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ation broth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8초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Propionic Acid, Sorbic Acid, and Benzoic Acid against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in Animal Products to Use MIC as Threshold for Natural Preservative Production

  • Yeongeun Seo;Miseon Sung;Jeongeun Hwang;Yohan Y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319-330
    • /
    • 2023
  • Some preservatives are naturally contained in raw food materials, while in some cases may have been introduced in food by careless handling or ferment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intentionally added preservatives and the preservatives naturally produced in fo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propionic acid, sorbic acid, and benzoic acid for inhibiting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in animal products, which can be useful in determining if the preservatives are natural or not. The broth microdilution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MIC of preservatives for 57 microorganisms. Five bacteria that were the most sensitive to propionic acid, benzoic acid, and sorbic acid were inoculated in unprocessed and processed animal products. A hundred microliters of the preservatives were then spiked in samples. After storage, the cells were counted to determine the MIC of the preservatives. The MIC of the preservatives in animal products ranged from 100 to 1,500 ppm for propionic acid, from 100 to >1,500 ppm for benzoic acid, and from 100 to >1,200 ppm for sorbic acid. Thus, if the concentrations of preservatives are below the MIC, the preservatives may not be added intentionally. Therefore, the MIC result will be useful in determining if preservatives are added intentionally in food.

반응표면분석법을 활용한 Pantoea agglomerans SRCM 119864의 Indole-3-acetic acid 생산 배지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Indole-3-Acetic Acid Production Medium of Pantoea agglomerans SRCM 119864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호진;하광수;정수지;류명선;김진원;정도연;양희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872-88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Indole-3-acetic acid (IAA) 고생산 균주인 Pantoea agglomerans SRCM 119864의 IAA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을 활용하여 배지 조성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Plackett-Burman design (PBD)을 이용하여 전구체인 L-tryptophan 이외의 IAA 생산에 영향을 주는 배지 성분 11개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IAA 최적생산을 위한 배지 인자로 sucrose, tryptone, sodium chloride를 선정하였다. PBD에서 선정된 3가지 인자와 L-tryptophan의 농도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해 적은 실험수로도 최적값을 분석할 수 있는 hybrid design을 설계하였다. 실험 모형에서 예측한 P. agglomer- ans SRCM 119864 균주의 IAA 최적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과 농도는 sucrose 13.38 g/l, tryptone 18.34 g/l, sodium chloride 9.71 g/l, L-tryptophan 6.25 g/l로 분석되었으며, 이때의 IAA 생산량은 64.34 ±1.07 mg/l로 예측되었다. ANOVA 분석을 통하여 실험 모형의 통계학적 유의성과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설계한 최적 조성배지에서 모델 검증실험을 수행하여 IAA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 예측된 IAA 생산량과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으며, 최종 최적화 수행을 통해 IAA 생산량을 기본 배지 대비 44.56% 증가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토양에서 IAA를 고생산하는 균주를 선별하여 배지 조성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농업 및 작물 생산량 증대를 위한 산업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전통주 주박의 이용과 유용생리활성 (Application of the Lees of Domestic Traditional Wine and its Useful Biological Activity)

  • 김미선;신우창;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72-1079
    • /
    • 2015
  • 발효 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박은 발효 후 알코올성 발효액을 필터, 원심분리 또는 증류 후에 얻어지는 찌꺼기 및 1차 제조된 제품의 숙성과정 중에 생성되는 찌꺼기를 말한다. 국내 전통주 주박은 식용 원재료와 다양한 약용작물을 첨가하고 이를 누룩으로 발효시켜 제조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생리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탁주 위주의 전통주 시장 성장으로 주박 생산량은 빠르게 증가되고 있으며, 이의 폐기물 처리는 더욱 엄격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전통주 주박의 효율적인 재이용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총설에서는 전통주 주박의 산업동향, 연구동향 및 특허동향을 분석하고, 전통주 주박의 유용생리활성물질들을 제시하였다. 전통주 주박은 단순 발효폐기물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식량, 식품첨가물, 비료, 사료, 미생물 배양원, 기능성 식품소재, 향장 및 미용소재의 고부가가치 발효소재 공급원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향후 재처리 기술, 유용물질 회수기술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산학관 연계와 연구가 필요하다.

