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ishing Work Dura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공동주택용 외단열 적층시공 공법의 생산성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Simulation Modeling for Productivity Analysis of Concurrent Construction Method of External Insulation Finishing System in Apartment)

  • 김민주;김태훈;임현수;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8-69
    • /
    • 2015
  • Traditional External Insulation Finishing System(EIFS) is applied to apartment construction by performing structural framework and insulation finishing work sequentially. Separate execution of the three works increases construction cost and duration. Concurrent construction method of EIFS, which performs framework and insulation finishing work simultaneously, is introduc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However, the introduced method is exposed to the risk of construction delay caused by bottlenecks due to interacting processes and resource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simulation model suitable for estimating work productivity of the concurrent construction by considering predecessor and successor processes to optimize resource allocation and minimize construction delay.

  • PDF

공동주택용 외단열 적층시공 공법 개념모델 개발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oncurrent Construction Method for EIFS in Apartment)

  • 임현수;김태훈;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3-423
    • /
    • 2015
  • 공동주택의 에너지 의무 절감률이 현재 40%에서 2017년에는 60%까지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되면서 에너지 절감을 위해 외단열 공법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외단열 공법은 내단열 공법에 비해 추가되는 공사비와 공사기간으로 인해 활성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단열공사와 골조공사를 연속적으로 시공함으로서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외단열 적층시공 공법의 개념모델을 개발하고 사례적용을 통해 공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외단열 적층시공 공법은 기존의 외단열 공법에 비해 6.7%의 공기절감 효과와 13%의 외단열 공사비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인 적층시공 공법은 외단열 공법적용의 저해요소를 해결하여 향후 외단열 공법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source and Sequence Optimization Using Constraint Programming in Construction Projects

  • Kim, Junyoung;Park, Moonseo;Ahn, Changbum;Jung, Minhyuk;Joo, Seonu;Yoon, Inseo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08-615
    • /
    • 2022
  • Construction projects are large-scale projects that require extensive construction costs and resources. Especially, scheduling is considered as one of the essential issues for project success. However, the schedule and resource management are challenging to conduct in high-tech construction projects including complex design of MEP and architectural finishing which has to be constructed within a limited workspace and duration. In order to deal with such a problem, this study suggests resource and sequence optimization using constraint programming in construction projects. The optimization model consists of two modules. The first module is the data structure of the schedule model, which consists of parameters for optimization such as labor, task, workspace, and the work interference rate. The second module is the optimization module, which is for optimizing resources and sequences based on Constraint Programming (CP) methodology. For model validation, actual data of plumbing works were collected from a construction project using a five-minute rate (FMR) method. By comparing actual data and optimized results,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reducing the duration of plumbing works in construction projects. This study shows decreased overall project duration by eliminating work interference by optimizing resources and sequences within limited workspaces.

  • PDF

공동주택 마감공사 공사주체별 작업지연 요인 분석 (Analysis of Delay Factors Based on Importance of Construction Subject-classified in Apartment Finishing Works)

  • 이승훈;김용만;김주형;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3-81
    • /
    • 2011
  • 건설 공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주어진 공사를 요구된 공사기간내에 설계도서에 명시된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면서 가장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완성하는데 있다. 마감공사는 공종이 세분화되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적정 투입 시점에 대한 세부 공종별 기준이 없고, 선후행 작업간의 우선 순위의 정립의 필요성이 약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는 마감공사 작업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감공사 세부 공종별 작업지연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소요 공기에 맞추어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마감공사를 습식공사와 기타 마감공사로 나누어 각 공종별 내역을 기반으로 중요도를 분류하고, 설문을 통해 설계자, 시공자, 협력업체의 작업지연 요인을 분석하여 최종 작업지연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계획 공사기간 내에 공동주택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絹織物 Wash and Wear 加工硏究 (Studies on Silk Textile Wash and Wear Finishing)

