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 management

검색결과 545건 처리시간 0.032초

기와층버섯 추출물의 항비만활성, 항암활성 및 단회경구독성시험 (Anti-Obesity Activity, Anti-Cancer Activity and Single Oral Dose Toxicity of Inonotus xeranticus Extracts)

  • 강은희;이인경;황미현;최재영;창즐치앙;이만휘;윤봉식;강성철;김길수;박승춘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53-261
    • /
    • 200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 vitro anti-obesity, anti-cancer activity and single oral dose toxicity of Inonotus xeranticus extracted by methanol (INXM) or ethyl acetate (INXE). In order to investigate anti-obestity effect of Inonotus xeranticus extracts, the 3T3-L1 cells were treated with these extracts at various concentrations(1, 10, 100 and $300{\mu}g/ml$). It was observed that 3T3-L1 cells treated with $100{\mu}g/ml$ of Inonotus obliquus ethyl acetate extract (INOE), INXM and INXE, in the absence of differentiation cocktail (0.5mM isobutylmethylxanthine (IBMX) $1{\mu}M$ dexamethasone, $1{\mu}M$ insulin), differentiated at a rate of 78.5, 80.9, and 76.4% respectively. Differentiation rates of 86.6% and 83.4% were observed in 3T3-L1 cells which were treated with differentiation cocktail at $100{\mu}g/ml$ of INXM and INXE, respectively. The anti-cancer effect of Inonotus xeranticus extracts was investigated using a method of sulforhodamine B in sarcoma 180 cell line. The cells were treated with these extracts (1, 10, 100 and $300{\mu}g/ml$) for 48 hours. The growth of cells which were treated with $300{\mu}g/ml$ of INXM was inhibited by 80.1%. The growth of sarcoma 180 cells which were treated with 100 and $300{\mu}g/ml$ of INXE was inhibited by 74.7% and 64.5%, respectively. In single oral dose toxicity study,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in clinical signs, body weight gains, and feed and water consump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onotus xeranticus extracts did not show any toxic effects at 2,000mg/kg in mice, and the $LD_{50}$ of these extract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2,000 mg/kg in this experiment. From the above results, Inonotus xeranticus methanol and ethyl acetate extracts might have useful clinical applications in the management of cancer and obesity and may also be useful as a medicinal food.

한우에서 신체충실지수(BCS)가 다배란 처리 시 체내 수정란 생산과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dy Condition Score (BCS) on In Vivo Embryo Production and Pregnancy Rate Following Superovulation in Hanwoo)

  • 염규태;박해금;김남태;김성우;김현;도윤정;김영신;박수봉;김재환;조상래;조재현;고응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2
    • /
    • 2013
  • Body condition score (BCS) is a useful management tool for distinguishing differences in nutritional needs of cows in the herd. Although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quantify the nutrient content of the feed supplied to the donor cow, the nutritional status can be determined by the BC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n vivo embryo production, return to estrous of donor and pregnancy rate of recipients following BCS in Hanwoo superovulation. Sixty nine Hanwoo donor cows were flushed on day 7 of estrus cycle with same FSH and artificial insemination by the same technicians. Embryos were recovered on 7 days after the third insemination by flushing the uterus with Embryo Collection Mediu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efficiency of superovulation rates regardless of BCS ($${\leq_-}2.0$$, 2.5 to 3.0, and $${\geq_-}3.5$$). The mean number of total embryos was each $5.20{\pm}0.86$, $11.56{\pm}1.04$, and $6.23{\pm}1.07$. The mean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 from $${\leq_-}2.0$$, 2.5 to 3.0, and $${\geq_-}3.5$$ of BCS was $2.60{\pm}0.87$, $7.94{\pm}0.89$, and $4.75{\pm}1.32$, respectively (p<0.05). Return to estrous regardless of donor BCS was no difference. The pregnancy rates of recipient were BCS $${\leq_-}2.0$$ 11.76%, 2.5 to 3.0 40.79%, and $${\geq_-}3.5$$ 11.11%, following transfer of fresh embryos produced in vivo,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f the Hanwoo with BCS 2.5 to 3.3 are used for donor and recipient, the embryo production and the conception rate will be greater.

