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Experience Learning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3초

Ac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Heritage of Korean Modern Architecture: a Blended-Space Approach

  • Jang, Sun-Young;Kim, Sung-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2권4호
    • /
    • pp.8-16
    • /
    • 2016
  • This research proposes the composition logic of an Active Learning Environment (ALE), to enable discovery by learning through experience, whilst increasing knowledge about modern architectural heritage. Linking information to the historical heritag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elps to overcome the limits of previous learning methods, by providing rich learning resources on site. Existing field trips of cultural heritages are created to impart limited experience content from web resources, or receive content at a specific place through humaniti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blended space theory, an augmented space experience method for overcoming these shortages was composed. An ALE space framework is proposed to enable discovery through learning in an expanded space. The operation of ALE space is needed to create full coordination, such as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MS). It involves a relation network to provide knowledge to the rule engine of the CMS. The application is represented with the Deoksugung Palace Seokjojeon hall example, by describing a user experience scenario.

성인대학생의 평생교육 현장실습 경험 탐구 (Exploring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Experience of Adult College Students)

  • 송성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47-59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의 평생교육 현장실습 경험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대학생 5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17일부터 2021년 05월 14일까지 실습일지 및 과제물 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생교육 현장실습 경험은 '넘어야 할 산! 평생교육 현장실습',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의 확장', '자신감을 유발하는 현장실습', '백문불여일견의 살아있는 현장경험'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현장실습 경험의 의미는 '동료들과 팀워크로 학습공동체 형성', '평생교육의 핵심은 사람이라는 깨달음', '평생교육사의 직업적 정체성에 변화', '도전하고 싶은 평생학습 실천가의 삶'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생교육 현장실습 참여자의 질적 성장을 견인하고, 직업적 전문성 확보 및 양질의 현장실습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타 대학의 성인대학생을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A Case Study on the Costume Culture of the Head Family for Adolescent's Spot Experience Learning

  • Lee, Na-Seo;Yoo, Myung-Ie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6권1호
    • /
    • pp.52-6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ses of the head family's costume culture and to apply them to field experience education of adolescent's home economics subject. To examine costume culture, women in the two head families in the Hampyeong area, Jeollanam-do were interviewed. The findings had unique shroud making and custom in the Mo's head family of Hampyeong. Also it was found that the eldest daughters-in-law of the Lee's of Hampyeong have horizontally exchanged the information of the head family's costume with village women of the same family. They have initiated their costume culture directly through their daughters and it had the great influence on after-ages. The Spot experience program for adolescent to experience the head family's costume culture and life culture consisted of four subjects:(l)Educating the head family's traditional living culture including etiquette training, (2)head family village walk, (3)experiencing the head family's clothes life including natural dyeing and sewing, and (4)a field trip of Hampyeong Local Life Culture Museum. For a model experience of the head family's costume and life culture, three families with middle and high schoolers participated in 8- hour experience learning program.

  • PDF

e-Learning 환경에서 영어 말하기와 듣기 학습자의 몰입경험(flow) 척도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Study on the Flow State Scale of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 강정화;한금옥;신동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6권3호
    • /
    • pp.13-2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low Experience' of those studying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The exploration of flow experience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of Csikszentmihalyi's flow models and other studie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flow experience focusing on arts, leisure and sports in accordance with Csikszentmihalyi's original theory, however, his flow theory has recently been adapted to the educational field. Nonetheless, it i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rather than the face-to-face traditional teaming environment, that there is not enough flow state measurement sca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s a stepping stone a flow state scale for those who study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by the cyber-native-speaker on e-Learning environment to improve thei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 PDF

수학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 신장을 위한 매쓰투어(Math-Tour)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Math-Tour to improve Mathematics Study Attitude)

  • 허선;오홍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465-48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수학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제주목 관아에서 학생들이 직접 걸어 다니면서 체험할 수 있는 제주목 관아 매쓰투어(Math-Tour)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에는 제주목 관아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자연물과 인공물을 이용한 수학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후 제주시 A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험하도록 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매쓰투어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수학 학습 태도 검사와 인터뷰를 실시하고, 소감문을 작성하도록 하여 이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수학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인 제주목 관아 매쓰투어가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 신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수학 현장학습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를 개선하는데 유의미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청소년의 종가 생활문화 현장학습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종가 복식문화 사례 연구 -전남 함평 종가를 대상으로- (A Case Study on the Costume Culture of the Head Family for Adolescent′s Spot Experience Studying)

