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rostenotic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Pediatric Magnetic Resonance Enterography: Focused on Crohn's Disease

  • Lee, So Mi;Kim, Woo Sun;Choi, Young Hu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8권3호
    • /
    • pp.149-159
    • /
    • 2015
  • Crohn's disease is a chronic idiopathic inflammatory disease of the intestines characterized by frequent relapse and remission. It often develop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are vulnerable to repeated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s. Magnetic resonance enterography (MRE) is an increasingly important radiation-free imaging modality that is used to evaluate pediatric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MRE can evaluate extraluminal and extraintestinal abnormalities as well as the status of the bowel wall. In addition, MRE has an advantage in the evaluation of the small bowel involvement. MRE can be used for the initial diagnosis of Crohn's disease, and can aid in the assessment of disease activity and complications such as penetrating and fibrostenotic diseases.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o review the MRE technique for obtaining diagnostic and high-quality images and to discuss interpretations of imaging findings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활동성 기관지결핵에서 치료경과에 따른 기관지경소견의 변화 (Changes in Bronchoscopic Findings during Treatment-Course in Active Endobronchial Tuberculosis)

  • 정희순;이재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1호
    • /
    • pp.25-34
    • /
    • 1995
  • 연구배경: 기관지결핵을 기관지경소견에 따라 섬유성협착형, 부종충혈형, 건락성괴사형, 종양형, 궤양형, 과립형, 비특이성기관지염형의 일곱가지 아형으로 분류하고, 활동성 기관지결핵에서 기관지내병변이 치료경과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를 기관지경검사로 추적관찰하고자 전향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1990년 5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서울특별시립 보라매병원에 내원한 환자중 기관지경검사상 기관지내부에 병변이 있고 조직생검에서 활동성 기관지결핵이 확진된 6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관지경검사는 치료경과중 변화가 없을때까지 매달 추시하고 이후에는 3개월간격으로 그리고 치료종결시에도 시행하여 기관지내부에 활동성병변이 없음을 확인하였는데 예정대로 기관지경검사가 모두 추시된(최소 5회부터 최다 10회) 증례는 47예였다. 결과: 대상환자는 남자가 12명, 여자가 54명으로 남녀비는 2:9였고 연령별로는 10대가 8명, 20대가 21명, 30대가 12명, 40대가 10명, 50대가 6명, 60대가 5명, 70대이상이 4명이었으며, 기관지결핵을 기관지경소견에 따라 분류해보면 건락성괴사형이 23예, 섬유성협착형이 12예, 비특이성기관지염형이 10예, 종양형 및 과립형이 각각 7예, 부종충혈형이 6예, 그리고 궤양형이 1예로, 주된 아형은 건락성괴사형, 섬유성협착형 및 비특이성기관지염형이었다. 기관지결핵의 치료경과에 따른 기관지경소견의 변화를 살펴보면, 건락성괴사형은 항결핵제투여후 1개월에 괴사물질이 거의 소실되면서 과립형이나 비특이성기관지염형 혹은 육아성병변으로 변형되었는데 치료 2-3개월후에는 20예중 7예(35.0%)가 특별한 후유증없이 치유되었으나 13예(65.0%)는 기도협착을 초래하였고 육아성병변을 형성한 경우는 7예 모두(100.0%)에서 기도협착이 발생하였다. 섬유성협착형은 치료에도 불구하고 4예중 2예(50.0%)에서는 기도가 완전폐쇄되는 경과를 보였고 나머지 2예(50.0%)는 기도협착이 호전되지 않았다. 부종충혈형은 6예중 4예(66.7%)가 섬유성협착형으로 이행되고 2예(33.3%)는 후유증없이 치유되었다. 과립형은 7예중 6예(85.7%)가 후유증없이 치유되었으나 1예(14.3%)에선 기도협착이 발생하였고, 비특이성기관지염형은 3예 모두(100.0%) 후유증없이 치유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치료후 2~3개월의 기관지경소견으로 모두 예측가능하였지만, 종양형에서는 7예중 치료 6개월후에 기존의 종괴가 더욱 돌출된 경우가 1예 있었고 각각 치료 4개월후와 6개월후에 다른 기관지부위에 새로운 종괴를 형성한 경우가 2예 있어 3예(42.9%)의 경과를 전혀 예측할수 없었으며 나머지 4예(57.1%)는 치료에도 불구하고 1예(14.2%)에선 기도내부의 병변이 전혀 호전되지 않았고 3예(42.9%)는 더 악화되는 경과를 보였다. 결론: 활동성 기관지결핵에서는 치료후 2~3개월간은 매달 그리고 종양형결핵은 치료후 6개월까지도 기관지경검사를 추시해볼 필요가 있으며, 치료경과중 육아성병변이 관찰되는 경우와 섬유성협착형 및 종양형 결핵에서는 기도폐쇄를 예방하기 위한 스텐트삽입이나 레이저요법, 전기소작술같은 적극적인 치료가 바람직할 것이다.

