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eedstuff

Search Result 12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한 발효사료의 급여가 한우 비거세우의 육성성적 및 도체 등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Feedstuff Added Saccharomyces cerevisiae on Fattening Performance and Carcass Grade in Hanwoo Bulls)

  • 박병기;홍병주;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409-420
    • /
    • 2003
  • 본 연구는 발효사료(Fermented feedstuff added Saccharomyces cerevisiae; FFSC)의 급여가 한우 육성 비육우의 육성성적과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평균체중이 230$\pm$24kg인 한우 비거세우 26두를 공시하여 발효사료를 급여하는 처리구(FFSC)와 발효사료를 급여하지 않는 대조구(Control)로 나누어 14개월간 실시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육성기,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동안 일당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동안 사료효율은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시험기간동안 처리구 및 대조구의 일당 증체량은 각각 1.06 및 0.98kg으로 나타나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19%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P< 0.05). 전 시험기간 동안의 사료섭취량은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사료효율 역시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7% 정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체중, 도체율,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및 육량지수를 포함한 육량형질의 경우 처리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내지방도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처리구 및 대조구의 ‘A’ 등급 출현율은 각각 44.4 및 25.0%로 나타났다. 육질 ‘1’ 등급은 처리구에서만 출현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우 비거세우에 대한 발효사료의 처리는 육성기,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동안에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도체형질 중에서 배최장근단면적과 근내지방도를 개선시켜 최종적으로 비육우의 육량 및 육질 등급을 향상시켜 한우 비육우의 경제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지박 및 맥주박을 이용한 알코올 발효사료의 반추위내 발효특성 및 건물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lcohol Fermented Feedstuff Made of Byproducts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Disappearance in the Rumen)

  • 신종서;임광철;김병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9-60
    • /
    • 2008
  • 본 실험은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가 반추위내 발효특성 및 건물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한우에 비지박 알코올 발효사료(AFS)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AFB)를 급여한 후 시간별(0, 2, 4, 6, 8 및 12시간) 반추위내에서 알코올 함량, pH 변화, ammonia 함량, 휘발성지방산 함량 및 건물 분해율을 조사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대조구와 비지박(DM 20%)과 시판중인 배합사료(DM 87%)를 각각 50:50의 비율로 혼합하고 당밀 5%, yeast 0.5%를 첨가한 후 30C에서 24시간 혐기적으로 배양한 AFS구 및 맥주박(DM 25%), 비지박(DM 20%), 옥분 및 시판중인 배합사료를 각각 25:25:25:25의 비율로 혼합하고 당밀 5%, yeast 0.5을 첨가한 후 제조한 AFB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반추위내 ammonia 농도는 배양 2시간에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나 배양 6시간에는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급여구들이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반추위내 pH는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으며(p<0.05), 배양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대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구들의 반추위내 알코올 농도는 반추위내 배양 4시간에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p<0.05), 배양 6시간에는 대조구와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구간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반추위내 총휘발성지방산 함량은 반추위내 배양초기(2시간)에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처리구와 대조구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p<0.05).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구의 가용성건물 함량은(S)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p<0.05), 반추위내 분해성 부분은(D)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때 산업부산물인 비지박과 맥주박을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사료를 제조하면 가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료자원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료 대용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알코올 발효사료가 In vitro 반추위내 발효특성 및 NDF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lcohol Fermented Feedstuff Made of Byproducts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NDF Disappearance in the Rumen)

