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nton′s oxidatio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8초

항산화 활성과 Melanoma 세포에서 멜라닌조절에 대한 Oenanthe javanica 에탄올 추출액의 효과 (Effect of Oenanthe javanica Ethanolic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Melanoma Cells)

  • 권은정;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28-143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melanocyte (B16F1)에서 quercetin과 kaempferol을 포함하는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OJE)의 멜라닌 합성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OJE가 세포수준에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농도의 OJE 존재 하에서 B16F1세포를 배양하였다. 현재 연구에서 DPPH radical scavenging, reducing power, lipid peroxidation 및 DNA oxidation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는 cell free system에서 평가되었다. 더욱이 멜라닌 생성에 대한 OJE 효과는 dopaquinone (DOPA) assay 및 tyrosinase 활성으로 결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superoxide dismutase (SOD)-1, -2, glutathione reductase (GSH)와 같은 항산화 효소 및 tyrosinase의 단백질발현이 western blot 분석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OJE는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fenton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hydroxyl radical에 의하여 유발되는 DNA 산화를 보호하였다. OJE는 50 ${\mu}g/ml$ 이상에서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켰고 tyrosinase 활성도 50 ${\mu}g/ml$에서 검출되었다. Western blot 분석에서는 OJE가 농도에 비례하여 tyrosinase SOD-1, -2 및 GSH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발견들은 항산화 효과를 가진 OJE가 melanocyte에서 tyrosinase 활성과 melanin 생성을 조절할 수 있어 피부를 산화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가감형방지황탕 열수 추출물이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Property of the Gagam-Hyungbang-Gihwang-tang Using Biochemical Markers of Carcinogenesis)

  • 한진수;박성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4-214
    • /
    • 2005
  • Objectives : The verity extract of the Gagam-Hyungbang-Gihwang-tang (GHG) was assessed to determine the mechanisms of its antioxidant activity. Methods : The fellowing effects were measured : GHG exhibited a concentration-treatment; scavenging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radical, linoleic acid oxidation in a thiocyanate assay system, and superoxide anion, hydroxyl radical-induced DNA nicking. We investigated mRNA levels such as superoxide-dismutase. Results : The GHG extract showed dose-depend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luding DPPH radicals, hydroxyl radicals, and superoxide anion, using different systems. The GHG was also found to be effective in protecting plasmid DNA against the strand breakage induced by hydroxyl radicals in Fenton's reaction mixture. Furthermore, SOD-1 mRNA expression levels increased in tat hepatoma H4IIE cells Conclusions : We expect that GHG will to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antioxidant activity treatments.

  • PDF

포도근 열수 추출액 및 약침액이 항산화에 미치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the Root of Vitis labrusca Water and Aqua-acupuncture Solution)

  • 임성철;문진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6-82
    • /
    • 2006
  •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s of water (VLWS) and aqua-acupuncture solution (VLAS) from root of Vitis labrusca. VLWS and VLAS was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mechanisms of its antioxidant activities. The VLWS and VLAS exhibitde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DPPH free radicals. This VLWS-mediated antioxidant activity was similar to that L-ascorbic acid (vitamin C). In addition, the VLWS and VLAS showed dose-depend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luding superoxide anions and hydroxyl radicals, using different assay systems. The VLWS and VLAS were also found to be strongly inhibited linoleic acid oxidation in a ferric thiocyanate assay (FTC) system. Finally, the VLWS and VLAS significantly prevented Fenton's reagent-induced DNA nicking.

해양에서 분리한 Streptomyces sp. BH-405 배양액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Cultivation of Streptomyces sp. BH-405 Isolated from Marine Origin)

  • 류병호;이영숙;양승택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50-155
    • /
    • 2000
  • 본 연구는 Streptomyces sp. BH-405의 배양액으로부터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지질과 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실험하였다. Streptomyces sp. BH-405의 배양액을 ethylether로 추출한 후 silica gel column(100$\times$10 cm) chromatography로 분획한 획분을 POV로 측정한 결과 fraction 3에서 향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fraction 3 획분을 다시 preparative TLC와 column chromatography로 더욱 정제하여 band 2를 얻었다. Band 2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항산화제와 비교한 결과 이-$\alpha$-tocopherol, BHA보다 산화억제 효과가 높았으며 DPPH에 의한 수소 공여능은 실험결과가 우수하였다. 한편 band 2는 쥐 간의 microsome에 있어서 유리기의 소거기능이 있었고 NADPH 및 Fenton 시액에 위한 효소적 과산화 지질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그리고 mitochondria와 리놀산의 과산화 유도계에서도 지질의 과산화 과정에 생성하는 유리기의 형성을 차단하였다. 결론적으로 Streptomyces sp. BH-405의 배양액에서 얻은 획분인 band 2는 산화를 억제하는 활성이 있었다.

