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method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25초

시간영역에서 가우스뉴튼법을 이용한 탄성파 파형역산 (Time Domain Seismic Waveform Inversion based on Gauss Newton method)

  • 신동훈;박창업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6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13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가우스 뉴튼법을 이용한 중합전 탄성파 자료의 파형역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탄성파 파형역산에 가우스 뉴튼법을 적용하는 방법은 80년대에 제시되었으나 최근 들어서야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연산 능력과 기억용량의 한계에 기인한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파동 전파 수치모의와 역산과정에서 각각 다른 크기의 격자간격을 사용하고, 필요한 시간영역의 파동전파 모사와 가상 진원의 근사를 통해 편미분 파형을 계산하였으며, 효과적으로 슈퍼컴퓨터를 활용하기 위해 병렬처리 기법을 사용하였다. 수치모의를 통해, 가우스 뉴튼법을 이용한 파형 역산의 수렴속도가 빠르고 정확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의 실제 탄성파 자료를 이용한 역산에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개선된 가상의 전송선로 모델의 오차 연구 (A Study on the Errors for the Improved Version of the Virtual Transmission-Line Model)

  • 조유선;김세윤;김영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971-981
    • /
    • 2002
  • 개방단말 동축선 프로브법은 측정매질에 가공없이 접촉하여 매질의 전기적인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프로브 단말면에서 측정된 임의의 매질의 반사계수는 등가모델에 의해 복소 유전율로 환산되는데 본 실험실에서는 이미 개선된 가상의 전송선로 모델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런데 이 등가모델에 의해 환산된 복소 유전율은 주파수가 올라갈수록 오차가 증가하였다. 개방단말 동축선 프로브법에서의 복소 유전율 오차는 프로브의 불완전 접촉, 프로브의 제자 오차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반사계수를 FDTD(Finite-Difference Time-Domain) 기법으로 수치 계산하여 반사계수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오차를 제거하여, 오차의 원인을 환산모델의 문제로 제한시켰다. 그리고 환산모델에 의한 오차의 발생 여부를 여러 각도에서 연구하였다. 첫 번째고 반복법으로 계산된 환산모델의 변수에 대한 local minimum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는 사용 주파수 범위에서 등가 모델의 모델링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로부터 현재 사용하는 개선된 가상의 전송선로 모델의 사용범위를 알 수 있다.

유한차분 시간영역법을 사용한 도파관 불연속 해석을 위한 1차원 모드 PML (1-D Modal PML for Analysis of Waveguide Discontinuities Using the FDTD Method)

  • 정경영;천정남;김형동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761-767
    • /
    • 1998
  • PML(Perfectly Matched Layer)은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흡수 성능을 나타내므로 분산 특성이 강한 도파관 구조에 적합한 흡수경계조건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ML의 계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입/출력 포트의 한 변에서 필드를 모드로 전개한 후, 모드에 따라 홉수 경계조건을 적용한다. 제안된 방법은 1차원으로 계산 영역을 해석하므로 메모리와 계산 시간이 절약된다. 두 께가 두꺼운 비대칭 아이리스를 갖는 WG-90 구형도파관을 기존의 PML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1차원 모드 P PML을 적용하여 유한차분 시간영역법으로 해석을 한다. 제안된 방법의 계산 효율이 매우 뛰어남을 수치 계산을 통해 알 수 있다.

  • PDF

소형 미앤더 2-층 모노폴 안테나의 특성분석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Low Profile Meander 2-Layer Monopole Antenna)

  • 장용웅;이상우;신호섭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934-941
    • /
    • 2014
  • 본 논문에서에서는 FDTD법을 이용하여 크기가 작은 RFID 판독용 2-층 미앤다 내장형 안테나를 나타낸다. FDTD 법으로 얻은 시간영역의 결과를 Fourier 변환하여 최적화된 입력 임피던스, 전반사손실, 정재파비를 주파수 영역에서 계산하였다. 안테나의 최대 대역폭은 $S11{\leq}-10dB$ 에서 0.895~0.93 GHz의 주파수 특성을 보였다. 제안된 소형 내장형 안테나의 측정된 이득은 2.3dBi이며, 상대적으로 높은 이득과 광대역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안테나의 반사손실과 이득에 대한 실험데이터도 나타내었으며, FDTD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는 특성을 보였다. 이 안테나는 이동통신 분야, 에너지 분야,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가정 네트워크, 방송용, 그리고 다른 이동용 소형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무선전력전송의 조사량 평가 시 전기장 영향 (Electric Field Effect on Numerical Dosimetry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 박상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499-505
    • /
    • 2015
  • 전자기 공진 현상을 이용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대한 조사량 평가 시 전기장의 고려 여부를 검토하였다. 인체로 인가되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상대적인 크기가 조사량 평가 시에 중요한 지표가 되기 때문에, 이를 검토하기 위해 자기 다이폴 인근의 다양한 전자기장의 크기를 갖는 곳에 구형의 간이 인체 모델을 위치시키고, 구 모델 내부로 유도되는 전기장의 값을 이론과 수치해석을 통하여 구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기장을 무시할 수 없는 영역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무선전력전송의 조사량 평가 시 외부 전기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강한 압력 교란에 구속된 고압 액적의 천이 기화 (Droplet Vaporization in High Pressure Environments with Pressure Oscillations)