  • 서리나;유명의
    • 복식문화연구
    • /
    • 제11권5호
    • /
    • pp.753-76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ses of the family head's costume culture and to apply them to field experience education of adolescent's home economics subject. To examine the family head's costume culture, women in the family head in the Hampyeong area, Jeollanam-do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The focus of examining the family head's costume culture was on the life story of the family head, the reason to wear or possess such costume, and a motive of making. The findings of the head family's costume culture suggests that the head family of the Mos of Hampyeong had unique shroud making and custom. Also it was found that the eldest daughters-in-law of the Lees of Hampyeong have horizontally exchanged the information of the family head's costume with village women of the same family. They have initiated their costume culture directly through their daughters and it had the great influence on after-ages. The learning program for youth to experience the head family's costume culture consisted of four subjects:(l)Educating the family head's traditional living culture including etiquette training, (2)head family village walk, (3)experiencing the family head's clothes life including natural dyeing and sewing, and (4)a field trip of Hampyeong Local Life Culture Museum. For a model experience of the family head's costume life culture, three families with middle and high schoolers participated in 8- hour experience learning program.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ing program to experience the family head's costume culture, youth and their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asked open-ended questions, which included the content validity of experience learning, impressive experience, model experience level(difficulty), and expected effect after a model experience. As a result, their responses were found positive.

  • PDF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Beginning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in Geologic Field Trip)

  • 권홍진;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2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지구과학 교사들이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6년 1급 정교사 자격 연수를 받고 있는 지구과학 교사 116명을 대상으로 야외 지질 학습의 필요성과 교육적 가치, 교사의 야외 지질 학습 경험, 야외 지질 학습의 어려운 점과 바람직한 야외 지질 학습의 방법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초임 지구과학 교사들은 지구과학에서 야외 지질 학습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사양성과정에서 야외 지질 답사를 경험하였지만, 야외 지질 학습을 지도하는 방법을 배운 교사는 많지 않았다. 교직에 들어와서 야외 지질 답사를 다녀본 경험이나 학생들을 인솔하여 야외 지질 학습을 지도한 경험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지구과학 교사들이 야외 지질 학습을 지도하기 어렵다고 인식하였으며, 가장 어려운 이유로 교사 자신의 경험 부족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직 교사 연수를 통한 야외 지질 학습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야외 지질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야외 지질 학습의 사전 활동으로 야외 지질 학습 장소의 지질학적인 소개나 설명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활동 중에는 교사의 안내와 학생들의 협동학습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사후 활동으로는 야외 지질 학습 결과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이 적합하다고 보았다.

종묘에서의 과학 현장 체험 학습 가능성 탐색 (Exploring Possibilities of Science Field Experience in Jongmyo Shrine)

  • 김진경;신동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2호
    • /
    • pp.286-305
    • /
    • 2014
  • We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science field experience in Jongmyo Shrine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value of self-leading science activities in Jongmyo Shrine, one of the World Heritage, we developed science program and applied it to the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ing in a gifted education center. We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data of opinionnaire surve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ield activity sheets, field observation, and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 The results showed the lack of students' spatial ability and proposed educational interests in science education. Also, a lot of students felt the difficulty in applying school science knowledge into the real life context. Students found the meaning of science learning through cooperative activities in the historically meaningful place. A proper use of smart device in science field experience was recommended. We found that activities with too much smart device might impede various scientific process skills.

초등 실과 웹 (Web)코스웨어 개발 및 적용 연구 - 6학년 실과 '동물 기르기' 단원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Web Courseware for the Unit 'Raising Animals' in Elementary School 6th Grade Practical Arts)

  • 임채강;이미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51-162
    • /
    • 2003
  • 21세기 정보시대에는 학생들이 자유로운 정보 탐색이나 수집과 같은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학습 활동을 진행시켜 나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갖는 인재를 양 성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웹은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학습자 주도적으로 검색할 수 있고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실과 교육의 특성상 가장 효과적인 교수 방법은 직접 체험 학습을 하는 것이나 비용, 환경 여건, 안전도, 시간을 고려해 볼 때 항상 직접 체험학습 환경을 제공해 주기는 어렵다. 이러한 제한점이 많은 실과 단원에 대하여 직접 체험 환경과 가깝고 자가 주도적 학습을 지원하는 형태의 웹 코스웨어를 개발하여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한다면 실과교육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간 장소 공간의 제약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는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실과 6학 년 '동물 기르기' 단원 중심으로 웹 코스웨어를 설계 개발하고 수업에 간단히 적용해보았다. 프로그램 적용 및 평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후속연구에서 진행하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