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e Forest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34초

녹차-숯-목재섬유 복합보드의 역학적 성능에 미치는 구성원료의 종류 및 배합비율의 영향 (Effect of the Kind and Content of Raw Materials on Mechanical Performances of Hybrid Composite Boards Composed of Green Tea, Charcoals and Wood Fiber)

  • 박한민;허황선;성은종;남경한;임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1호
    • /
    • pp.64-7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의 강도성능과 기능성을 보강한 건축내장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목재섬유에 녹차와 흑탄, 백탄, 활성탄 등 3종류의 숯을 혼합한 녹차-숯-목재섬유 복합보드를 제작하였고, 구성원료의 종류 및 그 배합비율이 복합보드의 정역학적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숯-목재섬유 복합보드의 휨 강도성능은 백탄함유 복합보드에서 평균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숯의 종류에 따른 휨 강도성능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그 값은 선행연구의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보다 현저한 휨 강도성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녹차와 숯의 배합비율이 증가할수록 휨 강도성능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바인더로 사용된 요소수지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E_1$급 요소수지를 사용한 복합보드가 $E_0$급 요소수지를 사용한 그것보다 높은 휨 강도성능을 나타냈지만, 양 수지간의 차이는 선행연구의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복합보드의 박리강도는 백탄 $$\geq_-$$ 활성탄 > 흑탄함유 복합보드의 순이었고, 백탄함유 복합보드에서는 목재섬유로만 구성된 대조보드와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붉가시나무의 목재성질 (Wood Properties of Quercus acuta Thunb.)

  • 정성호;박병수;정두진;이도식;조성택;전수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9-46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wood properties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warm temperate tree species of Quercus acuta Thunb. grown in Korea. Fundamental wood properties in the anatomical, physical, mechan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Quercus acuta Thunb. is a radial-porous, straight grained and fine textured wood. The heartwood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sapwood. In physical properties, it has a high oven-dry specific gravity of $0.85{\pm}0.02$, and high shrinkage from green to air-dried condition of $7.05{\pm}0.52%$ in radial and $11.13{\pm}0.48%$ in tangential direction. Mechanical properties determined are strong with the MOR of $1,065{\pm}90kgf/cm^2$, and tensile strength parallel to grain of $1,490{\pm}258kgf/cm^2$ and shear strength of $175{\pm}13kgf/cm^2$. Also, this wood has high extractive contents: 11.11% for cold and 13.51% for hot water.

  • PDF

목도의 식생: 그 보전을 위한 식물군락의 공간분포와 모니터링 (Vegetation of Mok-do Island: Its Spatial Distribution and Monitoring for Vegetation Conservation)

  • 김종원;제갈재철;이병열;이율경;문경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5호
    • /
    • pp.259-265
    • /
    • 2001
  • 울산광역시 목도 식생에 대한 식생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전통적인 군락분류법에 의한 식생유형 분석과 축적 1:800의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여 식생의 공간적 분포양식을 규명하고, 식생자원진단카드를 개발하여 주요 수목에 대한 활력도를 평가하였다 목도의 식생은 50과 93속 111종 (귀화식물 11종 포함)으로 이루어진 13개 식물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목도식생은 섬 면적의 37.4%를 차지하는 상록활엽수림의 후박나무군락으로 대표되며, 극히 단순한 종조성과 층구조, 그리고 주요 수목 가운데 95.7%가 절대감시 및 주요감시 대상인 개체를 포함하고 있는 매우 취약한 식생구조인 것으로 밝혀졌다. 상록활엽수림과 상록침엽수림은 해양에 대응한 공간적 분포의 경향성이 뚜렷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목도식생의 보전을 위한 장기생태연구의 토대를 구축하였다.

  • PDF

목타르와 톱밥을 혼합하여 제조한 펠릿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ellet Prepared from Sawdust and Wood-tar)

  • 권구중;권성민;차두송;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1호
    • /
    • pp.36-4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와 굴참나무재의 톱밥을 이용하여 제조한 목재펠릿과 두 수종의 톱밥에 목타르를 혼합하여 제조한 펠릿의 특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펠릿은 상온에서 만능강도측정기를 이용하여 2000 kgf/$cm^2$의 압력을 가하여 제작하였다. 목재펠릿의 밀도는 굴참나무 톱밥으로 제조한 것이 소나무 톱밥으로 제조한 것보다 다소 높았고, 미세분 발생량은 굴참나무 톱밥으로 제조한 펠릿이 소나무 톱밥으로 제조한 펠릿보다 낮았다. 발열량은 소나무 톱밥으로 제조한 펠릿이 굴참나무 톱밥으로 제조한 펠릿보다 다소 높았다. 톱밥과 목타르를 혼합하여 제조한 펠릿은 목타르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수율, 밀도 및 발열량이 높게 나타났고, 미세분 발생량은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목타르는 고품질 펠릿제조를 위한 원료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UWB 레이더와 실내 환경 측정 센서를 이용한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재실활동 유형 감지 (Activity Type Detection Of Random Forest Model Using UWB Radar And Indoor Environmental Measurement Sensor)

  • 박진수;정지성;양철승;이정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899-904
    • /
    • 2022
  • 본 세계적으로 출생률이 줄고 기대 수명이 늘어나 고령화 사회가 되어감에 따라 고령 인구의 건강 관리를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 중 실내 건강 관리를 위한 스마트 홈 캐어 서비스를 위해서는 재실 여부 및 활동 유형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 캐어 서비스를 위해 실내 온습도, CO2, 미세먼지 값과UWB 레이더 측위를 통해 재실 여부 뿐만 아니라 활동 유형을 분류하는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제안한다. 실험은 실내 온습도, CO2,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센서 3개와 UWB Radar 2개를 사용하여 2초 간격으로 실내 환경 및 재실자의 측위 데이터를 측정한다. 측정된 데이터는 이상치와 결측치를 보정 처리한 후 80%의 트레이닝 셋 데이터와 20%의 테스트 셋 데이터로 이분하며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적용하여 중요도 상위 변수 목록, 정확도, 민감도, 특이도, T1 스코어를 평가한다.