  • PDF

펜톤 반응을 이용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 폐액의 고농도 Fe(III)-EDTA 분해 (Fenton Degradation of Highly Concentrated Fe(III)-EDTA in the Liquid Waste Produced by Chemical Cleaning of Nuclear Power Plant Steam Generators)

  • 조진오;목영선;김석태;정우태;강덕원;이병호;김진길
    • 공업화학
    • /
    • 제17권5호
    • /
    • pp.552-55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70000 mg/L 가량의 고농도 철(III)-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Fe(III)-EDTA)을 함유하고 있는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 세정 폐액의 처리를 위해 펜톤 반응을 사용하였다. Fe(III)-EDTA 분해실험은 모사 폐액 뿐 아니라 실제 폐액을 가지고도 수행되었다. 폐액에 주입된 과산화수소의 양과 폐액의 pH가 Fe(III)-EDTA 분해에 미치는 영향이 정량적으로 평가되었고,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되었다. 분해효율이 최대가 되는 최적의 pH는 폐액에 주입된 과산화수소의 양에 의존하였다. 즉, 폐액에 주입된 과산화수소의 양이 다를 때 최대 분해효율이 얻어지는 pH가 달랐다. Fe(III)-EDTA의 분해를 위한 적정 조건은 폐액의 초기 pH가 9이고 과산화수소 주입량이 24.7 mol ($H_{2}O_{2}$)/mol (Fe(III)-EDTA)일 때였다.

DNA Cleavage Induced by the Reaction of Salsolinol with Cu,Zn-Superoxide Dismutase

  • Kang, Jung-H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2호
    • /
    • pp.2329-2332
    • /
    • 2007
  • Salsolinol, endogenous neurotoxin, is known to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Parkinson's disease (PD).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oxidative damage of DNA induced by the reaction of salsolinol with Cu,Zn-SOD. When plasmid DNA incubated with salsolinol and Cu,Zn-SOD, DNA cleavage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s of salsolinol and Cu,Zn-SOD. The salsolinol/Cu,Zn-SOD system-mediated DNA cleavage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radical scavengers such as mannitol, ethanol and thiourea.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ree radicals might participate in DNA cleavage by the salsolinol/Cu,Zn-SOD system. Spectrophotometric study using a thiobarbituric acid showed that hydroxyl radical formation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salsolinol and was inhibited by radical scavenger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hydroxyl radical generated in the reaction of salsolinol with Cu,Zn-SOD was implicated in the DNA cleavage. Catalase and copper chelators inhibited DNA cleavage and the production of hydroxyl radic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NA cleavage is mediated in the reaction of salsolinol with Cu,Zn-SOD via the generation of hydroxyl radical by a combination of the oxidation reaction of salsolinol and Fenton-like reaction of free copper ions released from oxidatively damaged SOD.

펜톤유사반응에 의한 매립지 침출수의 CODcr 제거 특성 연구

  • 정동철;이철효;장윤영;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3-10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펜톤산화반응에서 과산화수소의 분해촉매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Fe(II) 형태의 철염대신 Fe$^{\circ}$형태의 분말 철을 이용한 펜톤유사반응(Fenton-like oxidation)에 의한 매립지 침출수(sCODcr 1,100 mg/L, pH 8)의 CODcr 제거특성에 관한 회분식 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조건으로는 상온, 상압조건에서 Jar tester를 사용하여 분말 철의 주입 량과 산 세척도, 초기 반응 pH, 과산화수소의 주입 량을 변화시켜가며 침출수의 CODcr 제거효율 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이때 과산화수소의 분해 특성과 반응 중 pH의 변화도 함께 분석하였다. 반응은 모든 조건에서 대부분 약 30분 이내에 종료되었으며 그 이후의 반응변화는 미미하였다. 산 세척에 의한 분말 철 표면의 개질로 반응성의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분말 철 주입 량을 증가함에 따라 반응속도가 일정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서 CODcr의 제거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보여준 실험변수는 pH 였으며, 원수의 pH(8)를 2-4까지 조절하여 반응을 시켰을 때 최대 75%의 CODcr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반응중 pH는 모든 조건에서 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약 pH 9에서 더 이상 변화하지 않았다. 용액내 과산화수소의 잔류농도의 곡선은 반응 중 CODcr의 곡선과 유사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α-Asarone이 항산화 활성 및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조절에 미치는 영향 (α-Asarone Modulates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y)