  • 최병희;이양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55
    • /
    • 1981
  • 絹織物加工을 實需要者의 利用度를 增加시키기 爲해 多年間 여러 사람에 의하여 硏究되어 왔으나 天然織維이기 때문에 加工方式으로 性質을 變化시키기는 어려워서 滿足스러운 精度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實情에 있다. 絹織物加工은 勿論 그 缺點을 補强하는 同時에 商品的價値도 向上시키는데 目的이 있는데 때로는 有名商標가 品質以上으로 販賣를 左右하는 例도 많다. 特히 絹制品은 歡迎을 받지 못하고 있는 實情에 있다. 이러한 問題點을 解決하기 爲해 筆者는 多年間 硏究를 持績하여 왔든바 一般絹織物의 浸潤後 乾燥時間보다 半減된 時間에 乾燥되는 所謂 Wash and Wear絹加工方法의 開發을 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그 加工費用이 極히 經濟性인 탓으로 아무런 부담감 없이 加工處理할 수 있는 特徵을 갖이고 있었다. 1. 繭絲는 吐絲營繭曲線이 S字型으로 되어 있어 浸潤時에는 原狀復舊의 性質이 있어 屈曲狀態를 이룩하게 되어 本加工絹織物이 Wash and Wear이기는 하나 가벼운 다림질이 必要하였다. 2. 이러한 加工은 絹絲蛋白質의 變性을 加工過程에서 1% D.I.S.溶液에 3時間 處理하여 變性誘發시킴으로서 可能하였다. 3. 加工絹의 防皺度, 剛乾度를 洗濯回數를 反復하면서 調査하여 본 結果 未處理絹보다 惡化되지 않았다. 4. 未加工絹도 水洗, 乾燥를 反復하게되면 스스로 變性되는 事實을 알았다. 5. 處理絹과 未處理絹의 强力伸度面의 差異가 없었다.

  • PDF

벽식(壁式) 아파트의 택트공정(工程)계획의 성공요인 분석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uccess Factors of Scheduling Using the TACT Technique in Wall Type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 김준호;김광희;조형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9-86
    • /
    • 2006
  • Recently, the construction companies show lots of interest in reducing the construction duration of apartment housing project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ccess factors of scheduling using the TACT technique in wall type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for managing the construction schedule effectively. For appling the tact scheduling technique to wall type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the success facto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zoning the horizontal and vortical work area properly, (2) preparing the flow chart of finishing works, (3) minimizing the undefined activity like chipping off the concrete wall, (4) reordering the construction activities for keeping up the continuity of works in winter season, (5) dividing the amount of work for minimizing the delay time of any activity, etc.

초고층 건축공사를 위한 유로-유닛 테이블폼 공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nit Table Form using Euro Form for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 양성우;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5-52
    • /
    • 2008
  • In today's construction,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due to the need to maximize land usage. Framework affects not only the entire construction duration and cost, but also subsequency construction activities such as electrical, mechanical, and finishing works. Especially, proper formwork is a influential factor of productivity in the framwork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To that reason, a table form of system form is more frequently used than conventional form. However, an initial cost of the table form is high and a reused table form needs for workers to repair damaged table forms.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euro-unit table form. The results from the application of euro-unit table form to high-rise residentia building construction are as follows : (1) The cost of producing table form reduced by 16%, and (2) The time of producing table form was slumped by 35%, and (3) The labor force needed for form work declined 21%.

건축 공사현장 유형별 최적 거푸집 공법선정을 위한 정량적 의사결정 지원모델 개발 (Development of Quantitative Decision Support Model for Optimal Form-Work Based on Construction Site Type)

  • 김오형;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6-68
    • /
    • 2019
  • 거푸집 공사는 전체 건축공사의 공사기간 및 공사비 측면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구조물공사의 품질, 마감 및 설비 등 후속공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그러나 국내 건설현장에서의 거푸집 공법선정은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지 않고, 현장 실무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결과, 다수의 현장에서 공기단축, 비용절감 등의 효과가 큰 신공법을 적용하고자 할 경우,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 절차의 부재로 인해 최적 공법선정 시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현장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의사결정으로 인해 공기지연, 비용증대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푸집 공법선정과 관련한 다양한 선행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현장조건이라는 중요한 요인을 고려하지 못해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여 활용하기에 다소 한계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 유형별 조건을 고려한 정량적 거푸집 선정 의사결정 지원 모델 개발을 그 최종 목적으로 한다. 개발된 의사결정 지원 모델은 공사현장에서 거푸집 선정 의사결정시 정량적인 평가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경험에 의존하여 결정하던 의사결정 방법보다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최적의 거푸집 공사를 선정 할 수 있도록 도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경험이 풍부하지 않은 엔지니어도 본 연구의 의사결정 지원모델을 활용하여 현장의 조건을 고려한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