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Line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3초

ABS 모듈의 접속부 및 전원배선 손상으로 인한 차량화재 사고사례 분석 (Analysis on the Fire Accident of Vehicle Due to Damage of Connector and wiring on an Anti-lock Brake System(ABS) Module)

  • 박남규;김진표;남정우;박종택;송재용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3-19
    • /
    • 2017
  • In this paper, study of vehicle fire cases caused by connector and power wiring of anti-lock brake system(ABS) module damage is presented. The purpose of ABS module is to improve braking and steering ability under sudden stop of the vehicle by repeatedly activating and releasing the brake with electric signal via electric control unit. The electric control unit for ABS may experience incomplete contact between power line and signal line or electrical breakdown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by undergoing repetitive signal change which would consequently result in electrical heat and spark, eventually leading to automotive fi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by analyzing connector and power wiring of ABS module damage conducive to the precise investigation on the cause of vehicle fire.

낙뢰 예방 배전선로의 현장 적용을 위해 모의된 22.9 kV-Y의 접지저항에 따른 유도전압의 평가 (An Evaluation of Induced Voltage according to the Grounding Resistance of a 22.9 kV-Y Distribution Line Simulated for its Field Application for Lightning Prevention)

  • 김점식;최충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4-19
    • /
    • 2015
  • This study performed simulation tests to prevent induced lightning that occurs to a 22.9 kV-Y distribution line. A simulated distribution line reduced to 1/50 of an actual distribution line was installed to measure the induced voltage according to the change in grounding resistance. It was found that the induced voltage increased as the grounding resistance increased but that the range of its increase was small. This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lightning preventive distribution line using the Minitab program (Minitab 17). When a grounding resistance of $300{\Omega}$ was maintained for each electric pole, the Anderson Darling (AD) was 0.410, the smallest, and the P value was analyzed to be 0.323, verifying that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were excellent. Therefore,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as a basis for the substantiation of a lightning preventive distribution line before its installation.

지중송전케이블의 방화대책 (The fire Prevention measures of the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 곽방명;탁의균;김재승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501-503
    • /
    • 2001
  • Electric power consumption is highly increasing as the social trend requiring comfortable life, the population in a big city and the industrial development. Therefore it has become to be very important to supply the stable high-quality power. As these trend, the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facility is highly increasing in the center of a city. As the proportion to increase facility in tunnel, the fire prevention measures of the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become very important.

  • PDF

장대터널용 소방차량의 운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peration of fire fighting vehicle for a long railway tunnel)

  • 권태순;박원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16-52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장대터널의 철도차량 화재사고 진압을 위한 소방차량 운용 시 고려사항을 분석 및 검토하였다. 최근들어 터널연장 10 km 이상의 긴 장대터널 시공사례가 늘고 있으며 경부선의 금정터널(연장 20.3 km)을 시작으로 영동선의 솔안터널(연장 16.7 km) 및 2016년 하반기 개통 예정인 수서고속선의 율현터널(연장 50.3 km)까지 점점 터널의 길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터널 내에서 철도차량 내 대형화재사고 발생으로 긴급정차 시에 승객의 피난시간이 길어지는데 반해 소방인력의 접근은 더욱 어려워져서 큰 인명피해의 발생이 우려된다. 이에 해외 선진국에서는 철도선로 주행이 가능한 특수소방차량을 개발 및 도입하여 운용 중에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기존 도로전용 소방차량이 아닌 철도터널 내에서 운행이 가능한 특수소방차량 도입을 통한 대응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상기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철도터널의 주요 환경과 철도차량 내 화재발생에 따른 터널 내 열환경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개발 중인 장대터널용 소방차량의 주요 사양과 연계하여 국내 장대철도터널에서 소방차량 운용 시 주요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산불 공중진화 방화선 구축형태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Aerial Fire Line Construction Type on Forest Fire)

  • 배택훈;이시영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43-44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소 중 대형 산불의 공중진화 방화선 구축형태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산불확산은 현장의 지세, 경사, 바람, 수종 등에 영향을 받으므로 공중진화 방화선을 구축할 때에는 연소방향 및 형태, 강도 등을 분석한 후 진화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며, 공중진화 방화선 형태를 A형에서 M형까지 13개로 제안하였다.

  • PDF

대심도 지하역사에서의 화재현상 연구 (The Study on Fire Phenomena in The Deeply Underground Subway Station)

