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stival Applicatio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6초

대형 음악 페스티벌 경험 향상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가이드라인 (A Guideline of Music Festival Experience Through Mobile Application)

  • 주은선;최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6-36
    • /
    • 2015
  • 최근 여가 레저에 대한 관심과 공연 문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상을 벗어난 공간에서 여가 생활과 공연을 함께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음악 페스티벌의 인기 또한 높아지고 있다. 한국에서 대형 음악 페스티벌 산업은 짧은 시간 동안 급성장해왔으며, 특히 젊은 세대에게 대중적인 문화로 자리 잡았다. 이 추세에 따라 음악 페스티벌의 규모는 커졌고, 이와 함께 등장한 대형 음악 페스티벌은 사용자에게 공연을 포함한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대형 음악 페스티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일회적인 편의에 그치고 있으며 사용들에게 축제 경험을 주기에는 부족한 모습을 보여 왔다. 페스티벌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하나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도 마찬가지이다. 음악 페스티벌의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으나 조사 결과 기존 앱들은 상황에 따라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용자 조사를 통해 음악 페스티벌을 즐기는 사람들의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이에 따른 기능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는 사용자 조사 결과에 따른 앱의 개선방향과 기능을 제안하는 단계까지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콘을 활용한 위치기반 지역축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s of Local Festival Mobile Application and Data Analysis System Applying Beacon)

  • 김송이;김원표;정철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1권
    • /
    • pp.21-32
    • /
    • 2017
  • 지역축제는 문화를 형성하는 소통의 장으로 국내 관광 사업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지역의 이미지 창출, 전통 문화의 보존, 관광객 유입, 일자리 창출, 지역문화의 콘텐츠 개발, 지역특산품 판매 촉진 등 지역경제에 많은 파급효과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무선통신 기술인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 요소기술은 점차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특히 사물인터넷 서비스 중 하나인 비콘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서비스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디지털 및 모바일 기술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수 없이 많은 지역축제에 대한 정보를 개인이 하나하나 찾기란 쉽지 않고, 기존에 개발된 축제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단순 정보전달 수준에 국한되어 있거나 일회성인 축제 정보제공, 축제장 내의 정보제공 방식, 개발 축제마다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형태제공, 단발성 사용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비콘을 활용한 위치기반 지역축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분석 시스템 개발하여 축제 방문객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기술개발을 통해 '축제장 혼잡도 알고리즘', '방문객 통계분석 알고리즘', '맞춤형 정보 알고리즘'의 총 3개의 알고리즘 및 데이터분석 시스템을 개발했고, 개발된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통해 실제 축제장에서 베타테스트를 실시했다. 그 결과, 방문객 행태 DB 구축, 지역축제 방문객에게 Hot place 기능, 대기시간 기능, 맞춤형 정보제공의 서비스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출시 3개월 간 1만 3천 건 이상의 다운로드 실적 달성, 구글플레이스토어에 '축제' 관련 애플리케이션 중 노출 1위를 달성하는 등 지역 관광 축제 플랫폼으로서의 시장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술개발과 관련된 지역축제, 사물인터넷, 비콘 서비스, 축제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지역축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설계와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구현환경을 상세히 기술한다. 4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분석 시스템이 제대로 적용되지는 실험하기 위해 베타테스를 실시하여 제품의 성능평가를 기술하고,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결론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기술한다.

부산지역 학교급식에서 세시음식에 대한 영양사의 인식 및 적용에 관한 조사 (Dietitians'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Festival Foods in the School Foodservice in Busan Area)

  • 류은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0-171
    • /
    • 2003
  • We surveyed dietitians' perception on application of festival foods in the school foodservice in Busan area.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44 dietitians working in elementary(143 individuals), middle(50 ind.), and high schools(51 ind.). The mean scores of dietitians' perception for the succession of the festival foods are 4.57/5.00 at Seolnal, 4.28/5.00 at Jeongwoldaeboreum, 4.12/5.00 at Dongji, 4.02/5.00 at Chuseok, 3.91/5.00 at Sambok, 3.27/5.00 at Dano, 3.00/5.00 at Chopail, 2.67/5.00 at Samjitnal, and 2.65/5.00 at YuDu. The dietitians have frequently practice the Sambok foods to the school foodservice menu, followed by the foods for Dongji, Jeongwoldaeboreum, Seolnal, and Chuseok. About two third of dietitians(72.2%) answered that it is needed to provide festival foods as the school foodservice menu for festive days. However, the survey indicate that putting festival foods on the school foodservice is hampered by the facts that foods do not appeal to the students' taste and it is difficult to cook the foods by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Mean scores of dietitians' acquaintance with about the origins and contents of festive days are Dongji(3.67/5.00), Seolnal(3.63/5.00), Sambok(3.60/5.00), Jeongwaldaeboreum(3.58/5.00), Chuseok(3.39/5.00) and Dano(3.23/5.00). When the dietitians provided lunch for the students, 80.1% of them occasional give the information on the festival foods to the student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hand down festival foods that the dietitians develope the recipe for foods applicable in school foodservice and e government adopt a policy and education programs.

위치 정보기반의 지역 축제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커머스 및 정보 알림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Novel of Mobile Commerce and Information Notice System for Local Festival Content Activ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 정세훈;박선민;심춘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780-791
    • /
    • 2015
  • Recently, it is being held festival according to regional and seasonally cultural feature in nationwide. Especially, local festivals are being provided festival information services a variety of forms for tourists depending on development of information device. However, systems to provide notification information of local festivals are not persistent but mostly short term servi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bile commerce and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through festival information alerts and festival surrounding information using local based on service. In addition, we implement a festival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that applies to beacon based on bluetooth in order to inform them on diverse festival. Finally, we take into account in terms of design of system using object-oriented design modeling to improve reusability of proposed system.

