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oriented education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8초

현장성 강화를 위한 현장직무연수에 대한 운영 및 분석 (Operation and Analysis of field-oriented training to enforce the field education)

  • 신현봉;박형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65-70
    • /
    • 2014
  • 최근 산업구조가 고도화됨에 따라 기술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고 있으며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의 교육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기술변화에 맞는 교육이 필요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에 대한 현장역량강화 및 기업과의 인적 교류 확대를 위하여 현장직무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운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능력개발교육원에서 2013년도 운영된 단기 및 중 장기의 현장직무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현장직무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상당히 높게 나왔으며 앞으로 산업과 기술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현장중심의 공학교육을 위한 교육장비 개발 및 활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Equipment for Industrial Oriented Engineering Education)

  • 장규영;손덕수;오창헌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79-84
    • /
    • 2009
  • 산업기술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현장중심의 공학교육을 위해서는 현장경험이 풍부한 강사, 교재, 교육콘텐츠와 더불어 현장과 연계된 교육장비의 활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의 교육장비는 현장중심이 아닌 해당 기술을 쉽고 편리하게 교육하기 위한 보편적인 장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산업기술 변화에 따라 관련 공학교육이 뒷받침되고 있지 못하고 현장교육과 점점 멀어져가는 이유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학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교육훈련 장비의 개발사례를 살펴보고 이들 장비를 실제 교육에 활용하였을 때의 만족도 조사를 분석하여 향후 현장중심의 공학교육에 적합한 교육장비 개발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이공계 현장중심 교육모형평가 -과학기술연합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An Evaluation of Field-oriented Graduate School Model in Science and Engineering : In Case of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장재중;박정민;설성수;이병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32-95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of Th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UST) as field-oriented graduate school model. The UST is unique in world-wide because of its operating system through the synergy effect of research and education and its interdisciplinary major system differentiated from the traditional graduate school, It first deals with measuring the users satisfaction by using a five-point Likert scale to analyze the general and special factors of UST, through which some findings are pointed out as follows; the education aims and visions are highly satisfied while essential factors in field-oriented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composition, apprentice and tailored education system, field training are not so high level. Finally it points out some suggestions for the UST development.

  • PDF

실무공학교육을 위한 현장맞춤형교육과정 개발 사례 (Case Study of Field-Oriented Curriculum Development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신주경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5
    • /
    • 2017
  • 대학의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서 역할을 다하여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현상과 이로 인한 기업의 신입사원에 대한 재 교육비 소요 등의 불만 요소를 해소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산업사회의 수요에 대응하는 인력개발요구 및 기계분야 산업현장 요구를 충족시키는 교육과정에 있어서 제안된 능력단위를 근거로 해서 실무형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산업체 직무를 분석하여 영역별 요구 수준을 파악한 후,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에 따라 전문기술인력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과 높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인력양성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이러한 현장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을 통하여 재학생들의 취업률 향상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교육 당사자들의 인식 조사 결과 분석 - 홍익대학교 과학기술대학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Recognition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Participators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Hongik University -)

  • 박진원;황광진;조규남;백현덕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20-33
    • /
    • 2007
  • 본 논문은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공과대학에서 교수, 재학생 및 졸업생 등 공학교육 당사자들의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여러 대학들을 조사하여 실무형 공학교육을 각각 기업 맞춤형, 전공 강화형, 기본소양 강화형 및 기타 등 4가지 형태로 분류하였고 이들에 대한 공학 교육 당사자들의 인식도를 조사한 것이다. 그리고 취업을 위해 어떤 교육 내용이 필요한가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실무형 공학교육을 기업 맞춤형 교육으로 가장 많이 이해하고 있었고 실무 적응을 위한 기본소양 강화 교육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도 상당수가 있었다. 신입사원 채용 시험에 교수와 졸업생은 인성, 품성 등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재학생은 전공 실력과 영어에 큰 비중을 두고 있었다. 이공계 학생으로 가장 부족하다고 느끼는 점은 졸업생과 재학생 모두 영어 능력을 들었으나 교수는 전공 실력 부족이라고 응답했다. 본 연구는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를 위한 공학교육의 발전 방향을 유추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추출했다고 판단되나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해 좀 더 세밀하고 광범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녀에 대한 사교육과 체험활동 투자 패턴이 자녀의 학업성취 및 사회관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vestment Patterns Private Education and Field Study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and Social Relations)