Saccharomyces cerevisiae의 Transformant와 Candida tropicalis간의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of Heterologous Transforman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Candida tropicalis)

  • Seu, Jung-Hwn;Jun, Do-Youn;Kim, Young-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
    • /
    • 1989
  • Transformant TSD-14의 starch 발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52$^{\circ}C$에서 60분간의 열처리로써 regeneration능을 제거한 TSD-14의 protoplast와 C, tropicalis RCT-40 (lys-)의 protoplast를 20 mM CaC1$_2$를 함유한 30% PEG를 fusogenlc agent로 하여 융합시키고 최소배지상에서 fusant를 선별한 결과 4.4$\times$$10^{-5}$ 빈도로 fusant를 얻었다. Fusant들의 탄소원 자화능을 조사한 결과 parental strains의 성질이 동시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cell volume은 Parental Strains에 비해 약 1.5배정도 크게 나타났다. 또한 fusant는 유전적으로 매우 안정하였으며, parent인 TSD-14와는 달리 $\alpha$-1, 6-glucosidic linkage를 가수분해할 수 있었다. Fusant중 가장 우수 한 FSC-14-75 균주는 15%의 liquefied potato starch로부터 8.7%(v/v)의 ethanol을 생성하였고 또한 이때의 fermentation broth에 0.3%의 peptone을 첨가한 경우, ethanol 생성은 9.3%(v/v) 수준으로 증가하여 총당에 대해 86.0%의 발효율을 나타냈으며 산업적 이용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제주토속 좁쌀약주의 약조특성 (Zym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eju folk wine made of foxtail millet)

  • 고정삼;양영택;고영환;강영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77-283
    • /
    • 1993
  • 제주토속 좁쌀약주의 제조를 위한 원료특성, 최적양조조건, 관능검사 등을 검토하였다. 양조원료인 차조의 당질은 71.27%였으며, 조지방은 3.47%로 다른 양조원료에 비하여 함량이 많았다. 가수량의 증감에 따라 약주 중의 에탄올 생성은 직선적인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주정농도를 13% 이상 유지하기 위해서는 원료에 대한 가수량을 250% 이내로 할 필요가 있었다. 발효기간 중에 당의 소모와 더불어 에탄올 생성은 발효개시 2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주발효기간은 4일이었다. 양조원료로 좁쌀만을 사용하는 경우는 주정농도가 $13.0{\sim}13.4%$였으나 쌀 또는 보리쌀을 10% 혼용하였을 때는 $14.0{\sim}14.3%$로 향상되었고, 관능평가에 있어서도 쌀과 혼용하는 경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좁쌀약주 중의 유기산은 lact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였고, 당은 xylose 및 소당류가 대부분이었다. 좁쌀약주 중에는 메탄올은 미량이었고 휴젤유가 적고 유기산이 많았다. 좁쌀약주의 최적양조조건은 차조에 10% 쌀을 혼용한 원료를 사용하여 충분한 침치와 증자를 시키고 가수량을 200%로 하며, $20^{\circ}C$에서 일주일간 주발효 후에 압착여과하여 숙성시키는 것이었다.

