoung;Lee, Hyeonji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48-55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도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강원, 경기, 서울에 소재하는 소방안전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남녀 251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15일부터 5월 12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로 검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방공무원들의 사회적 지원과 직무만족도 및 소진 간에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원의 하위요인인 상사의 사회적 지원(${\beta}=-.469$)과 동료의 사회적 지원(${\beta}=.934$)로 나타났으며,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원의 하위요인인 상사의 사회적 지원(${\beta}=-2.081$)과 동료의 사회적 지원(${\beta}=3.117$)로 나타났다. 총 설명력은 각각 31.1%와 21.1%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소방공무원의 공상관리제도에 대한 실증연구 (Empirical Study on Injury Management System of Fire-Fighting Officer)

  • 권설아;오명근;이주호;이민규;박상호;현승효;류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14-125
    • /
    • 2019
  • 재난현장의 극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소방공무원들의 공무상 부상빈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증가하는 공상에 비하여 공상승인이나 관련 절차는 복잡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관리 측면에서의 근무환경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시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공상관리제도에 대한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소방공무원들의 공상관리제도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실증분석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상에 대한 경험 빈도가 타 직군에 비해 높다. 둘째, 공상신청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셋째, 공상승인 시 자부담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실태분석을 토대로 공상관리제도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요인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상신청 개선 요인을 위해서는 공상신청 심의 시 고위험 제반사항 고려가 필요하고, 공상관리제도 운영 개선 요인을 위해서는 공상자 혜택 및 지원사업 확대가 필요하다. 그리고 공상제도 개선 요인을 위해서는 보상 관련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공상관리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피해 예방 및 대처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공상신청 행정절차의 간소화 및 공상자 혜택 및 지원사업 확대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하고, 아울러 기관장의 관심 및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방공무원의 직무수행 스트레스 치유에 관한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Regarding the Healing of Job Performance Stress of Fire Fighting Officers)

  • 김종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520-531
    • /
    • 2019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이 직무수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치유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7명의 현직 소방공무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개별적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의 경험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17개의 주제묶음과 5개의 하위범주와 3개의 범주화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다양한 민원해결 과정에서 직무수행에 따른 스트레스가 강박적 불안, 우울감, 수면장애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수행에 대해 강한 자부심과 소명감을 보이지만 퇴직 이후 삶에 대해 두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스트레스는 직업적 소명의식과 동료애, 가족의 지지 등의 긍정적 경험으로 상쇄되고 치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높은 직무 스트레스는 지속적이고 복합적인 신체적 문제와 정서적 심리적 문제들로 발전되어 직업적 소명이나 동료애, 가족 지지 만으로는 치유에 한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에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수행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 치유를 위해 직무 환경개선 뿐만이 아니라 심리 정서 지원과 직업소명의식과 동료애 강화, 가족의 정서적 지원을 위해 복합적이고 체계화된 지원프로그램 운영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소방공무원의 화생방테러 응급의료훈련 교육과목 개설에 대한 제언 (A Proposal on the Development of Chemical-Biological-Radiological-Nuclear-Explosive (CBRNE) Emergency Medical Training Program for Fire Officers)

  • 김지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99-104
    • /
    • 2007
  • 세계화 추세에 맞추어 우리나라에서 많은 국제회의 및 국제 운동경기가 개최되고 있다. 2001년 미국 911 테러 이후 이라크 파병 등으로 인해 우리나라도 테러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불안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생물테러와 폭탄테러 등이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소방공무원에 대한 화생방테러 교육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소방공무원을 위한 화생방 응급의료 교육훈련 교과목을 제언하고자 한다.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요소에 의한 공간만족평가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천지방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Influence Factors on Job Satisfaction Factor and Spatial Environments Evaluation of Fire-Fighting Officer - Focused on Fire Official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

  • 한명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61-69
    • /
    • 2016
  • A study on how fire officer's job satisfaction factors influence space satisfaction rates. This article will conduct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tudy on these three problems. 'What are the factors of fire officer's job satisfaction?', 'Does space satisfaction rates influence job satisfaction rates?', 'Which job satisfaction factor influence space satisfaction rate?' Therefore, variables were set based on the prior study, and befor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variables were purified through analysis on primary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hypothesis test was done via variable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prior study, factor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rates are as following; self-regulation of tasks, ethics and responsibility level,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job identity. A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pace satisfaction rates do not influence job satisfaction rates. The writer thinks that it's showing that Korean fire officers tend to prioritize colleague relationship and job identity over space improvements. And the factor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rates turned out to be the self-regulation of tasks, and the writer estimates that it's reflecting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 culture of current Korean fire officers. Therefore, future Korean fire station design plans need to consider a space plan that provides fire officer's private self-regulation of tasks.

소방공무원의 성인애착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Job Stress of Fire Officers)

  • 장철인;김상옥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154-165
    • /
    • 2019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성인애착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현직 소방공무원 4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애착의 불안정 애착과 직무 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 성인애착의 불안정 애착과 자아탄력성을 부적상관관계,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은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성인애착의 불안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며, 회피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자아탄력성의 중요성과 소방공무원의 직업적 특성을 고려한 자아탄력성을 증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개인의 심리, 정신적인 요인도 같이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