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mugwort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52초

발효쑥의 생리활성 및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Mugworts and Their Effec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 정순모;송효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6-362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mugworts and their effects on the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a-induced rats.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two kinds of mugwort, Artemisia capillaris Thumberg and Artemisiae asiaticae Nakai,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In both types of mugwort crude protein and amino nitrogen contents markedly increased with fermentation. Thrombolytic activity determined from the size of the clear zone on a fibrin plate was higher for the Artemisiae asiaticae Nakai, especially in the fermented sample. Antioxidative activity according to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effects was higher for Artemisia capillaris Thumberg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samples after fermentation. The body weights of hyperlipidemia-induced rats that were fed the mugworts for 4 week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all the mugwort-fed rats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remarkably decreased. Furthermore the fermented mugworts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at decreasing triglyceride (TG) levels.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highest HDL-cholesterol levels were observed in the rats treated with the fermented Artemisiae asiaticae Nakai. And fatty liver weights were higher in the rats fed Artemisia capillaris Thumberg. In conclusion the feeding of fermented Artemisiae asiaticae Nakai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rombolytic activity and HDL-cholesterol levels as well as reducing TG levels in rats.

  • PDF

고초균 발효에 의한 홍삼박 발효물에 쑥 분말 첨가에 따른 물리화학적 및 항산화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Red Ginseng Marc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HA with Mugwort Powder Addition)

  • 정혜원;김지은;서지현;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91-1398
    • /
    • 2010
  • 홍삼 추출액 제조 후 생산되는 부산물인 홍삼박의 식품 소재화를 위해서 열풍 건조시킨 후 초미세 분말화 하였으며, 쑥 분말 첨가에 따른 고초균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삼박 분말에 탈지대두분말 3%와 monosodium glutamate(MSG) 2%, 쑥을 농도별(0~3%)로 첨가하여 발효하여 분석하였다. 홍삼박 발효물의 tyrosine 함량은 쑥 3% 첨가 시 581.3 mg% 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protease 활성은 쑥을 첨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쑥을 첨가하지 않은 구에서 277.5 unit/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점조도 측정 결과 쑥 3% 첨가 시 $8.8\;Pa{\cdot}s^n$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점질물 함량은 쑥을 첨가하지 않은 구에서 11.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고분자 점질물인 PGA함량을 GP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쑥을 첨가하지 않은 구에서 15.9 g/kg 이었으며 분자량은 1,100 kDa으로 나타났다. 첨가된 MSG 전환율을 약 80% 정도로 나타냈으며, 쑥 첨가에 따른 전환율에 효과는 볼 수 없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쑥 3% 첨가된 발효물에서 물과 70% 주정 추출물 각각 $IC_{50}$값이 0.62 mg/mL, 0.57 mg/mL로 나타났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쑥 3% 첨가 시 물 과 70% 주정 추출물에서 각각 $IC_{50}$값은 1.24 mg/mL, 1.34 mg/mL로 나타났다.

쑥 추출물의 첨가가 요구르트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gwort Extract on the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 김지인;박신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52-357
    • /
    • 1999
  • 우유에 쑥 추출물을 수준별로 첨가하고 2종(Lac. bulgaricus와 Str. themophilus)의 젖산균을 단독 또는 혼합 배양하여 호상 요구르트를 만들고, 쑥 추출물의 첨가가 젖산균의 생육과 산 생성 및 요구르트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쑥 추출물의 첨가로 인해 요구르트의 젖산균 증식과 산 생성이 대조군(우유 요구르트)보다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특히 Lac. bulgaricus와 Str. themophilus를 혼합 배양한 경우에 산 생성이 가장 우수하여 산도는 1.921%이었고, Lac. bulgaricus를 단독 배양한 경우에 생균수가 가장 높아 7.72$\times$$10^{8}$ CFU/ml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를 보면 쑥 추출물 첨가 요구르트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색깔, 향기, 맛, 조직감, 후미 및 전체적인 기호도 등 관능성이 대체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Lac. bulgaricus를 단독 균주로 하여 쑥 추출물을 5% 첨가하여 제조한 요구르트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우유에 쑥 추출물의 첨가는 기호성이 높고 식품 영양학적으로 우수하여 그 상품적 가치가 인정되는 새로운 요구르트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국내산 향신료로 제조한 발효소시지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ausages with korean Native Spices)