  • PDF

전통 누룩으로부터 분리된 Saccharomyces cerevisiae HA3을 이용한 하향주의 제조 및 특성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Hahyangju Prepar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HA3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 정희경;박치덕;박환희;이기동;이인선;홍주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59-667
    • /
    • 2006
  • 대구 무형문화재인 하향주 생산의 표준화를 위하여 전통 누룩으로부터 29균주의 효모를 분리하다. 이들을 대상으로 산 생성능을 측정한 결과, 분리된 효모들은 산 생성능이 비교적 양호 하였고 분리된 효모들을 50% glucose가 첨가된 YM broth에서도 생육이 우수하였다. 10% 에탄올 농도에서도 내성을 나타내는 HA2 HA3, HA4 균주를 대상으로 주정계를 이용하여 에탄올 생성능을 측정한 결과, 각각 10.8%, 10.45%, 10%로 단 시간에 고농도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분리된 효모 중 내당성, 산생성능, 에탄올 생성능, 에탄올 내성이 우수한 효모 HA3을 하향주 주조를 위한 산업적 이용 균주로 최종 선발하였고 ITS 영역 증폭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HA3은 Saccharomyces cerevisiae와 97% 상동성을 나타내어 Saccharomyces cerevisiae HA3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 HA3를 주모로 첨가하여 하향주를 제조하여 전통적 방법으로 제조되는 하향주 발효와 비교한 결과, 환원당의 함량, 아미노산함량 pH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주모 첨가는 밑술 발효시 효모의 생육이 빠르게 유도되어 상대적으로 젖산균의 증식이 억제시킴으로써 유기산 중 lactic acid의 함량 및 높은 산도를 낮출 수 있었으며, 22%로 높은 알콜 발효력을 보였다. 또한 주모를 첨가하여 제조한 하향주는 관능적 기호도 평가에서 전반적 기호도가 전통적 제조법으로 주조한 하향주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 웨이브로 처리한 산양삼 첨가가 전통 약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wave Treated-Wild Ginseng on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Yakju)

  • 이대형;강희윤;이용선;조창휘;김순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42-746
    • /
    • 2011
  • 산양삼을 이용한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전통 약주를 개발하기 위해 증자 멥쌀에 140%의 물을 혼합하고, 증자쌀 대비 3%의 개량누룩(Rhizopus sp.)과 1.5%의 건조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하여 2일간 $20^{\circ}C$에서 발효시켜서 밑술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밑술 대비 200%의 쌀을 첨가한 120%의 물을 혼합하고 정제효소를 0.08% 첨가 한 다음 발효 3일후 산양삼을 첨가하여 $20^{\circ}C$에서 발효시켰다. 산양삼 첨가량에 따른 에탄올 생성량을 조사한 결과 산양삼 1.2%를 첨가했을 때 18.5%의 에탄올이 생성되었고 산양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에탄올 생성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증자 발효와 무증자 발효방법에 따른 알코올 함량은 각각 18.0와 18.5%로 증자 발효와 무증자 발효간에 에탄올 생성능에 차이는 없었다. 산양삼 처리 방법에 따른 전통 약주중의 사포닌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한 산양삼을 첨가하여 제조한 산양삼약주의 경우 791 ppm의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었지만 생 산양삼을 첨가한 시료는 460.69 ppm, 증자한 산양삼 첨가의 경우에는 753.02 ppm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었다.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시간에 따른 산양삼 첨가 약주의 사포닌 함량을 측정할 결과 90초와 120초와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120초가 넘게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했을 경우 산양삼의 외부 조직이 탄화되어 관능적으로 향이 나빠졌으며 맛에서도 좋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산양삼 1.2%를 첨가했을 때 에탄올 생성량과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였고 산양삼을 마이크로웨이브로 90초 처리하여 첨가한 전통 약주가 가장 높은 사포닌 함량을 보였다.

김치로부터 GABA를 생산하는 커드 형성 젖산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oycurd-forming Lactic Acid Bacteria that Produce Gammaaminobutyric Acid (GABA) from Kimchi)

  • 김은아;맹소연;김수인;이가영;이병원;김동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6-53
    • /
    • 2014
  • 발효된 soycurd에서 가장 높은 GABA 함량을 나타낸 Lactobacillus sakei 383은 인공위액(pH 3.0)에서 3시간 경과 후에도 99%가 넘는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0.3% oxgall이 함유된 MRS 배지에서는 88%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Lactobacillus sakei 383은 6% NaCl 이하로 함유된 배지에서 생육저해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sakei 383은 저해환의 생성 유무를 통해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을 포함한 다양한 병원균에 대항하는 항균물질을 생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Lactobacillus sakei 383에 의해 발효된 soycurd의 발효 과정 중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생균수는 발효 36시간 후에 최대치($10^{11}CFU/ml$)를 나타낸 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Lactobacillus sakei 383에 의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soycurd의 산도는 증가하고 pH는 감소하였으며 12시간 이후에는 일정하였다. 수분, 조회분, 조단백, 조지방 및 조섬유의 함량은 각각 $94.88{\pm}0.02$, $0.22{\pm}0.05$, $2.38{\pm}0.07$, $1.16{\pm}0.15$$0.03{\pm}0.01%$을 나타내었으며 총당과 환원당의 함량은 비발효 두부 보다 Lactobacillus sakei 383에 의해 발효된 soycurd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10.45{\pm}1.04mg/100g$$36.86{\pm}2.59mg/100g$을 나타내었다.