  • PDF

The Utility of Contrast Enhanced Ultrasound and Elastography in the Early Detection of Fibro-Stenotic Ileal Strictures in Children with Crohn's Disease

  • Sarah D. Sidhu ;Shelly Joseph;Emily Dunn;Carmen Cuffari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6권4호
    • /
    • pp.193-200
    • /
    • 2023
  • Purpose: Crohn's disease (CD) is a chronic, idiopathic bowel disorder that can progress to partial or complete bowel obstruction. At present, there are no reliable diagnostic tests that can readily distinguish between acute inflammatory, purely fibrotic and mixed inflammatory and fibrotic. Our aim is to study the utility of contrast enhanced ultrasound (CEUS) in combination with shear wave elastography (SWE) to differentiate fibrotic from inflammatory strictures in children with obstructive CD of the terminal ileum. Methods: Twenty-five (19 male) children between 2016-2021 with CD of the terminal ileum were recruited into the study. Among these patients, 22 had CEUS kinetic measurements of tissue perfusion, including wash-in slope (dB/sec), peak intensity (dB), time to peak intensity (sec), area under the curve (AUC) (dB sec), and SWE. In total, 11 patients required surgery due to bowel obstruction. Histopathologic analysis was performed by a pathologist who was blinded to the CEUS and SWE test results. Results: Patients that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area under the curve on CEUS compared to patients responsive to medical therapy (p=0.03). The AUC also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hypertrophy and the percent fibrosis of the muscularis propria, as determined by histopathologic grading (p<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elastography measurements between these two patient groups. Conclusion: CEUS is a useful radiological technique that can help identify pediatric patients with medically refractory obstructive fibrotic strictures of the terminal ileum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early surgical resection.

기관지결핵의 흉부전산화단층촬영소견 및 기관지경소견과의 비교 (Chest CT Finding and Its Comparison with Bronchoscopic Finding in Endobronchial Tuberculosis)