  • 박은정;이성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1호
    • /
    • pp.41-5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tterns of investment on children, analyze the differences in academic performance and social relations by the patterns of investment on children, and variables that influence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social relations of children. To achieve such research objectives, the raw data from the 2012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investigation were used for the research. The analytical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e parents and the third-grade students of a middle school and the analytical methods used wer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hi-squared 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K-mean cluste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pending on the research purpos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formalizing investment pattern on children, there were five patterns of: experience oriented investment, passive experience investment, private education oriented investment, aggressive investment, and passive investment patterns. Secondly, for the patterns of investment on children, the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within the aggressive investment and the experience oriented investment types. The social relation level was found to be the highest with the experience oriented investment, with it being low in private education oriented investment and passive investment patterns. Thirdly, fo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children, it was found to be higher in aggressive investment, private education oriented investment, experience oriented investment and passive experience investment compared to passive investment. Some sociological factors were also found to be influential such as mother's age, father's education, sex of children, school area of children, type of house, and income. For the social relation level of the children, the factors of the aggressive investment, passive experience investment, and the experience oriented investment as well as the sociological factors by sex of children and income level are influential.

Research on Policy regard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in the Software-Oriented Society

  • Chang, Young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5권1호
    • /
    • pp.51-58
    • /
    • 2016
  • Regarding the role of infrastructure in the university and education sector,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curing future competitiveness of a country, timely application from qualified applicants is an important factor. Thus, this study is to propose creative value regard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which will be a major topic in continuous technology development over the next 10 more years, and to bring out ripple effects by policy research regard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in the software-oriented society. This research on policy regard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in the software oriented society can be used as a guideline in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at colleges and can be also used for establishing groundwork for completing practical education required in smart ICT field at colleges and for cultivating mobile app program developers required by enterprises.

기업 맞춤형 프로젝트 기반 블록체인 웹 개발자 교육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Project-based Blockchain Web Developer Education Model Customized for Companies)

  • 이근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77-83
    • /
    • 2022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다양한 대학의 기업현장 적용 교육 모델이 제시가 되고 있다. 특히 새로운 교수법과 함께 많은 기업의 맞춤형 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 모델이 연구되면서 활용성을 높여가고 있다. 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위한 프로젝트 중심의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가장 많이 발전되어 지고 있는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업의 요구사항에 맞는 프로젝트 중심의 교수법에 대한 부분을 적용한 사례 중심의 교육과정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블록체인과 웹 개발자를 위한 기업 맞춤형 교육 모델을 통하여 산업체 중심의 교육과정 모델을 설계하고 운영과정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제안한다. 본 사례를 통한 모델은 산업체와 함께 심층 인터뷰 등을 통하여 현장에 맞는 교육과정 모델로 설계하여 운영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사례연구: PBL기반 보건의료 데이터 사이언스 특성화교육과 학습성과 (Case Study: PBL-Driven Healthcare Data Science Specializa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 박화규;김종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4
    • /
    • 2023
  • This paper aims to share the course, performance and implications of Project-Based Learning (PBL) education in healthcare data science (HDS). The HDS team of the business group of Soonchunhyang University, which was selected for the health care field of 'University Innovation Project', considered that the health care IT-based education of the current university differs greatly from the rapidly changing health care 3.0 environment of the fourth industry, and emphasized the PBL practice-oriented specialization program as a learning model. The PBL focused on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real analysis problems, and team-oriented classes. In other words, it was implemented with three specialized strategies: 'Field Inside Education', 'Fusion-type Track Education', and 'Training to strengthen resilience and change response'. This collaborative,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 etc. resulted in significant results. The results were recognized as being rated A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the result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udent survey and the results index.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 수요지향적 교과과정의 개발 (Development of Demand-Oriented Curriculum in the Computer-Software Field)

  • 노은하;박수희;장준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1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기술 요소와 대학사이의 불균형을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정보통신부의 주도하에 개발된 산업체 수요지향적 교과과정 개발 과정과 그 결과를 다룬다.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를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 통합, 임베디드 시스템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및 게임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정보 기술 등의 다섯 가지 세부 전공 트랙으로 세분하였다. 각 트랙에 대해 네 개의 수요지향적 교과목을 포함한 교과과정을 개발하였고, 수요지향적 교과목들의 상세강의개요와 과목교안을 개발하였다. 한편 이렇게 개발한 결과물을 활용하여 다수의 대학에서 2004년부터 실제 강의가 이루어져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