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검색결과 15,663건 처리시간 0.043초

Trend of Fire Outbreaks in Ghana and Ways to Prevent These Incidents

  • Addai, Emmanuel K.;Tulashie, Samuel K.;Annan, Joe-Steve;Yeboah, Isaac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7권4호
    • /
    • pp.284-292
    • /
    • 2016
  • Background: In Ghana, fire incidents have become a regular occurrence, with thousands of lives and millions of dollars lost every year. Hardly a day passes without news of a fire outbreak in some part of Ghana, causing fear and panic among the people. This generates much discussion centering on rumors relating to politics, sabotage, misfortune, religious differences, etc. This article seeks to discuss the trend of fire incidents occurring in Ghana from 2000 to 2013 and the different ways to prevent these incidents. Methods: The pattern of fire incidence in Ghana as a whole as well as in each region is discussed. The study took into consideration the causes, mechanisms, as well as preventive measures against the fire menac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head office of Ghana's national fire service. Results: It was noticed that in general the rate of fire incidence increased each year. This increase was attributed to several factors: rate of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unstable electricity, urbanization, negligence, illegal electrical connection, etc. The cause of fire was categorized into domestic, industrial, vehicular, institutional, electrical, commercial, bush, and others. Among these causes, domestic fire accounted for 41% of the total number of fire incidents in the country. Conclusion: Finally, this study presents several recommendations to help prevent and mitigate fire incidents in Ghana.

국내 성능설계에서 선정된 설계화재의 적정성 연구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Design Fire Size Determining for Performance Based Design in Korea)

  • 이세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50-56
    • /
    • 2014
  • 성능설계 시험 안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에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크기를 정량화하는 단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설계화재의 크기가 적합하게 선정되었을 때 화재로부터 안전하면서도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성능설계의 역사가 짧고 공학적 자료가 축적되어 있지 않아 화재의 크기를 선정하는 데에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해외의 설계화재 가이드라인과 국내의 실 화재 실험 자료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국내의 설계화재 선정 사례를 조사하여 그 적정성을 분석하고 건축물의 용도별로 설계화재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역사적 건조물의 화재안전을 위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Fire-Safety Design for the Historic Buildings)

  • 이지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07-113
    • /
    • 2004
  • Fire was and remains a great threat to historic buildings of wood. This threat is omnipresent and often results to irreparable property losses especially cultural heritages. Fire of historic buildings continues to increase every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rve a life safety, historical heritage and architectural & cultural values by pursuing for fire safety in the historical buildings. This study shall employ two research methods: a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methods. The literature review shall focus on the observations of characteristics noted in fire codes. The field survey shall cover a heat analysis and fire protection equipment. A method is proposed to investigate fire codes related historical building, reported fire history Fire Codes and Regulations for modern buildings are not always applicable on the historic buildings. Old buildings, and some new buildings with architectural, historical or cultural importance may have values which cannot be measured on a monetary scale. Their protection against the damage caused by fir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basic moral duties of societ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erefore, legislation for fire safety in historical buildings must be extended to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active' fire protection measures, to provide safety in real historical building in real fire situation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rformance based Codes and the Fire Safety Engineering approach seems to be a rather reasonable and effective way to deal with this historical buildings.

실규모 실험에 의한 고체가연물의 화재특성 연구 (A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of Solid Combustible Materials Based on Real Scale Fire Test)

  • 김성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62-68
    • /
    • 2011
  • 본 연구는 고체가연물의 초기 점화 및 화재성장과정에서의 발열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가연물에 따른 화재성장특성 파악하고자 한다. 실험에 적용된 고체가연물은 단일/이중 목재크립, 단일/이중 쿠션, 카페트/목재크립이며 화재발달 단계에서 화재성장특성을 시간 제곱 화재성장 시나리오와 비교분석하고 고체가 연물의 화재성장 계수를 정량화 하였다. 고체가연물의 연소과정에서 소모되는 연료의 질량과 방출되는 총열에너지 개념을 이용하여 가연물의 평균 유효연소율을 평가하였으며 환기 및 화재조건의 영향을 분석하여 화재해석시 화재시나리오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조물 책임법에 따른 화재조사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Fire Investigation Related to Product Liability Law)

  • 고기봉;이시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12-11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제조물 관련 화재조사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화재조사현장에서 조종자 역할을 하는 주체가 불분명하고, 화재피해이재민의 권익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부족하며, 소방의 화재감정기관 부재로 화재원인 도출에 한계가 있고, 제조물회사의 초기대응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는 소방이 화재조사현장에서 조종자 역할을 할 수 있는 제도의 도입, '민간 화재조사전문가' 제도의 도입, 소방의 화재감정기관 및 연구소의 설립.운영, 소방과 제조물회사와의 네트워크 구성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고층건축화재의 문제점과 그 대책의 기본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blems of High-rise Building Fires in Korea and the Basic Directions for Fire Safety of High-rise Building Design)