  • 장용준;김학범;이창현;정우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73-1780
    • /
    • 2008
  • 대심도 역사에서의 화재 발생시 승객의 주 대피이동로인 계단이 매우 길기 때문에 피난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하철 호선별 대심도 역사 중에서 하나인 숭실대역(7호선, 47m)을 선정하여,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열기류 및 연기의 거동을 분석하였고, 적절한 피난대책을 고찰하였다. 최근에 지하역사에서의 화재유동 시뮬레이션이 몇 몇 기관에서 수행되고 있으나, 지하의 전역사에서 화재 유동 해석은 드물게 수행되어 왔다. 특히 지하 40m가 넘는 대심도 역사에서의 유동해석은 일반 PC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리눅스 클러스터(Linux cluster) 장비를 이용한 병렬처리기법을 적용하여 대심도 역사에서의 화재해석을 수행하였다. 화재유동해석은 화재전용 FDS code를 이용하였으며, 난류모델은 LES 기법을 적용하였다. 화원의 규모는 10MW이고, 성장모델은 Ultrafast model를 적용하였다. 적정한 격자크기는 화원의 특성직경을 통하여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총 격자규모는 약 10,000,000개이다. 이는 일반 PC에서는 다루기가 불가능한 격자수이므로, 병렬처리기법을 적용하여 6 cpu 리눅스 클러스터 장비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Developing Intelligent Control Modules with LonTalk Protocol for Intelligent Building System & Home Automation

  • Hong, Won-Pyo;Kim, Dong-Hwa;Lee, Sung-Hak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논문집
    • /
    • pp.355-361
    • /
    • 2002
  • There are many economic and operational reasons to integrate fire alarm signaling system with other building automation system. Integration of this requires open network with for the standard communication protocol and careful design practices. The important point for this is also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control modules for replacing the conventional zone adapter in fire system.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new conceptual design of the open distributed fire alarm signaling system for the integration of BAS, a new intelligent control modules with LonTalk protocol and a new control module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Newly proposed additions to LonWorks network make it very well suited for integrating fire systems with other building automation sub-systems and another BAS with low cost. Additionally, it is very important that best design practices, test procedures and building codes need to be modernized to accommodate integrated building systems.

  • PDF

차단기 누적 철분진의 열적특성과 발화위험성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and Fire Hazard of Iron Powder Accumulated on Circuit Break)

  • 김두현;강양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0-2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ermal characteristics and to study fire hazard of electric leakage by iron power accumulated on circuit breaker in an iron processing factory. The therm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hile current was applied to the powder for ten minutes. Results showed that temperature of iron powder at 100 mA is $160^{\circ}C$ and at 175mA is $240^{\circ}C$. The sparks have occurred as iron powder drops between two(hot line and neutral line) wires and then iron powder explosion occurred while dropping continuously the iron powder on two lines. Those who work in the iron processing industry need to periodically remove and maintain the iron powder. The thermal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can be used for electrical fire investigation and for basic data of thermal characteristic of leakage current through iron powder at iron processing factories.

지하공동구내 가연성케이블의 열화접촉으로 인한 화재위험성 예측평가 (Study on the Fire Risk Prediction Assessment due to Deterioration contact of combustible cables in Underground Common Utility Tunnels)

  • Ko, Jaes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35-147
    • /
    • 2015
  • 최근 지하공동구(Underground Common Utility Tunnels)는 도시민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전기, 통신, 상수도, 도시 가스, 하수도뿐만 아니라 냉난방시설, 진공 집진관, 정보처리케이블 등의 시설물을 2종 이상 공동으로 수용하기 위한 지하시설물로서 국가의 중추기능을 담당하는 시설이지만, 화재 사고시 신속한 대처가 힘들고 각종 케이블 연소시 발생하는 유독가스 및 연기에 의해 공동구 내에 진입하여 진압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막대한 재산피해 및 통신두절 등 국가의 중추신경이 마비됨은 물론 시민불편사항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 발생 되어온 국내,외 공동구 화재사례에서 화재발생의 주요원인으로 전기공사로 인한 합선 및 가연성케이블에 의한 열화접촉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에 착안하여 실제 공동구 모형을 제작하고 화재를 재현함으로서 과학적으로 화재의 성상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화재실험은 지하공동구 내에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Line type fixed temperature detector), 방화문(Fire door), 연결살수설비(Connection deluge set), 및 환기설비를 설치하고, 송 배전케이블은 일정구간 내화(Fireproof)도료로 도장하며, 난방관은 내화 피복된 상태에서 실험하였다. 그 결과 Type II의 경우 최고온도가 $932^{\circ}C$로 측정되었고, 일정한 온도에서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가 화재위치를 정확하게 수신반에 표시되었다. 그리고 Type III의 경우인 송 배전케이블은 일정구간 내화도료로 도장한 것은 내화성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화피복(Fireproof covered)된 난방관은 약 30분 정도의 내화성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재뮬레이션 결과는 실물화재시험시의 화재하중(Fire load)을 입력하여 실시한 결과로서 최고온도가 $943^{\circ}C$로 실물화재실험시의 $932^{\circ}C$와 거의 일치 하였다. 따라서 공동구 화재하중만으로 화재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화재성상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시뮬레이션으로 얻은 열방출률(Heat release rate), 연기층의 높이, 산소(O2),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의 농도 등의 결과 값들은 실제 화재실험시의 값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구축한 국내 지하공동구 화재사고에 대한 실험자료 및 매년 지속적으로 화재사례들을 분석하여 축적하고 법 규정 및 관리 메뉴얼 등을 보완함으로써 국내 지하공동구 화재사고에 대한 보다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며,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지하공동구의 신설 및 유지 관리 보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