  • 이재호;윤혜경;송재우;유철규;정희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742-755
    • /
    • 1997
  • 연구배경 : 기관지결핵에서 항결핵치료 전에 기관지경 및 CT검사를 시행하고 기관지경소견에 따른 기관지결핵의 아형별로 CT소견을 비교하여 CT의 역할에 대해서 알고자 하였고 치료후 1개월에는 기관지경 및 CT검사를 추시하여 기관지경소견에 따른 기관지결핵의 아형이 변함에 따라 CT소견은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 11월부터 1996년 3월까지 보라매병원에서 기관지경 및 조직검사를 통해 기관지결핵으로 확진된 26명을 대상으로 치료전에 CT를 시행하여 기관지경 소견에 따른 아형을 구분하고 CT소견을 비교하였고 이중 9명에서는 항결핵치료후 1개월에 기관지경, CT 및 폐기능검사를 추적 검사하여 기판지경의 소견에 따른 CT소견의 변화와 폐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대상환자들은 총 26명이었고 연령은 17세에서 73세의 분포를 보였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1명, 여성이 25명으로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1곳을 침범한 경우가 14예, 2곳을 침범한 경우가 9예, 3곳을 침범한 경우가 3예 였고, 이환된 위치는 좌측 주기관지를 침범한 경우가 13예(단독침법 7예 포함)로 가장 많았다. 이환된 기관지의 길이는 10mm에서 55mm까지 다양하였고 섬유성 협착인경우에는 이환된 길이가 건락성 괴사형에 비해서 짧았다. 기관지의 협착은 26명중 25명(96%)에서 관찰되었는데 폐엽의 허탈에서부터 경미한 협착에 이르기까지 다양했으며, 일반적으로 섬유성 협착인 경우에는 협착의 정도가 건락성 괴사형에 비해서 심했다. 가관지주위조직의 비후는 측정가능했던 23명중 21명(91%)에서 관찰되었는데 섬유성 협착인 경우의 비후의 정도가 건락성 괴사형에 비해서 심했다. 기관지점막의 불규칙정도는 각 아형별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6명의 환자중 77%인 20명에서 관찰되었으며 우측에서 우월하게 관찰되었고(1 : 5.2), 2예에서는 종대된 림프절이 기관지벽을 침입하여 기관지경검사상 종양형으로 분류되었다. 항결핵치료후 1개월에 기관지경과 CT를 추적 검사했을때 기관지벽주위의 비후 및 종격동림프절의 종대는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며 기관지내강의 협착은 9명 중 6명에서 호전된 반면 3명에서는 오히려 악화되었다. 결 론 : 기관지결핵에서 CT검사는 기도자체의 병변의 길이, 기도협착의 정도 및 기도주위조직의 비후, 종격동림프 절종대 등의 소견을 잘반영하므로 기관지경검사와 상호 보완되는 역할을 한다.

  • PDF

기관지결핵에 의한 기도협착에서 풍선카테터를 이용한 기도확장요법 (Balloon Dilatation of Bronchial Stenosis in Endobronchial Tuberculosis)

  • 정희순;한성구;심영수;김건열;한용철;김우성;임정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3호
    • /
    • pp.236-244
    • /
    • 1991
  • The prevalence rate of pulmonary tuberculosis is 1.8% in 1990, and endobronchial tuberculosis may exist in 10 to 40% of active disease. Endobronchial tuberculosis usually leaves bronchial stenosis as the complication despite of modern chemotherapy, and it is often misdiagnosed as bronchial asthma. When bronchial stenosis involves major airway, its treatment needs such special measures as steroid therapy, surgical intervention and/or laser therapy, but the therapeutic result is often disappointing. To exploit a new treatment modality for bronchial stenosis, balloon dilatation was carried out in 12 patients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Under local anesthesia, 4F-Fogarty balloon was inserted via bronchofiberscope in ten cases and 10F-Gruentzig balloon was introduced under fluoroscopic guide in two others. Endobronchial tuberculoses were subdivided into two(16.7%) with actively caseating type, seven (58.3%) with fibrostenotic type, and three (25.0%) with stenotic type without fibrosis, according to the bronchoscopic findings. In 7 healed cases which were all stenotic with fibrosis, three (42.9%) took favorable turn in clinical status but four (57.1%) were not improved with balloon dilatation. In 5 active cases, all (two with actively-caseating type and three with stenotic type without fibrosis) were improved with this method. $FEV_{1.0}$ or FVC increased 10% or more after procedure in seven (70.0%) of ten and bronchial lumen remained enlarged in eight (66.7%) of twelve, in whom follow-up examination was done after the procedure. Balloon dilatation of bronchial stenosis is more effective, when endobronchial tuberculosis is in active stage than in healed fibrotic stage. It is suggested that bronchial stenosis can be minimized by early diagnosis and early application of balloon dilatation in the course of dis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