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pirical Study on Injury Management System of Fire-Fighting Officer

소방공무원의 공상관리제도에 대한 실증연구

  • Received : 2019.01.04
  • Accepted : 2019.02.12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e frequency of official injury of fire-fighting officers exposed to an extreme situation in disaster area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In spite of increase of injury, procedures of injury approval are complex, so the working environment of fire-fighting officers is very poor in terms of safety management. This study was, therefore,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the injury management system for fire-fighting officer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system for those in Busan city. The finding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injury experienced by them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occupations; second, application for injury is not actively made; third, fire-fighting officers should bear the expense if injury is approved. On the basis of such an analysis on actual conditions, an analysis on policy factors for improving the injury management system shows; first, various high-risk matte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eview of application for injury, for improvement factors of the application for injury, while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benefit and support project for injured officers, for operation improvement factors of the injury management system, and the compensation act should be improved, for the improvement factors of the injury system. Second, it is urgent to develop damage prevention and coping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 injury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he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of application for injury and the extension of benefit and support project for injured officers should be realized as soon as possible, moreover, the enhancement of directors' interest and support is also required.

재난현장의 극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소방공무원들의 공무상 부상빈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증가하는 공상에 비하여 공상승인이나 관련 절차는 복잡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관리 측면에서의 근무환경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시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공상관리제도에 대한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소방공무원들의 공상관리제도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실증분석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상에 대한 경험 빈도가 타 직군에 비해 높다. 둘째, 공상신청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셋째, 공상승인 시 자부담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실태분석을 토대로 공상관리제도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요인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상신청 개선 요인을 위해서는 공상신청 심의 시 고위험 제반사항 고려가 필요하고, 공상관리제도 운영 개선 요인을 위해서는 공상자 혜택 및 지원사업 확대가 필요하다. 그리고 공상제도 개선 요인을 위해서는 보상 관련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공상관리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피해 예방 및 대처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공상신청 행정절차의 간소화 및 공상자 혜택 및 지원사업 확대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하고, 아울러 기관장의 관심 및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3_11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공무 상 부상 경험

CCTHCV_2019_v19n3_11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공상승인신청

CCTHCV_2019_v19n3_114_f0003.png 이미지

그림 3. 공상승인 시 자비부담비용

CCTHCV_2019_v19n3_114_f0004.png 이미지

그림 4. 공상승인신청 하지 않은 이유

표 1. 소방공무원 공상관리제도 개선을 위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구성요소

CCTHCV_2019_v19n3_114_t0001.png 이미지

표 2. 조사대상자의 특성

CCTHCV_2019_v19n3_114_t0002.png 이미지

표 2. 전체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3_114_t0003.png 이미지

표 3. 하위 요소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3_114_t0004.png 이미지