  • 최원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87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style fermented sausage by addition of Korean native spices(Mugwort Artemisaia asiatica ;pine needles pinus thunbergii ; Japanese pepper Zanth-oxylum prperitum ; Arrowroot pueraria hirsuta) instead of foreign-original spices(white pepper corian-der)pH of all sausages was lowered rapidly during ripening. pH reductio of sausages with foreign spices was mere rapid than that with Korean native spices except for the sausages with all mixtured Korean native spices. Aw was not affected by differentiated spices. The "a" value among Hunter Color Value of sausages that produced with mixed Korean native spices was higher than sausages with foreign spices Lactic acid bacteria rapidly increased and reached to 108cfu/g after 2 days of ripening. Korean native spices used to this work did not inhibit the inhibit of lactic acid bacteria in fermented sausages but enterobacteria did not detected after 10 days of fermentation in the sausages with mixed Korean native spices.

  • PDF

청국장 및 녹차, 쑥이 첨가된 청국장의 항혈전 활성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Cheongkookjang and Cheongkookjang Fermented with Green Tea or Mugwort)

  • 이경애;장정옥;윤혜경;김무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8-303
    • /
    • 2007
  • 청국장 및 기능성분이 첨가된 청국장 추출물이 가지는 항혈전 관련 활성을 검정하였다. 흰 콩(Golycine max)과 검은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청국장과 여기에 각각 녹차, 쑥이 첨가되어 제조된 청국장에 대해 in vitro에서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 활성, 혈소판응집 억제 및 fibrin 분해활성을 측정하였고, 가장 우수한 시료에 대해 in vitro에서 혈전억제능을 시험하였다. 항산화 활성에 있어서 흰콩이나 검은콩 청국장 모두 녹차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활성이 급격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쑥을 첨가한 경우에는 활성 증가율이 녹차에 비해 다소 적었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모든 시료에서 90% 이상 매우 높았으나 기능성분 첨가에 의한 영향은 크지 않았다. 혈소판응집 억제 활성을 조사한 결과, 녹차나 쑥을 첨가함에 따라 그 활성이 상당히 증가되었다. 특히 흰콩이나 검은콩 청국장 모두 $0.3{\sim}1.0%$의 낮은 농도에서도 녹차나 쑥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활성 이 크게 증가하였다. 청국장 추출물의 fibrin 분해활성을 plasmin unit으로 환산한 결과, 흰콩보다는 검은콩 청국장의 혈전용해 활성이 약간 좋았으나, 기능성분 첨가에 따른 활성증가는 크지 않았으며 특히 쑥을 첨가한 경우는 저농도에서 활성이 상당히 감소하다가 농도상승에 따라 활성이 약간 회복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시험군중 in vitro 혈전억제 작용이 가장 우수한 녹차 첨가검은콩 청국장에 대해 마우스를 이용한 in vitro 혈전유발 억제능을 조사하여, 녹차를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1.5배 정도 억제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청국장은 혈전용해뿐 아니라 혈소판응집 억제 및 항산화 기능 등에 의해서 혈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녹차나 쑥 등 기능 성분 첨가시 소량 첨가에도 매우 향상된 혈전억제 활성을 가진 청국장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구순 봉합수술 후에 구개부 (palatal segment) 의 면적은 계속 증가하였다. 치조골 면적과 거리 항목의 증가는 후방부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NAM치료에 의한 치조골 정형효과는 주로 전방부에서 발생하며, 치조골의 성장은 구순 봉합수술 후에 후방부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물실험을 통해 증명이 되었으나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역학적 연구는 아직 기대만큼 명료한 결과들을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IARC나 EPA모두 인체발암물질로 분류하였고 다양한 건강영향에 대한 증거들이 있는 것은 분명한 만큼 다이옥신 노출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EX>-RA투여로 인해 위내에 발생한 무위산증(achlorhydria)이 위암 발생의 위험을 높일 것이라는 기존의 가설을 뒷받침하는 결론이라고 할 수 있었다. Mies van der Rohe의 제자들이나 그로부터 영향을 받은 수많은 건축가들은 이러한 저항과 비판에 직면하게 되며 새로운 사고의 시대적 요구 앞에 고뇌하게 된다. 한국에서는 1978년 Mies van der Rohe의 제자인 김종성이 미국에서 서울로 돌아와 '서울건축컨설탄트'를 설립하며 본격적으로 Miesianism의 규범적 건축론을 설파하기 시작하였다. 이른바 시카고 국제주의학파의 건축전수라고 할 수 있는데 '서울건축컨설탄트'를 통하여 배출된 김종성의 제자들은 명쾌하고도 간결한 건축해법의 경험을 토대름대로의 정체성을 갖고자 노력하였으나 결국 다원적 가치를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 혼란을 겪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본 연구는 Miesianism의 기원을 밝히고 그것의 실수와 오류를 밝힘과 동시에 현대의 여러 가지 건축유형들과 비교하여 봄으로써 Post-Miesianism의 실체와 그 미래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미스의 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Miesianism의 요체는 첫째, Schinkel로부터 이어받은 시대정신의 사명감,