수치임상도 제작을 위한 영상탑재 현장조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Field Investigation System (FIS) loading Image Data for Digital Forest Type Mapping)

  • 유병오;권수덕;김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445-451
    • /
    • 2008
  • 본 연구는 Tablet PC를 기반으로 정밀수치임상도 제작을 위한 현장조사용 맞춤형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FIS의 주요 개발내용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FIS는 GPS에서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공간 Data에서 위치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정보의 접근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임상편집 뿐만 아니라 메모 및 야장도구를 통해 여러 가지 정보들을 현장에서 손쉽게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간단한 측정도구로 거리와 면적을 쉽게 산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현장조사가 가능하므로 현장에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작업의 생산력이 향상될 것이다.

숲 가꾸기 임지의 소나무좀 발생과 후식 피해 (Secondary Damage and Adult Emergence of Pine Bark Beetle (Blastophagus piniperda) in Tended Forests)

  • 구관효;이정환;김종갑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8-264
    • /
    • 200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tudy 1) emergence of pine bark beetles, 2) larval density in residual timber on Idlest land by each felling season, and 3) the secondary damage rates in the tended forest. Pine forest land which had undergone tending had a higher secondary damage ratio $(59.6\%)$ by pine bark beetles than forest land that was not tended $(2.8\%)$. The number of escape holes averaged 11.3 0.31 per $250 cm^2$ on the bark of leaf trees in the tended forest. The number of escape holes was higher in the Jinju site than in the Hamyang site. The larval habitat density of pine bark beetles as compared with each felling period was higher after mid-October than in forests tended early in October. Thus, forests should be tended before early October in order to prevent secondary damage from pine bark beetles. Secondary damage in the tended forest was higher in the upper part $(75.5\%)$ of the tree crown than in the lower part $(49.2\%)$. The damage was higher in terminal shoots $(80\%)$ than in lateral shoots $(48\%)$. Therefore, secondary damage by pine bark beetles can cause deterioration of the elongation growth of the forest trees. In conclusion, if by-products of tended pine forest forests are neglected, they will be utilized as a propagation site for pine bark beetles (Blastophagus piniperda L). The propagated adults will damage the tender shoots of the leaf trees and thus seriously limittheir elongation.

드론을 이용한 산림자원 정보관리를 위한 DB 설계 (Database Design for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using a Drone)

  • 오선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251-256
    • /
    • 2019
  • 현대사회가 급속히 발전하면서 자연과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특별히 최근 빠른 산업화로 극심한 환경오염과 미세먼지로 인한 사람들의 건강이 크게 위협을 받으면서 자연보호와 산림자원 관리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잦은 화재나 풍수해 및 난개발 등으로 인해 소중한 산림자원이 제대로 관리 되지 못하고 헛되이 소실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림자원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조성과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산림을 구성하는 나무 정보와 산의 지형 정보 및 생태계 정보를 아우르는 정확하고 구체적인 산림자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드론 기술을 이용하여 촬영된 산림자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 위치기반 산림 자원의 생태에 대한 정보와 그 위치 지역의 지형 정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산림자원 관리와 벌목 대상이 되는 수목 의사결정 그리고 향후 조성할 산림 조림사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산림자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구축하고자 한다.

드론 항공사진을 이용한 산림의 성장예측을 위한 DB 설계 (Database Design for Growth Prediction of Forest using Drone Photo)

  • 오선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709-714
    • /
    • 2020
  • 현대사회에서 산림자원은 자연환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급속한 산업화와 주변 국들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는 극심한 황사나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으로 매년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으며, 그 어느 때보다도 자연환경 보호와 효율적인 산림자원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기대와는 다르게 잦은 산불 발생과 홍수 피해 및 무분별한 난개발 등으로 소중한 산림자원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헛되이 소실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산림 관련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산림자원 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림자원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조성과 관리를 위해 드론 항공사진을 이용한 산림자원 관리와 벌목 대상의 수목 의사결정, 홍수대비 수로 결정 그리고 향후 조성할 산림 조림사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산림자원 성장예측이 가능한 산림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수집된 버뮤다그래스의 입자환경 및 형태적 특성 (Site Environment and 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Native Bermudagrass (Cynodon spp.) Ecotypes in Korea)

  • 배은지;이광수;박남창;이상명;신현철;양근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6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해안 및 도서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버뮤다그래스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입지환경에 따른 형태적 변이 정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들 입지환경, 토양의 화학성과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생지에 따라 초장, 엽폭, 엽장, 잎털, 포복경 및 화수당 종자수 등에서 큰 변이를 보여 조사 형질 간에 다양한 변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엽과 세엽 특성의 버뮤다그래스가 존재하고 있었으며, 광엽형의 버뮤다그래스의 경우 열악한 환경에서의 적응성이 매우 높아 중 저관리의 잔디면에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입지 환경과 형태적 특성 조사 결과 및 수집된 유전자원들은 앞으로 유전자원으로서 보존 가치가 높으며, 유용유전자를 보존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