  • 김병완;임광철;박병기;김종덕;신종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3-334
    • /
    • 2007
  • 본 실험은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에 따른 in vitro 발효 pattern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반추위내 ammonia, pH, alcohol 및 volatile fatty acids 농도와 NDF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비지박 알코올 발효사료(AFS)는 비지박(DM 20%)과 시판중인 배합사료(DM 87%)를 각각 50:50의 비율로 혼합하고 당밀 5%, yeast 0.5%를 첨가한 후 $30^{\circ}C$에서 24시간 혐기적으로 배양하여 제조하였으며,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AFB)는 맥주박(DM 25%), 비지박(DM 20%), 옥분 및 시판중인 배합사료를 각각 25:25:25:25의 비율로 혼합하고 당밀 5%, yeast 0.5%를 첨가한 후 제조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대조구(control),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AFS구 및 AFB구)를 첨가하는 처리구를 각각 AFS 및 AFB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배양 0, 2, 4, 6, 8 및 12시간별로 배양액을 채취하여 배양액의 alcohol 농도, ammonia 농도, pH, VFA 농도 및 NDF 분해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양액의 ammonia 농도는 배양 2시간에 대조구 11.84 mg/dl 보다 AFS구 및 AFB구에서 각각 12.47 및 12.85 mg/dl로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배양 6시간까지의 pH는 대조구보다 AFS 및 AFB구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배양시간이 경과하면서 AFS 및 AFB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배양액의 알코올 농도는 AFS 및 AFB구에서 배양 12시간에 대조구보다 각각 43.9 및 48.0%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Acetate 농도는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는 빠른 속도로 감소하였으며 AFS 및 AFB구들은 다소 감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Propionate 및 Butyrate 농도는 배양 전기간동안 대조구보다 AFS 및 AFB구에서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배양 4시간까지 NDF의 분해율은 대조구에 비해 AFS 및 AFB구가 높았으나, 배양 4시간 이후부터 대조구에 비해 AFS 및 AFB구가 낮은 결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알코올 발효사료는 반추위 내에서 반추미생물의 발효 pattern을 조절하여 주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spergillus Oryzae 및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하여 제조한 맥주박 위주 발효사료의 발효 특성 및 영양학적 특성 (Fermentable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Brewery Meal-Based Fermented Feedstuffs Supple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신종서;박병기;김병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7-306
    • /
    • 2005
  • 본 연구는 Aspergillus Oryzae (AO)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SC)를 첨가하여 제조한 맥주박 위주 발효사료의 발효특성 및 영양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시험사료에 AO $1\%$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사료 처리구(FFAO), SC $1\%$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사료 처리구(FFSC) 및 AO $0.5\%$와 SC $0.5\%$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사료 처리구(FFAS)로 나누었다. 48시간 발효에 따른 조단백질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조지방 함량은 48시간 발효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FFAD, FFSC 및 FFAS구의 NDF 함량은 48시간 발효로 인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ADF 및 ADL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FFAO 및 FFAS구의 pH는 FFSC구에 비해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속히 감소하였으나(p<0.05), 24시간 이후에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Alcohol 함량은 FFAO구에서는 발효 15시간까지 증가하였고 FFSC 및 FFAS구에서는 발효 12시간까지 증가하였으며, FFAO, FFSC 및 FFAS구의 alcohol 함량은 발효 24시간 이후에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FFAO, FFSC 및 FFAS구의 발효 48시간에 암모니아 함량은 각각 0.022, 0.073 및 $0.040\%$로 나타나 FFSC구가 FFAO 및 FFAS구에 비해 암모니아 함량이 2배 이상 높았다(p<0.05). Dextrose 함량은 FFAO구에서는 발효 6시간까지 증가하였으나 FFSC 및 FFAS구에서는 발효 6시간까지 급속히 감소하였다(p<0.05). Lactate 함량은 FFAO 및 FFfS구가 FFSC구에 비해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수분 함량이 높은 맥주박을 이용하여 발효사료 제조시 AO를 첨가하게 되면 조지방, alcohol 및 lactate 함량은 증가하지만, NDF 및 암모니아 함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O의 첨가는 수분 함량이 높은 발효사료의 사료가치 및 보존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발효사료에 대한 보호처리한 Vitamin C+E 및 면실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특성과 거세한우의 육성성적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ing Coated Vitamin C+E with Cottonseed on Rumen Fermentation and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Metabolites in Hanwoo Steers Fed Fermented Feedstuff)

  • 박병기;홍병주;김창혁;라창식;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61-870
    • /
    • 2006
  • 본 연구는 발효사료에 대한 보호처리한 vitamin C+E 및 면실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특성과 거세한우의 증체, 혈중 대사물질 및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발효사료를 급여하는 T1구와 보호처리한 vitamin C+E 및 면실 첨가 발효사료를 급여하는 T2구의 2처리로 하였다. 사료급여 후 3시간의 반추위 pH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낮았으나(p<0.05), 6 및 9시간에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다(p<0.05). 사료급여 후 12시간 동안 반추위 ammonia 농도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다(p<0.05). 사료급여 후 3시간의 acetate, propionate, butyrate 및 total-VFA 농도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으나(p<0.05), 9 및 12시간에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낮았다(p<0.05). 일당증체량과 혈중 대사물질 및 호르몬의 농도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발효사료에 대한 보호처리한 vitamin C+E 및 면실의 첨가는 반추위 pH, ammonia 및 휘발성지방산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거세한우의 증체와 혈중 대사물질 및 호르몬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료 부원료 하역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의 여과특성 평가 (An Assessment of the 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Dust Emitting from Animal Feedstuff Handling)

  • 방진철;전기준;정용원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5-96
    • /
    • 2001
  • 인천항은 한국의 주항의 하나로 원자재 수입화물을 취급하는 항만이다. 수입된 원자재 중에서 대두박등의 사료 부원료의 취급 시 강한 바람, 차량의 이동, 저장시설에서의 상하차 등에 의하여 다량의 비산먼지가 발생하여 인천항의 주된 비산먼지 오염원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Jeon et al., 2000). 일반적으로 사료 부원료의 취급에 의하여 발생하는 비산먼지의 제진을 위하여, 사료 부원료 취급시설에 bag filter에 의한 제진시설이 사용되고 있다. (중략)

  • PDF

Apparent or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of Diets Containing Different Protein Feedstuffs Fed at Two Crude Protein Levels for Growing Pigs