Development of a new lactic acid bacterial inoculant for fresh rice straw silage

  • Kim, Jong Geun;Ham, Jun Sang;Li, Yu Wei;Park, Hyung Soo;Huh, Chul-Sung;Park, Byung-Chu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50-956
    • /
    • 2017
  • Objective: Effects of newly isolated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ferment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fresh rice straw silage was evaluated in this study. Methods: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good crop silage were screened by growing them in MRS broth and a minimal medium with low carbohydrate content. Selected LAB (LAB 1821) were Gram-positive, rods, catalase negative, and were identified to be Lactobacillus plantarum based on thei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 16S rRNA analysis. Fresh rice straw was ensiled with two isolated LAB (1821 and 1841), two commercial inoculants (HM/F and P1132) and no additive as a control. Results: After 2 months of storage at ambient temperature, rice straw silages treated with additives were well-preserved, the pH values and butyric and acetic acid contents were lower, and the lactic acid content and lactic/acetic acid ratio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p<0.05). Acidity (pH) was lowest, and lactic acid highest, in 1821-treated silage (p<0.05). The $NH_3-N$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inoculant-treated silage (p<0.05) and the $NH_3-N$ content in 1821-treated silage was lowest among the treatments. The dry matter (DM) content of the control silage was lower than that of fresh rice straw (p<0.05), while that of the 1841- and p1174-inoculant-treated silag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M/F-treated silage. Microbial additive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p>0.05) effect on acid detergent fiber or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s. Crude protein (CP) content and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increased after inoculation of LAB 1821 (p<0.05). Conclusion: LAB 1821 increased the CP, IVDMD, lactic acid content and ratio of lactic acid to acetic acid in rice straw silage and decreased the pH, acetic acid, $NH_3-N$, and butyric acid contents. Therefore, adding LAB 1821 improved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feed value of rice straw silage.

파뿌리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발효 및 품질특성 (Quality and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hot water extract of Welsh onion root)

  • 김민정;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87-393
    • /
    • 2017
  • 대파 뿌리 열수추출물을 아용하여 유산균의 성장특성과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을 조사 하였다. 파 뿌리 열수 추출물은 pH 5.63, 고형분 함량 10%, 환원당함량 1.12 mg/g, 총 폴리페놀 함량 135.09 mg/g, DPPH 라디칼 소거능 45.24%이었다. 추출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BHI배지(WR50, WR100)에서 유산균의 성장은 배양 24시간 이후 대조구에 비해 WR100에서 약 1 log cycle 성장이 촉진되었다. 파 뿌리 열수 추출물 원액(WY100), 증류수로 2배 희석한 추출액(WY50) 그리고 증류수(control)에 각각 12% 환원탈지유를 용해시켜 제조한 요구르트의 발효 중 pH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낮아졌으며, 산도 변화 역시 pH 변화와 유사하였다. 점도는 대조구를 제외하고 발효 8시간 이후로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기간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효 기간 중 유산균수의 변화는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으며 발효 24시간 발효 후 각 처리구별 생균수는 8.03(control), 8.77(WY50), 8.84(WY100) log CFU/mL 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종합적 기호도는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각각 3.00(control), 3.50(WY50), 3.17와(WY100)으로 50% 파 뿌리 열수 추출물로 제조한 요구르트의 기호성이 가장 양호 하였다. 추출물로 제조한 요구르트를 $4^{\circ}C$에서 10일간 냉장 저장 동안 대조구와 첨가구 모두 pH는 낮아지고 유산균수는 감소하였으나 첨가구의 경우 $10^8CFU/mL$을 유지하였다. 파 뿌리 열수추출물은 요구르트의 발효 및 기능성 개선을 위해 부재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