CVM을 통한 하이서울페스티벌의 가치평가 (Valuation of the Hi Seoul Festival : An Application of CVM)

  • 김채옥;마보;김소은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권1호
    • /
    • pp.23-40
    • /
    • 2010
  • 본 연구는 축제의 가치를 최대지불의사액(WTP)을 통해 측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이 된 하이서울페스티벌은 서울의 대표축제로 육성하고자 2003년부터 개최된 축제이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관광객을 유치하고 문화관광지로서 서울의 이미지를 재정립하여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자 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하지만 해마다 상이한 콘셉트와 행사 개최장소의 변경으로 인해 축제의 정체성이 모호하며, 초기의 목표와는 달리 가시적인 성과를 얻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축제개최 장소별 CVM을 활용한 가치추정을 통해 하이서울페스티벌의 가치를 추정하고,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축제개최장소별 비이용 가치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각 장소별 프로그램의 성격과 개최장소의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하이서울페스티벌의 비이용가치 추정을 통한 경제적 가치는 422억 원으로 나타나 현재 시민들이 느끼는 편익의 가치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향후 하이서울페스티벌의 기획에 있어서는 장소성을 가진 장소에서의 특성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방문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축제의 가치를 높이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지역축제 체험마케팅이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xperiential Marketing on Relationship Orientation in Local Festival -Focus on the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nennale-)

  • 이익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36-542
    • /
    • 2012
  • 본 연구는 체험마케팅 요소가 관계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험마케팅의 감성 체험, 인지 체험, 행동 체험, 관계 체험의 항목이 관계지향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첫째, 향후 축제브랜드 강화를 위해 축제 체험마케팅 개발에 �옳� 하나의 새로운 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축제와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새로운 연구로써, 축제와 같은 무형적 상품을 통한 체험마케팅도 관계지향성 강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학문적으로는 체험마케팅의 적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산업적으로는 축제의 마케팅 전략 및 관계지향성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었다.

축제 앱 사용자를 위한 축제 검색 요인분석 (Festival search factor analysis for festival application users)

  • 이창근;김순곤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883-89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단조롭고 일률적으로 보여주는 축제 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문화관광축제 종합 평가 보고서의 만족도 평가항목과 국내 외 학자들의 축제 품질요인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KMO 값은 0.821로서 나타났다. 요인적재치가 기준 이하인 항목은 제거를 하여 축제 검색요인은 접근성, 홍보안내, 행사내용, 축제상품, 먹을거리, 편의시설을 도출하였다. 신뢰도 분석에서는 Cronbach's ${\alpha}$(Alpha)값이 0.816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카이스케어 검정결과 p값이 0.289로 나타났으며, CMIN/DF 값도 1.100로 나타났다. GFI, AGFI, CFI, NFI, IFI 모두 적합도 기준치인 0.9 이상으로 나타났고 RMSEA 역시 0.018로 나타났다.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l Festivals and Travel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

  • Jae Hyun Ahn;Hang Ju Lee;Se Yeon Lee;Ji Won Han;Won Joo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1호
    • /
    • pp.65-71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국내 여행지 및 지역 축제 정보를 제공하는 Walking Life Festival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내장 센서 중 걸음 횟수 센서(Step Counter Sensor)와 걸음 감지 센서(Step Detector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GPS 센서 등을 활용한다. 그리고 Google Map API와 Public Open API를 활용하여 국내 여행지 및 지역 축제정보를 제공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Shared preference API를 사용하여 자동 로그인 기능을 구현한다. 그리고 로그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때는 해시 알고리즘을 통해 입력된 평문 데이터를 받아서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Google Map은 Google.maps.LatLngBounds() 메서드를 활용해서 객체를 생성한 후 extends 메서드를 통해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한다. 또한, 이 애플리케이션은 국내 여행지와 관련된 지역 축제 개최 시기를 알림으로써 축제 참여 기회를 높임으로써 국내 관광 산업 활성화에 기여한다.

지역축제의 교육적 활용 - 2010 청도반시축제를 중심으로 - (Educational use of local festival - In case of 2010 Cheongdo persimmon festival -)

  • 박인환;김민수;조광진;김혜영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90-96
    • /
    • 2012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or the local festival's educational impact. And take advantage of local festival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factors that affects, local festivals, depending on the type, application factors and intention to revisi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projects have identified the effect. So take advantage of the educational needs of local festivals for the purpose is to recognize that. To this end, 2010 Cheongdo persimmon festival's visitors were surveyed. How to analyze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was use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mmunity education of local festivals, discretionary activities, and agricultural education in educational projects in local festivals factor effects showed positive effects. The results of ANOVA, type programs and performances of the factors exhibition programs, experiential program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intention to revisit, "will revisit" and "I do not know", "will not visit" and "I do not know" and "will not visi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se results, focusing on the needs of local festivals take advantage of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proposed recognition.

  • PDF

Structural Design of Nakanoshima Festival Tower

  • Okada, Ken;Yoshida, Satoshi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173-183
    • /
    • 2014
  • Nakanoshima Festival Tower is a 200 m high-rise complex building which contains a renewed 2700-seat capacity concert hall known as "Festival Hall" and offices including headquarter of a news company. In order to build up an office tower on the hall which requires large open space, a giant truss system is employed. The giant trusses being composed of mega-trusses and belt-trusses support all the building weight above them and transfer the load to the outside of the hall. The building also requires high seismic resistance performance for a news company. Application of mid-story seismic isolation enables the building to satisfy high-level seismic resistance cri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