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Detection

검색결과 639건 처리시간 0.041초

Design of Emergency Fire Fighting and Inspection Robot Riding on Highway Guardrail

  • Ma, Xiaotong;Li, Xiaochen;Liu, Yanqiu;Tao, Xueheng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33-843
    • /
    • 2022
  • Based on the problems of untimely Expressway fire rescue and backward traditional fire rescue methods, an emergency fire fighting and inspection robot riding on expressway guardrail is designed. The overall mechanical structure design of emergency fire fighting and inspection robot riding on expressway guardrail is completed by using three-dimensional design software. The target fire detection is realized by using the target detection algorithm of Yolov5; By selecting a variety of sensors and using the control method of multi algorithm fusion, the basic function of robot on duty early warning is realized, and it has the ability of intelligent fire extinguishing. The BMS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is used to detect the real-time power of the robot. The design of the expressway emergency fire fighting and inspection robot provides a new technical means for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fire fighting equipment, and improves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expressway emergency fire fighting.

국내 공동주택 화재감지시스템의 성능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Stud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Fire Detectors System at Domestic Apartment Buildings)

  • 손봉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33-538
    • /
    • 2014
  • 본 연구는 공동주택 전용 지능형 화재감지시스템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기존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감지기 실태 및 성능개선대책에 필요한 기초 연구를 하였다. 공동주택 전용지능형 감지시스템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 감지기성능 및 유지관리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외 주거공간에서 발생한 화재통계자료를 분석하였고 피난 및 소방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지기성능 실태를 연구하였다. 특히, 공동주택에 설치된 기존의 화재감지기는 세대별로 경계구역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대부분 열감지기로 설치되어 조기에 화재를 감지할 수 없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세대별 설치된 감지기는 평상시에 정상작동 여부를 주거공간의 외부에서 점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열감지기보다는 초기 감지능력이 있는 연기감지기 또는 열 연기복합형 감지기, 단독형 연기감지기의 설치 및 공동주택 전용의 감지시스템을 개발하여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S-FDS : 퍼지로직과 딥러닝 통합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 시스템 (S-FDS : a Smart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the Integration of Fuzzy Logic and Deep Learning)

  • 장준영;이강운;김영진;김원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4호
    • /
    • pp.50-58
    • /
    • 2017
  • 최근 들어, 효과적인 화재감지를 위해 이종 화재센서 데이터들을 융합하는 방안들이 제안되었으나, 룰 기반의 방법의 경우 적응성과 정밀도가 낮고, 퍼지추론의 경우 영상에 대한 고려 미흡으로 검출 속도와 정밀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더불어 영상기반 딥러닝 기술들도 제안되었으나, 실제 상황에서 카메라가 없거나 카메라 영역 밖의 화재 발생에 대한 신속한 탐지가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CNN 기반의 딥러닝 알고리즘과 온도 습도 가스 연기를 포함하는 이종 화재센서 데이터기반의 퍼지추론엔진을 결합시킨 새로운 방식의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로써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신속한 화재 감지와 이종 센서 데이터들을 이용한 신뢰성 있는 화재 감지가 가능해짐을 보인다. 또한, 대규모 시스템에서 컴퓨팅 파워의 지나친 서버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화재 인식 알고리즘에 분산 컴퓨팅 구조를 채택하여 확장성을 높인다. 마지막으로, NIST 화재 동역학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화재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화재영상을 활용하여 화재가 점진적으로 번지는 환경과 급작스럽게 폭발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한다.

Development of YOLOv5s and DeepSORT Mixed Neural Network to Improve Fire Detection Performance

  • Jong-Hyun Lee;Sang-Hyu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20-324
    • /
    • 2023
  • As urbanization accelerates and facilities that use energy increase, human life and property damage due to fire is increasing. Therefore, a fire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quickly detecting a fire is required to reduce economic loss and human damage caused by a fire. In this study, we aim to develop an improv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low fire alarms by mixing DeepSORT, which has strengths in object tracking, with the YOLOv5s model. In order to develop a fire detection model that is faster and more accurate than the exist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epSORT, a technology that complements and extends SORT a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frameworks for object tracking and YOLOv5s model, was selected and a mixed model was used and compared with the YOLOv5s model. As the final research result of this paper, the accuracy of YOLOv5s model was 96.3% and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was 30, and the YOLOv5s_DeepSORT mixed model was 0.9% higher in accuracy than YOLOv5s with an accuracy of 97.2% an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30.