첨가재료에 따른 증편의 관능적.물성적 특성 (Sensory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Jeungpyun made with various Additives)

  • 최영희;전화숙;강미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0-206
    • /
    • 1996
  • 전통쌀가공식품인 증편의 영양성 및 기호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콩가루, 전지분유, 탈지분유, 난황, 난백, 쑥가루 등을 첨가하여 증편을 제조하였으며 첨가 재료별 증편의 성형성 및 관능적, 물성적특성을 비교 하였다. 첨가재료를 달리한 증편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쑥가루를 제외한 모든구에서 단백질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콩가루, 전지분유 첨가구는 조지방의 함량이 높았다. 탈지 분유와 전지분유를 첨가한 증편의 loaf volume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나, 난황, 난백, 쑥가루을 첨가 한 증편은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쑥 가루 및 난황첨가구는 기공이 균일하지 않았다. 첨가재료별 증편의 관능검사결과 콩가루, 전지분유, 탈지분유, 난백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단맛의 정도가 강하고 씹힘성 및 단단한 정도가 낮았으며, 쑥가루첨 가구는 쓴맛이 강하게 느껴지고 단단하였다. Texturometer로 증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쑥가루 첨가구는 경도, 탄력성 및 씹힘성이 높아 단단하고 탄력있는 특징을 보였으며, 콩가루, 전지분유, 탈지분유 및 난백첨가구는 이러한 물성이 대체로 낮아 부드럽고 질기지 않는 물성을 나타내었고 이는 관능검사 결과와 유사하였다. 콩가루 및 전지분유첨가구를 4$^{\circ}C$에서 저장했을 때 경도의 변화가 대조구보다 낮아 증편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 PDF

Antiasthmic Effect of Fermented Artemisia princeps in Asthmic Mice Induced by Ovalbumin

  • Bae, Eun-Ah;Min, Sung-Won;Lee, Bo-Mi;Kim, Nam-Jae;Baek, Nam-In;Han, Eun-Joo;Chung, Hae-Gon;Kim, D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9호
    • /
    • pp.1554-1557
    • /
    • 2007
  •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AP) was fermented with Bifidobacterium infantis K-525 and its antiasthmic effect investigated. AP and fennented AP (FAP) reduced the IgE level in the blood of ovalbumin-induced asthmic mice. Moreover, FAP reduced the IgE, proinflammatory cytokine IL-6, and IL-4 levels in the trachea, as well as in the lung of the experimental asthmic mice, whereas AP only reduced the IgE and IL-6 levels in the lungs. Nonetheless, AP and FAP both inhibited the mRNA expression of IL-6 and TNF-${\alpha}$ in IgE-induced RBL-2H3 cells. The in vivo antiasthmic effect of FAP was more potent than that of AP.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nhanced antiasthmic effect of AP after bifidus fermentation was possibly due to the regulation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biosynthesis of IL-6 and TNF-${\alpha}$.

발효기간이 산야채 발효액의 품질과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rmentation Periods on the Qualities and Functionalities of the Fermentation Broth of Wild Vegetables)