  • 김성엽;윤웅섭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3년도 제21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7-163
    • /
    • 2003
  • A systematic numerical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to study droplet gasification in high pressure environments with pressure oscillations. The general frame of previous rigorous model[1] is retained but tailored for flash equilibrium calculation of vapor-liquid interfacial thermodynamics. Time-dependent conservation equations of mass, momentum, energy, and species concentrations are formulated in axisymmetric coordinate system for both the droplet interior and ambient gases. In addition, a unified property evaluation scheme based on the fundamental equation of state and empirical methods are used to find fluid thermophysical properties over the entire thermodynamic domain of interest. The governing equations with appropriate physical boundary conditions are numerically time integrated using an implicit finite-difference method with a dual time-stepping technique. A series of calculation have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asification of an isolated n-pentane droplet in a nitrogen gas environment over a wide range of ambient pressures and frequencies. Results show that the mean pressures and frequencies of the ambient gas have strong influenc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oplet gasification. The amplitude of the response increases with increasing pressure, and the magnitude of the vaporization response increases with the frequency.

  • PDF

ADI-FDTD 방법을 이용한 3차원 인터커넥트 모델링 (Modeling of 3-D Interconnect Line Using ADI-FDTD Method)

  • 최익준;김연태;원태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9권8호
    • /
    • pp.52-6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인터커넥트(3-D interconnect) 구조를 해석하기 위하여 ADI-유한차분시간영역(ADI-FDTD, Alternating Direction Implicit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방법으로 맥스웰 회전방정식(Maxwell's curl equation)을 계산하는 수치 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3차원 인터커렉트 모델내의 전자기파 문제를 해석하기 위하여 맥스웰 회전 방정식을 ADI-유한차분시간영역방법으로 이산화 하였으며, ADI-유한차분시간영역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반사파를 해결하기 위하여 흡수 경계 조건인 완전 정합 층 방법(PML, Perfectly Matched Layer)을 도입하였다. 개발한 ADI-유한차분시간영역방법 및 완전 정합 층의 수치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3차원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microstrip transmission line) 구조를 3차원 그리드(grid) 구조로 모델링한 후, 시간영역에서 전계 분포를 컴퓨터로 모의 실험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ADI-유한차분시간영역방법과 종래의 스탠다드 유한차분시간영역방법의 수치적 성능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FDTD 법을 이용한 광대역 전자기 결합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설계 (Design of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Wideband Microstrip Antenna using FDTD Method)

  • 장용웅;신호섭;김남;박익모;신철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73-48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유한차분 시간영역법(FDTD)를 이용하여 단일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기생소자를 갖는 광 대역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의 특성을 해석하고, 최대 대역폭을 갖는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유한차분 시간영역 법에 의한 수치 해석 결과뜰 Fourier 변환하므로 주파수 영역에서의 반사손실, 입력 임피던스, 복사 패턴 동의 특성을 계산하였다. 이 안테나의 구동소자의 폭, 구동소자와 기생 소자 사이의 간격, 기생소자의 폭과 넓이 변화 에 따라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 및 반사손실, 전압 정재파비 둥의 특성이 변하고, 광대역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서로 다른 소자틀은 다른 주파수에서 공진되고, 이러한 공진이 대역폭올 향상시킨다. 계산 및 측정한 결과, 결합성을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단일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면적에 약 2배 증가한 반면, 대역폭은 단일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비해 약 4배 이상 개선되었다. 이러한 계산 결과들은 본 실험의 측정치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 PDF

광 증폭용 플라즈모닉 나노구조 제작을 위한 은 나노입자 증착 연구 (A Study on the Silver Nanoparticle Deposition for Optical Amplification)

  • 강지숙;김준현;정명영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5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UV 나노임프린트 공정으로 제작한 나노 콘 형태의 구조물 위에 은 나노 입자를 증착하여 광증폭용 구조 형태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은 나노 입자의 증착은 하부 기판 표면의 젖음 특성에 따른 액적의 증발 거동을 이용하였으며, 기판 하부 열에너지의 차이에 따라서 액적 중심부부터 가장자리까지 증착 형태가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제작한 구조 형태와 유사한 구조를 시간영역 유한차분(FDTD)법을 통해 광 특성을 예측하여, 최종적으로 제작한 구조의 은나노 입자 부근에 에너지가 집중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Simulation Study on the Effect of the Emitter Orientation and Photonic Crystals on the Outcoupling Efficiency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Lee, Ju Seob;Ko, Jae-Hyeon;Park, Jaehoon;Lee, Jong Wa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8권6호
    • /
    • pp.732-738
    • /
    • 2014
  • Combined optical simulation of the ray-tracing technique and the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mitter orientation and the photonic crystal layer on the outcoupling efficiency (OCE) of bottom-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The OLED with a horizontal emitter exhibited an opposite interference effect to that of one with a vertical emitter, which suggested that the OCE would be very sensitive to the emitter orientation at a fixed emitter-cathode distance. The OLED with a horizontal emitter exhibited much larger OCE than that with a vertical emitter did, which was due to the substantial difference in the radiation pattern along with the different coupling with the surface plasmon excitation. The OCE with a horizontal emitter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1.3 times by inserting a photonic crystal layer between the indium tin oxide layer and the glass substrate.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appropriate control of the emitter orientation and its combination to other outcoupling structures could be used to enhance the OCE of OLEDs substanti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