접촉 불량에 의한 불꽃 및 직렬아크의 검출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Technique of the Flame and Series arc by Poor Contact)

  • 김현우;백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24-30
    • /
    • 2012
  • 본 연구는 저압 선로의 접촉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접촉 불량과 그 부분의 진동이 결합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불꽃 및 직렬 아크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화재의 원인은 과전류, 단락, 접촉불량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이 중 과전류 및 단락 등은 선로에 흐르는 순간 전류량을 검출하여 감지할 수 있으나, 접촉불량은 전압, 전류값의 초과분 및 파형의 왜곡으로는 검출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퍼지논리 및 다차원 기법을 이용하여 최적의 아크 판단 기법을 연구하고, 아크 검출 및 검증을 위한 모의실험과 제어기 실험 및 부하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어기 및 검출 알고리즘이 여러 가지 부하와 상관없이 정상적인 부하의 파형과 아크 발생시의 파형을 구분하여 성공적으로 직렬아크를 검출하였다.

화염의 칼라와 움직임을 이용한 화재감지 (A Fire Detection Using Color and Movement of Flames)

  • 조경래;배성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8-1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영상에서 화염의 칼라와 움직임 특징을 이용한 새로운 화재 감지 방법을 제안한다. 색차로부터 휘도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RGB 칼라를 YCbCr 성분으로 변환한다. 제안한 방법은 인접 영상들 간의 휘도의 차를 누적하여 화염의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고, 화염의 색을 이용하여 화염 후보 영역을 생성한다. 최종적으로, 화염 후보 영역의 면적에 대한 시간적 변화를 이용하여 화염 영역을 결정한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비디오 영상에서의 화재 감지 방법보다 화재 영역의 분류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외선 열 영상 카메라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 시스템 및 자동소화 장치 인터페이스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mart Fire Detection System and Automatic Extinguish Device Interface Platform based on Thermal Imaging Camera)

  • 장락주;이순이;강석원;이동명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열 영상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화재 탐지 및 자동소화 시스템의 구현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화재감지 시스템 및 화재 발생 시 이를 초기에 진화 할 수 있는 자동소화 장치 인터페이스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 개발의 주요 기능은 열 영상 카메라와 메가픽셀 카메라를 기반으로 하는 화재 탐지 영상 시스템 및 뷰어; 화재 발생 시 초기에 화재를 진화 할 수 있는 자동소화 장치시스템; 영상 시스템과 자동소화 장치 시스템을 연결해 주는 인터페이스 플랫폼이다.

  • PDF

선박 화재안전과 SOLAS 협약

  • 류은열
    • 방재기술
    • /
    • 통권17호
    • /
    • pp.24-32
    • /
    • 1994
  • This article introduces the transition of SOLA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Sea) safety regulations for fire protection, fire detection and fire extinction in ships. And also the regulations and the related IMO fire test rules applied to products such as fire sep-arate walls and non-combustible materials for interior to prevent fire spread on the ship fire are summarized.

  • PDF

Development of CAN 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 Lee, Hong-Hee;Kim, Jung-Hee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695-699
    • /
    • 2003
  • It is general to use the control network in control systems in order to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related wiring harnesses and to improve the system flexibility. CAN becomes one of the most popular network protocols because of its low price, multiple sources, high performance and reliability. This paper describes a CAN based real-time control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for the intelligent building system. The proposed fire detection and alarm system is stronger than the previous one against noises and communication media faults and can solve many problems such as complex cabling and increment of I/O ports by using many sensors. Furthermore, MMI can be achieved easily with the personal computer that is used for replacing the traditional monitoring system. The proposed system is implemented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given.

  • PDF

도시건물의 센서네트워크환경의 방재 및 피난대피 유도시스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a Fire Detection and a Guide System in Building on the base of Sensor Network)

  • 권창희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3-339
    • /
    • 2007
  • 본 연구는 재해를 줄이고 철저한 대비를 하기 위하여 재난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고 이를 활용 할 수 있는 소방방재 또는 정보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도시방재관리시스템이란 관점에 있어서 도시건물의 센서네트워크 환경의 방재 및 피난대피 유도시스템 모델 구축을 통한 효과 및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