표 4. 복합가중치 고려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3_114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뉴스 1. 2018. 8. 13일자. '하루평균 1796건' 구조...생명위험에 노출된 소방관$\uparrow$
  2. 소방방재신문. 국가로부터 외면받는 소방관들..."재해보상제도 개선해야," 2018. 11. 28일자.
  3. 방창훈, "공상 소방공무원의 안전보건에 관한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3, No.5, pp.167-172, 2009.
  4. 윤장원, "소방공무원의 근골격계 질환 : 2011년-2013년 공상신청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0, No.3, pp.133-137, 2016. https://doi.org/10.7731/KIFSE.2016.30.3.133
  5. 배점모,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 및 우울간의 관계 비교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6. 조성일, 순직.공상 소방공무원 사례 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7. 안연순, 소방공무원의 직무관련성 근골격계질환 발생기전 규명을 통한 공상 등 관리대책 수립연구: 요추질환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8. 이종환, 소방공무원의 직무관련성 근골격계질환 발생기전 규명을 통한 공상 등 관리대책 수립연구: 요추질환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 강방식, 소방공무원의 직업병과 건강관리 : 근무환경의 특성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0.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11. 공무원재해보상법
  12. 법률저널, "소방관 등 공무 연관성 입증 어려운 질병도 공상 인정해야," 2018.11.28.
  13. 한상용, 소방공무원 재해보상제도의 개선방안,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4. 김태범, 소방공무원 현장안전 저해요인에 관한 4M 분석,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5. 김우민, 소방공무원의 공무상 재해보상 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6. 조승현, "소방공무원 안전사고 방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4, pp.323-343, 2016.
  17. 방창훈, 홍외현, "공상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4, No.4, pp.79-85, 2010.
  18. 윤장원, "소방공무원의 요통발생과 공상승인," 기초과학연구논문집, Vol.23, No.1, pp.87-92, 2015.
  19. 김용태, 경찰.소방공무원 의료지원 토론회 : 상이등급의 판정을 받지 못한 경찰.소방공무원 등에 대한 상이처 의료지원, 대한민국 국회, 2015.
  20. F. Ma, L. E. Fleming, D. J. Lee, E. Trapido, T. A. Gerace, H. Lai, and S. Lai, "Mortality in Florida professional firefighters," 1972 to 1999. Am J Ind Med., Vol.47, No.6, pp.509-526, 2005. https://doi.org/10.1002/ajim.20160
  21. S. Youakim, "Risk of cancer among firefighters: a quantitative review of selected malignancies," Arch Environ Occup Health, Vol.61, No.5, pp.223-254, 2006. https://doi.org/10.3200/AEOH.61.5.223-231
  22. N. S. Haas, M. Gochfeld, M. G. Robson, and D. Wartenberg, "Latent health effects in firefighters," Int J Occup Environ Health, Vol.9, No.2, pp.95-103, 2003. https://doi.org/10.1179/oeh.2003.9.2.95
  23. T. L. Guidotti, "Occupational mortality among firefighters: assessing the association," J Occup Environ Med., Vol.37, No.12, pp.1348-1356, 1995. https://doi.org/10.1097/00043764-199512000-00004
  24. A. L. Golden, S. B. Markowitz, and P. J. Landrigan, "The risk of cancer in firefighters," Occup Med. Vol.10, No.4, pp.803-823, 1995.
  25. C. H. Scannell and J. R. Balmes, "Pulmonary effects of firefighting," Occup Med., Vol.10, No.4, pp.789-801, 1995.
  26. K. U. Petersen, J. Hansen, N. E. Ebbehoj, and J. P. Bonde, "Infertility in a cohort of male Danish firefighters - a register based study," Am J Epidemiol, Vol.19, No.10, pp.1-22, 2018.
  27. T. R. Harrison, F. Yang, S. E. Morgan, J. Wendorf Muhamad, E. Talavera, S. A. Eaton, N. Niemczyk, V. Sheppard, and E. Kobetz, "The Invisible Danger of Transferring Toxins with Bunker Gear: A Theory-Based Intervention to Increase Postfire Decontamination to Reduce Cancer Risk in Firefighters," J Health Commun., Vol.22, pp.1-9, 2018.
  28. J. E. Pedersen, K. Ugelvig Petersen, N. E. Ebbehoj, J. P. Bonde, and J. Hansen, "Risk of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a large historical cohort of Danish firefighters," Occup Environ Med. Vol.75, No.12, pp.871-876, 2018. https://doi.org/10.1136/oemed-2018-105234
  29. S. J. Gainey, G. P. Horn, A. E. Towers, M. L. Oelschlager, V. L. Tir, J. Drnevich, K. W. Fent, S. Kerber, D. L. Smith, G. G. Freund, "Exposure to a firefighting overhaul environment without respiratory protection increases immune dysregulation and lung disease risk," PLoS One. Vol.21, pp.1-15, 2018.
  30. M. A. Harris, T. L. Kirkham, J. S. MacLeod, M. Tjepkema, P. A. Peters, and P. A. Demers, "Surveillance of cancer risks for firefighters, police, and armed forces among men in a Canadian census cohort," Am J Ind Med., Vol.61, No.10, pp.815-823, 2018. https://doi.org/10.1002/ajim.22891
  31. M. A. Hu, J. C. MacDermid, S. Killip, and M. Lomotan, "FIREWELL," Health Information on Firefighter Websites: Structured Analysis, Vol.7, No.2, e12, 2018.
  32. K. U. Petersen, J. E. Pedersen, J. P. Bonde, N. E. Ebbehoj, and J. Hansen, "Mortality in a cohort of Danish firefighters; 1970-2014,"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Vol.91, No.6, pp.759-766, 2018. https://doi.org/10.1007/s00420-018-1323-6
  33. O. Landgren, R. Zeig-Owens, O. Giricz, D. Goldfarb, K. Murata, K. Thoren, L. Ramanathan, M. Hultcrantz, A. Dogan, G. Nwankwo, U. Steidl, K. Pradhan, C. B. Hall, H. W. Cohen, N. Jaber, T. Schwartz, L. Crowley, M. Crane, S. Irby, M. P. Webber, A. Verma, and D. J. Prezant, "Multiple Myeloma and Its Precursor Disease Among Firefighters Exposed to the World Trade Center Disaster," JAMA Oncol. Vol.4, No.6, pp.821-827, 2018. https://doi.org/10.1001/jamaoncol.2018.0509
  34. https://www.ffcancer.org
  35. Thomas L. Saaty, Decision Making for Leader: The AHP for Decisions in a Complex World, CA: Wadsworth, 1982.
  36. 이재은, "한국의 재난관리정책 목표체계와 효과성 평가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Vol.13, No.1, 2003.
  37. 김웅이, 김도현, 최연철, "전문가 설문에 의한 AHP 가중치 산출의 적용한계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18, No.3, pp.92-98, 2010.
  38. 뉴시스, 소방공무원 건강.공상.자살 심각..." 국가적 문제, 2018.10.15.
  39. 메디컬투데이, 소방관 업무환경과 암 발병 상관관계 밝혀 줄 연구 절실, 2018.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