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Practice

검색결과 2,052건 처리시간 0.032초

The association between COVID-19 Knowledge,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and infection control practice among dental hygienists

  • Seon-Rye,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71-179
    • /
    • 2023
  • 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후 치과감염관리실태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관한 지식과 감염관리인식, 감염관리실행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사이의 연관성을 측정하였다. 일반적 질문 9개, 코로나19 지식 10개,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관한 36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5월 1일부터 31일까지 조사된 120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T검정, 분산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지식은 10점 중 6.59점, 감염관리 인식은 4점 중 3.57점, 감염관리 실행은 4점중 3.55점이었다. 코로나19 지식과 감염관리 실행은 0.485 양의 상관관계, 감염관리 인식과 감염관리 실행은 0.614 양의 상관관계로 코로나19 지식보다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치과에서 치과위생사들에게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을 의무화하고, 치과감염관리 매뉴얼에 따라 감염관리 실행을 의무화해야 할 것이다.

Lefebvre의 공간이론에 근거한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의 가능성 탐색 - 임대아파트단지 차이공간 생산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Space-based Social Work Practice' based on Lefebvre's space theory - A Case Study on the Production of Differential Space in Permanent Rental Housing -)

  • 최명민;박향경;이현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4호
    • /
    • pp.99-125
    • /
    • 2017
  • 최근 공간에 대한 사회과학연구는 권력과 억압, 자원분배 등 권력관계 분석에 토대를 둔 사회적 공간 개념에 기초하여 공간에 작동하는 사회적 관계를 변화시키는 데에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인간을 둘러싼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사회복지에서는 정작 현대 공간학에 대한 이해를 담보하지 못하고 공간을 중성적이고 추상적인 차원에서 이해해 온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공간사회학자인 Lefebvre의 사회적 공간이론을 중심으로 이 시대의 공간담론을 정리하고, 그 내용에 근거하여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Space-based Social Work Practice)'의 개념정립을 시도하였으며, 실제 사회복지 현장사례를 통해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간기반 사회복지 실천이 대안적 방법론으로 가질 수 있는 함의를 논하고 그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보건 간호 실습 계획을 위한 실태 조사

  • 김모임;김의숙;조원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26
    • /
    • 1970
  • That's an attempt to study about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f the residents with regard to maternal child health, family, planning, and tuberculosis in rural area which was chosen to be a demonstration area for nursing students of College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for their public health nursing practice. 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collect information on population of the area such as age and sex distribution, mobility, and other characteristics also be sought by doing a census. The purpose of study is to obtain data which are needed for planning student learning experiences in the community. The information which was obtainable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1. In demographic aspect a. Population structure was a typical rural type in terms of population pyramid. b. Distribution of age and sex of residents showed more female in the older ages. c. Population has not moved much. Majority of them have been living in the area since their births. 2. In sociological aspect a. The level of education of female was comparatively lower than male. b. The residents of the area did not have any special religion. c. The economic status was found low or middle class. 3. In health practice In general health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appeared to be poo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ould be summararized that there are a great public health nursing needs in the community. According to these needs found and to it's nature, severity and massiveness, the nurse instructors with students were able to set up a priority system in services. Meanwhile student case load can be logically figured out in consideration of variety of experiences need for each student. The study helped student not only to find out resident characteristics and their health problems in terms of family and community problem but also to provide a good learning experience by participating in the interviewing. In sum this type of study is necessary for planning of student field experience when no data are available where students are going to have field experiences in public health nursing.

  • PDF

간호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간호사의 자율성 및 임파워먼트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Nurse Managers and Autonomy, Empowerment of Nurses)

  • 하나선;최정;윤영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49-259
    • /
    • 2002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nurse managers and autonomy, empowerment of nurses. Method: The subjects were 468 nurses and 19 head nurses were working at the 3 general hospital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6 to September 14, 2001 by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AS package were used. Result: 1) 'Autonomy' and 'Empower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o 'Tot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r=.18{\sim}24$, $r=.26{\sim}36$, p<.001). 2)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 field of practice(F=4.47, p<.001). 3) 'Autonom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total numbers of years in nursing practice, and position in present(F=3.68, 3.27, 3.13, 4.34, p<.05). 4) 'Empower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major field of practice, total numbers of years in nursing practice, and position in present(F=16.02, t=9.04, F=6.97, 1.86, 15.71, 11.38, p<.05). 5)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key determinants of 'autonomy' were 'Charisma' and this explained 10.61% of the total variance of it. And the key determinants of 'empowerment' were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this explained 16.01% of the total variance of it.

  • PDF

학교보건교사 전염병관리교육 효과평가 (Evaluation of Field Epidemiology Specialist Program for School Nurse)

  • 박노례;권준욱;김명순;정인숙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3-74
    • /
    • 2007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Field Epidemiology Specialist Training Program for School Nurse which composed of 18hours curriculum. Method: The subjects were 797 who participated in the 2005 training program. Data was colle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knowledge on the control of communicable disease 15 items, attitude 15 items, and confidence in practice 14 item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4 items) before (January) and after (July to October) programs in 2005. Results: Knowledge on the control of communicable disease was improved from 9.7 points (possible range : 0-15) before program to 11.9 points after program. Attitude was improved from 53.6 points (possible range : 15-60) before program to 55.7 points after program. Confidence in practice was changed from 45.9 points (possible range : 14-56) before program to 50.0 points after program. Even though all three areas were improved after educational program, knowledge showed the largest change among them. Conclusion: We can conclude the educational program was effective because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in practice on the control of communicab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educational program. Further educational program is recommended to be operated to get more improvement in attitude and confidence in practice. And short-term continuing educational program is needed to maintain and refresh the information on the control of communicable diseases in schools.