  • Adebiyi, A.O.;Ragland, D.;Adeola, O.;Olukosi, O.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9호
    • /
    • pp.1327-1334
    • /
    • 2015
  • The current study determined the apparent or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AID or SID of AA) in growing pigs fed diets containing three protein feedstuffs with different fiber characteristics at two dietary crude protein (CP) levels. Twenty boars ($Yorkshire{\times}Landrace$)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35({\pm}2.6)kg$ were fitted with a simple T-cannula at the distal ileum. These pigs were offered six diets containing soybean meal (SBM), canola meal (CM) or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corn-DDGS) that were either adequate (19%) or marginal (15%) in CP using a triplicated $6{\times}2$ Youden Square Design. Except for Met, Trp, Cys, and Pro, AID of AA was greater (p<0.05) in the SBM diet compared with the CM diet.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for Gly and Asp was greater (p<0.05) in the SBM diet compared with the corn-DDGS diet. The AID of Ile, Leu, Phe, Val, Ala, Tyr, and Asp was greater (p<0.05) in the corn-DDGS diet compared with the CM diet.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of AA was greater (p<0.05) in the SBM diet compared with the CM diet for all AA except Trp and Pro. The SID of Ile, Leu, Val, Ala, Tyr, and Asp was greater (p<0.05) in the corn-DDGS diet compared with the CM diet. It was concluded that protein feedstuff affects ileal AA digestibility and is closely related to dietary fiber characteristics, and a 4-percentage unit reduction in dietary CP had no effect on ileal AA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Effects of Aspergillus oryzae Fermentation Extract on In Situ Degradation of Feedstuffs

  • Chiou, P.W.S.;Chen, C.;Yu, 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8호
    • /
    • pp.1076-1083
    • /
    • 200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spergillus oryzae fermentation extract (AFE) on in situ degradation of the various concentrates, forages and by-products in Taiwan. The in situ trial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FE on the rate of ruminal degradation of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of the various local available feedstuff commonly used for dairy cattle. Two ruminal fistulated cows were arranged into a two by two switchback trial. Two dietary treatments were control without AFE inclusion diet and diet with 3 g of AFE (Amaferm) added daily into the total mixed ration (TMR). Results showed that effect of AFE inclusion on the ruminal degradability of concentrates vary; soybean meal is the most responsive feedstuff, corn is the next, whereas full-fat soybean did not response the AFE inclusion at all. The inclusion of AFE significantly depressed most of the nutrient degradation of the concentrates of soybean meal in the first 12-hour in situ incubation. The effect declined in the next 12 hours. Rapeseed meal showed a different trend of response: addition of AFE improved its NDF degradation. The inclusions of AFE significantly improved ADF degradation of roughage after 24 or 48 hours of incubation. However, corn silage and peanut-vines showed a different trend. Effects of AFE inclusion on the by-products degradability were inconsistent. Most of nutrients in rice distillers grain and some in beancurd pomace did show increased degradation by the AFE inclusion.

양돈 사료에 있어 대두의 이용 (Utilization of Soybean for Swine Diets)

  • 유종상;김인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56-166
    • /
    • 2007
  • 대두박은 가축사료에 사용되는 식물성 단백질원이다. 대두박은 대두에서 기름을 추출한 부산물로서 높은 단백질 함량과 낮은 섬유질 함량을 가지고 있어 양돈 사료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두는 여러 종류의 항영양인자를 가지고 있어 소화율과 성장능력을 감소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열처리하는 방법, HP 100, HP 200 및 HP 300과 같이 미생물을 이용한 방법, 수용성 비단백질 구성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정제대두단백과 비단백태화합물 제거 등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대두를 적당히 열처리를 하면 대부분의 항영양인자가 파괴되어 성돈에서 피해가 없지만 어린돼지에서는 영양소 소화율을 감소시킨다. 그래서 자돈에서는 유제품과 유사한 사양능력을 가지는 농축대두단백이나 정제대두단백 같은 가공대두제품을 이용하여 급여해야 한다.

  • PDF

양돈장 사료의 곰팡이독소 오염률 조사 (Prevalence of mycotoxin contamination in pig feedstuffs)

  • 신현숙;김근호;서진성;손영민;박지용;윤순식;정병열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15-320
    • /
    • 2021
  • To analyze prevalence of mycotoxins, a total of 74 feedstuff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ilos (n=37) and hoppers (n=37) in nine pig farms. Six mycotoxins were tested with commercialized ELISA kits. All samples were contaminated with four or more mycotoxins. Zearalenone was detected in all of the tested samples. Ochratoxin, deoxynivalenol and H-2/HT-2 toxin were detected in more than 90% of the samples. And also, fumonisin was positive in 89.2% of the samples from the silos, 75.2% from the hopper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aflatoxin was detected in about 40% of the samples. When the behavior of lactating sows was observed, possible mycotoxicosis was suspected. It was confirmed that their feedstuffs were contaminated with high levels of mycotoxins such as ochratoxin and T-2/HT-2 toxin. After cleaning the feedline, the clinical symptoms in sows suspected with mycotoxicosis were disappeared. Although mycotoxin concentration in most of the feedstuffs was below the acceptance level, these data indicate that what are required is more monitoring and continuous management for mycotoxins in pig feedstuff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