  • 이강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5-26
    • /
    • 1990
  • Building become higher. larger and more complex than ever before, showing abrupt changes in building structures. forms and mechanical systems. Likewise hazads of fire and the scale of fire losses become more and more greater. Therefore. considerations for fire safety take up great portion of the building design process. In this study, problems of high-rise building fires and basic directions for fire safety of high-rise building design were studie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138 fire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Most of the fires in high-rise building occur on the low floors and the fire frequencies are very low on the upper floors. Fire casualties are liable to be more on the upper floors than on tile floor of fire origin. ·The important causes of evacuation failures were analyzed as being late in escape and lack of stairwell enclosures. ·The main cause of vertical fire spread is lack of stairwell enclosures. However, the fire spreads mainly through the enterior windows in apartment houses. The combustible materials in buildings act on as the major factors of horizontal fire spread and the improper fire doors play role of another the critical causes. ·The basic directions for fire safety of high-rise building design put much stress firstly on the compartmentation of the buildings effectively performing the provision of safe escape routes and the safe refuse places in buildings.

  • PDF

화재조사 관련 교과목의 확대와 개편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cessity of Expansion and Reorganization of Courses Related to Fire Investigation)

  • 최진만;김길환;이창우;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42-50
    • /
    • 2011
  • 화재조사 분야에서 국가 및 사회로부터 요구되는 전문 인력을 효과적으로 양성하고 소방관련학과 졸업자들의 취업분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화재조사 관련 교과목의 확대 및 개편이 필요하다. 현재 화재조사론이 개설된 대학은 30%에 불과하며 교육내용도 이론분야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실제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조사 분야의 교과목을 화재조사론 및 화재감식론으로 세분화하고 국제화재폭발조사관 자격 (CFEI)도 취득할 수 있을 정도의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에 대한 방안을 제시했다.

화재하중에 따른 지하생활공간의 화재성상 예측 (Prediction of the Fire Behavior According to the Fire Load in an Underground Life Space)

  • 채한식;석창목;김이성;이지희;김화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1-5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구에 위치한 G 지하생활공간을 대상으로 화재하중에 따른 화재성상을 분석하였다. 화재성상 예측시 화재온도나 화재지속시간을 좌우하는 인자인 화재하중 및 환기계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방문을 통하여 가연조건을 조사하고 실의 용도별 가연조건에 대하여 각 재료의 단위발열량을 이용하여 화재하중을 산정하였다. 또한, 산정된 실의 화재하중을 변수로 화재성상분석을 위한 6가지 모델의 축소실험을 행하고 화원의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와 화원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공간내부로의 열유동 분포를 중심으로 화재성상을 분석하였다.

헬기에 의한 산불공중간접진화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f Indirect Attack Method of Aerial Fire Firefighting by Helicopter on Forest Fire)

  • 배택훈;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5-61
    • /
    • 2016
  • Among the method of aerial fire firefighting, the indirect attack is efficiency way to protect main facilities and it is the aerial fire lin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is study is suggested the fire line construction strategy of indirect attack by helicopter suitable Korea forest fire on theory consideration of indirect attack and experience in practical scene. This study defined that main key points of the fire line construction are accuracy, large quantity, and quickness. Main protection facilities are devided as caution area, warning area, danger area and concern area. Also, it suggested stage-by-stsge from 1 step to 3 step for the aerial fire firefighting correspondence strategy and the fire line construction model. I regard that this study's indirect attack method of the aerial fire firefighting of the fire line construction may be understand about indirect attack tactics and application of indirect attack which is assistance to raise of capability of the aerial fire firefighting with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전자공장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 (Analysis of the Causes of Multiple Casualties in an Electronics Factory Fire)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130-139
    • /
    • 2019
  • 2018년 8월 21일 15시 40분경 발생한 전자공장화재로 9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을 입는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 전자공장화재에서 다수 사상자가 발생한 원인을 화재조사결과 등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다수 사상자가 발생한 주요 원인은 자동화재탐지설비 기능 정지, 비상방송시설 기능 정지, 4층 천장의 우레탄폼 착화로 인한 급격한 화재 확산, 화재발견 직후 정전 발생, 스프링클러설비 미작동, 화재신고 지연, 소방시설관리 업체의 소방시설관리 부실 등으로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