주민주도성에 관한 개념도(Concept Mapping) 연구 (A Study on Concept Mapping of the Citizen-initiative)

  • 장연진;하은솔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1호
    • /
    • pp.163-190
    • /
    • 2018
  •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복지생태계조성사업, 마을공동체지향복지관 변화지원 사업과 최근 발의된 <마을공동체기본법> 등 주민주도성은 지역복지활동의 방향성으로 중요하게 부상하고 있는 개념이다. 그러나 주민주도성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한 합의 없이 사용되고 있어, 현장에서 활용되는데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을 적용하여 서울시내 복지관의 실무자 10명을 대상으로 주민주도성에 대한 59개의 진술문을 생성하여 개념지도를 그리고 다차원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총 6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6개의 범주는 "참여유도", "실천", "절차", "인식과 관심 확장", "의견표출", "태도와 정서"로 명명할 수 있었으며, 주민주도성 개념에서 "실천"이 핵심범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주민주도성의 개념에 대해 실제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실무자들은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또 주민주도성을 실현하기 위해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논의하고 향후 합의된 정의를 만들어가는 첫 시도로서 그 의의가 있다.

치매환자 인지프로그램 실무지침 개발을 위한 융합적 효과검증 (Convergence effectiveness verification for developing practice guidelines for dementia patients cognitive programs)

  • 함민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5-91
    • /
    • 2021
  • 본 연구는 치매환자에게 적합한 인지 프로그램 실무지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기술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근거중심의 임상진료지침 신규개발 방법에 기초하여 국내 치매환자용 인지프로그램 실무지침 예비 권고안을 개발하였다. 이후, 효과검증을 위해 전문가 내용타당도 및 실무자 현장 적용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실무지침은 최종 4개 유형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성항목의 내용타당도는 0.87-1점을 나타냈다. 현장 적용성의 하위항목에서는 적절성이 3.95-4.34점, 적용가능성이 3.57-4.27점, 효과성예측이 3.84-4.22점이었다. 전문가 내용타당도 및 현장 적용성 예측 조사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무지침이 임상에 종사하는 치매 인지프로그램 관리자의 중재 계획수립과 임상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치매환자에게 최적의 치료적 활동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중심의 실무지침 개발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CIPP 평가모형을 활용한 치위생과 교내임상실습 운영 평가기준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dental hygiene intra-school clinical practice operation using CIPP evaluation model)

  • Jang, Mi-Hwa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3-105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내에서 실시하는 임상실습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운영관리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평가기준 초안은 CIPP 프로그램 평가모형을 기반으로 도출하였으며,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5년 이상 임상실습 교육을 담당했던 치위생과 교수 및 임상현장 치과위생사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기교육을 담당하는 교수 및 임상현장 치과위생사 252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개 요인으로 총 36문항을 확인하였으며 최종 평가 기준의 내적 일관성을 확인한 결과 내적 적합도는 0.914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 따라 교내 임상실습의 운영 및 관리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기준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적절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이에 관련된 후속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위생학과 학생에게 바라는 역량에 대한 특성화 선택과정 실습기관 실무자의 의견: 심층면접 (Field Manager's Opinion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Competency: In-Depth Interview Study)

  • 김소망;김지엽;박은비;최정음;최혜인;박고은;김남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86
    • /
    • 2014
  • 이 연구는 2013년 3월부터 6월까지 3개월간 연세대학교 치위생학과 특성화 선택과정 실습기관 현장실무자 12명을 대상으로 실습학생에게 바라는 역량과 실습체계에 대해 심층 면접한 결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현장실무자들이 치위생학을 전공하는 학생에게 바라는 역량을 종합해보면, 현장실무 수행과정에서 '의욕적 태도와 활발함', '우수한 발표능력과 결과물' 그리고 '창의력과 리더십', '영어 등의 외국어 능력'을 발휘할 때 좋은 역량을 갖춘학생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그에 반해, '현장실무에 대한 준비'와 '직업에 대한 헌신과 소명'이 부족해 보일 경우는 그 학생의 역량을 낮게 평가하게 된다는 의견으로 수렴되었다. 더 나은 특성화 선택과정 실습체계 마련을 위해서는 '학교와 현장이 지속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프로젝트', '현장실무를 위한 기관 간의 원활한 행정교류'와 '학생들이 수행하길 원하는 구체적인 활동사항 리스트'를 구축하고, '실습과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한 과정평가'가 필요하다는 의견으로 모아졌다. 이 연구를 통해 특성화 선택과정 실습 현장실무자들이 학생들의 역량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기대하는 바도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 밖 현장교육을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특성화 선택과정 실습은 학생에게는 진로모색을 구체화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그리고 현장실무자에게는 학생의 역량을 미리 엿보는 계기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특성화 선택과정 실습이 현장실무자에게 향후 치과위생사 인력선발 과정에 긍정적이고 수월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사회복지 행정영역에서 수퍼비젼과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pervision and ethical dilemma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 이애라;박현승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77-83
    • /
    • 2024
  • 본 연구는 사회복지 행정영역에서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사들이 겪고 있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직면하여 바람직한 의사결정을 도출해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회복지 전문직에 있어서 윤리 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회복지 윤리강령을 제정하는 한편, 사회복지학 전공 교과 과정에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을 개설하여 윤리적 문제를 주요 이슈로 다루어 왔다. 하지만 실천, 교육현장의 변화와 욕구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학계의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관심은 매우 부족했다.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여러 가지의 윤리적 문제 중에서 사회복지사들에게 가장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바로 윤리적 의사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윤리 문제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식을 전화하고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고려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윤리적 방법과 절차를 모색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를 통해 슈퍼비전 과정에서 윤리적 민감성에 대한 이해와 슈퍼비전 전문가의 양성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