  • 박혜정;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00-1006
    • /
    • 2015
  • α-Asarone은 동양의 전통적인 약재로 잘 알려진 석창포(Acorus gramineus)의 주된 성분이다. 석창포는 항위궤양, 항알러지, 히스타민 방출 억제 그리고 항산화 효과와 같이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석창포 역할에 대한 기전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HT1080 세포주에서 α-asarone의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matrix metalloproteinase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가장 먼저 α-asarone의 세포 생존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하여 16 μM이하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나타내었다. α-asarone이 환원력과 fenton reaction에 의해 유도된 DNA 산화로부터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α- asarone은 collagenase 활성을 증가시키고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로 자극된 MMP-2 및 MMP-9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한편 phenazine methosulfate (PMS) 로 자극된 경우 MMP-9의 활성은 α-asarone의 존재하에서 증가되었으나 MMP-2 활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므로 우리의 연구결과는 α-asarone이 산화적 스트레스 및 MMPs와 관련된 병리학적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이 기대된다고 제안한다.

황련청심음(黃連淸心飮)의 항산화 및 AChE 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Property and Inhibitory Effects of an Water Extract of Hwang-Ryun-Chung-Sim-Um on the Acetylcholinesterase)

  • 유종호;이상택;한윤승;김근우;구병수;김헌일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6
    • /
    • 2006
  • Objective: An water extract of the Hwang-Ryun-Chung-Sim-Um (HRC) was assessed to determine the mechanisms of its antioxidant activity. In addition, the HRC was examined in vitro for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acetylcholinesterse (AChE). Methods: The HRC exhibited a concentration-treatment; scavenging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radical, linoleic acid oxidation in a thiocyanate assay system, hydroxyl radical-induced DNA nicking. We investigated mRNA levels such as catalase activity, superoxide-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The water extract of HRC showed inhibitory effect on AChE activity. Result: The HRC extract showed dose-depend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luding DPPH radicals and hydroxyl radicals, using different system. The HRC was also found to be effective in protecting plasmid DNA against the strand breakage induced by Hydroxyl radicals in Fenton's reaction mixture. Futhermore, catalase mRNA expression levels increased, but SOD1 and MnSOD was not expressed. HRC in a various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d AChE mRNA levels and inhibitory effect showed ACh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supposed that HRC is applicable to the Dementia-type of Alzheimer clinically.

  • PDF

정수처리공정에서 조류유래 유기물질의 제거 (Removal of Algogenic Organic Matter in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 박세진;차일권;윤태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7-384
    • /
    • 2005
  • 조류는 호소의 부영양화 현상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전반적인 정수처리공정에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조류 세포와 조류유래 유기물질(Algogenic Organic Matter; AOM)은 휴믹물질처럼 염소 소독 시 유해성 물질인 소독부산물질(Disinfection By-Products; DBPs)을 형성하는 전구물질이다. 본 연구는 전 염소처리와 응집공정에 의한 조류유래 유기물질의 제거특성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부영양화된 호소수 처리 공정으로 철(III)을 이용한 고도응집공정과 UV산화 공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전 염소처리공정은 조류제거에는 효과적이지만 수중의 DOC(Dissoluble Organic Carbon)농도와 TMHs(Trihalomethanes) 생성량을 증가시켰다. 응집실험에서는 응집 반응 pH가 조류유래 유기물질과 소독부산물질 제거에 있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으며, 중성 pH에서 보다 낮은 반응 pH 5에서 DOC, THMs 제거율이 각각 50%와 28% 향상되었다 조류유래 유기물질과 THMs제거에 있어 UV 산화 공정을 적용한 결과, $UV/H_2O_2/Fe^{3+}$ 공정이 가장 효과적이었지만, 반응 pH를 조정한 고도응집공정보다는 효과적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