  • 김나미;이종원;도재호;양재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72-279
    • /
    • 2003
  • 산야채를 이용하여 추출물 발효식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발효기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른 발효액의 성분과 품질특성, 효소활성과 생리기능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pH와 $^{\circ}Bx$는 점차 낮아졌으며, 점도는 감잎 추출물 발효액을 제외하고는 3개월 경과시 현저히 낮아졌다. 색도는 발효기간이 증가함에 다라 L값과 a값은 증가되고, b값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발효액 중의 amylase 효소활성은 발효 6개월이 경과하면서 발효 전에 비하여 $167{\sim}800%$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invertase는 발효 초기에는 활성이 거의 없었으나 1개월 경과시에 $60{\sim}170$ units의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ellulase는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총 페놀함량과 항산화활성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3{\sim}4$개월시 가장 높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쑥을 제외한 모든 발효액에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기간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다. SOD 유사활성은 아카시아와 감잎 발효액에서 각각 $23.1{\sim}25.1%,\;26.8{\sim}29.2%$의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기간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다. 관능적인 특성을 조사하였을 때 쑥은 발효 기간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고, 솔잎은 발효기간이 증가되면서 맛과 냄새의 강도가 높아졌으며, 전체적인 기호도가 발효 3개월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산야채 추출물의 발효기간은 $3{\sim}4$개월 정도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상용 식품의 엽산 분석에 관한 연구 -제 3 보- (The Measurement of Folacin Content in Korean Foods -Part 3. Folate Distribution in Various Foods-)

  • 김영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2권2호
    • /
    • pp.53-63
    • /
    • 1979
  • 한국인의 식생활을 이루고 있는 주요식품 226종에 포함된 엽산치를 Lactobacillus casei 미생들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제 1보 및 2보에서 측정된 채소류와 과실류 식품은 이 보고에서 제외되었다. 엽산치함량은 유리형 및 결합형으로 각종 식품 100g중에 포함된 ug으로 표시하였다. 각종 식품 및 각 식품군에 포함된 영산치 함량은 크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종 식품에 포참된 영산 형태에 따른 화학적 조성도 크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단 작성시 결합형의 엽산치 함량이 사용될 것이며, 저장가공 및 조리계의 파괴율을 고려해야 하겠다. 가장 풍부한 영산의 급원은 효모로 2,800.8ug 결합형으로 식품 100g중에 함유됨을 보였다. 밀린 대두, 시금치, 냉이, 소 및 돼지 같은 100ug이상 함유됨을 보였다. 그 외의 말린 두류 및 종실류, 꼭, 숙갓, 미나리, 부추, 아스파라가스, 계란노른자, 소 콩팥은 50ug 이상 함유됨을 보였다. 파, 상치, 무우, 고추, 발효된 중 식품, 밀, 고구마, 느타리 버섯은 40 ug정도 함유됨을 보였다. 그외 대부분의 정제된 곡류, 전분류, 당류, 과실류, 육류, 어패류, 유류는 비교적 적게 함유됨을 보였다. 유지류, 음로 및 주류 조미료는 거의 함유량이 없음을 보였다. 저장가공 및 조리된 식품에서의 엽산치 함량은 전반적으르 크게 손실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천연물질을 이용한 반추동물 항생제 대체용 친환경 펠렛코팅오일의 개발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 Friend Pellet Coating Oil for Replacement of Antibiotics for Ruminant Aninmal)

  • 최빛나;송완선;추병길;조상범;함영주;김남형;양경희;김영준;이홍구;최낙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73-39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ated feed using mixed oil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based on materials that were mixed. First, cashew nut and soybean oils were mixed with white mineral oil. And second, different plant extracts were mixed with white mineral oil. At first experiment, inclusion levels of mixed oil on diet (0.03%, 0.1%, 0.5%) were applied as variables. A coated diet was fermented with rumen inoculum according to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d its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In the result of first experiment, no negative effects on rumen pH were found. Significantly decreased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detected at 0.5% treatment (P<0.05). Total gas productions in control and 0.03%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others (P<0.05). Significantly reduced methane productions were found in all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Inclusion of mixed oil did not affect on ammonia production.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was also not influenced by coating with mixed oils.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were greatly changed according to introduced plant extracts at second experiment. The significantly lowest and greatest ammonia productions were found at treatments with Ixeris dentata and Plantago asiatica, respectively (P<0.05). The significantly greatest acetate and propionate productions were detected at treatments with Crucuma longa and Zizyphus vulgaris 1, respectively (P<0.05). All treatments, except Chrysanthemum idicum, Euyale ferox seed, Moringa leaf and fruit and Zizyphus vulgaris 1,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Only Paeonia lactiflora showed significantly lesser gas production than the control (P<0.05). In methane production, Ceramium, Zizyphus, Paeonia, Agrimonia, Torilis, Mugwort, Foeniculum, Euphorbia, Taraxacum, Artemisia, Momordica, Curcuma and Moringa reduced methan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