농가맞춤형 기상서비스 시범사업 (User-specific Agrometeorological Service to Local Farming Community: A Case Study)

  • 윤진일;김수옥;김진희;김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0-331
    • /
    • 2013
  • 재단법인 국가농림기상센터는 지난 3년간 기상청의 재정지원으로 기후스마트농업의 전제조건인 개별농장 수준의 기상위험 관리서비스를 설계하였다. 이 서비스는 기존 기상청 관측 및 예보시스템 외에 추가적인 자원소모 없이 해당 농지에 주어진 기상조건을 재배중인 작물의 종류와 그 발육단계에 맞게 '기상위험지수'로 정량화하고, 이를 평년기준과 비교하여 재해발생 가능성을 농민에게 일대일로 전달한다. 서비스 실용화에 필요한 기상실황 및 예보의 경관규모 추정기술, 시범 집수역 내 필지별 경과기상 및 예보에 근거한 작목 맞춤형 기상위험 산정기술을 개발하고, 이들 기술의 통합 및 시스템화를 완료하였다. 단일 집수역인 경남 하동군 악양면을 선정하여 이 시스템을 설치하고 230농가 400필지를 대상으로 시범서비스를 구현하였다. 이 과정에서 얻어진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향후 농업부문의 기상이변 대응 조기경보서비스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어병 세균에 대한 소나무과 잎 정유의 항세균 효과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Pinaceae Leaves Against Fish Pathogens)

  • HAM, Youngseok;YANG, Jiyoon;CHOI, Won-Sil;AHN, Byoung-Jun;PARK, Mi-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527-547
    • /
    • 2020
  • 어병 세균은 어류 양식업의 경제적 피해 뿐만 아니라, 인수공통감염원으로 알려진 전염성 병원균이다. 어병 세균을 제어하기 위해 지속적인 항생제의 사용은 부작용이 수반되기 때문에, 천연 유래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항생제대체제 개발을 위해 항세균효과가 우수한 침엽수 정유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소나무과에 속하는 전나무 (Abies holophylla), 곰솔 (Pinus thunbergii), 섬잣나무 (Pinus parviflora), 솔송 (Tsuga sieboldii), 리기테다소나무 (Pinus rigitaeda)의 잎에서 hydro-distillation법을 이용하여 정유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정유는 어병 세균인 Edwardsiella tarda, Photobacterium damselae, Streptococcus parauberis, Lactococcus garivieae에 대하여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나무와 곰솔 잎 정유가 그람 음성 세균인 E. tarda와 P. damselae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GC-MS 분석 결과, 전나무 잎 정유의 주요 성분은 (-)-bornyl acetate (29.45%), D-limonene (20.47%), camphene (11.73%)이고, 곰솔 잎 정유의 주요 성분은 α-pinene (59.81%)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또한, 미량으로 존재하지만 정유와 동일한 효능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으로 oxygenated monoterpenes인 neryl acetate, (-)-borneol, (-)-carveol의 세가지 화합물을 구명하였다. 따라서 그람 음성어병세균의 생장억제효과가 우수한 전나무와 곰솔 잎 정유는 사료 첨가제, 수산용 의약품 등 생물학적 제제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논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과 개체군 특성 (Patterns of Waterbirds Abundance and Habitat Use in Rice Fields)

  • 남형규;최승혜;최유성;유정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9-367
    • /
    • 2012
  • 본 연구는 논습지를 이용하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과 개체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9/2010년과 2011/2012년에 걸쳐 아산만 일대의 논을 대상으로 매월 2회씩 조사를 수행한 결과 총 35종의 수조류가 관찰되었다. 수조류의 논이용은 분류군에 따라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분류군에 상관없이 대부분 논을 취식지로 이용하였다. 도요물떼새류는 봄철이동시기(4월-5월)에 담수화된 본답을 주로 이용하였다. 백로류는 논을 4월에서 10월까지 이용하였으며, 논의 상태변화에 따라 본답, 논둑, 수로 등을 고루 이용하였다. 논은 백로류의 번식에 필요한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는 서식지이다. 오리기러기류는 월동기간(11월-3월)동안 추수 후 떨어진 낙곡을 취식하기 위해 논을 이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주기적으로 뚜렷한 환경변화를 갖는 논 생태계는 시기에 따라 다양한 수조류의 서식지를 제공하고 있다.

귀리 사일리지의 비닐겹수 및 저장기간에 따른 발효품질 (Effect of Number of Film Layers and Storage Duration and on the Fermentation Quality of Whole Crop Oat Silage)

  • 송태화;박종호;윤창;강천식;손재한;윤영미;김양길;정영근;박태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6
    • /
    • 2018
  • 이 연구는 저장기간 및 비닐겹수에 따른 귀리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및 사일리지 품질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귀리 사일리지의 조단백질 함량은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에 비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은 값을 보였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 처리한 처리구가 4겹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NDF와 ADF 함량 역시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저장기간 및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비슷하였다. TDN 함량은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보다 낮은 경향이었고, 저장기간 및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비슷한 값을 보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유기산 함량에서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젖산함량과 초산함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낙산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p<0.05).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에서 4겹보다 높은 젖산함량과 낮은 낙산함량을 보였다(p<0.05). 따라서 귀리 사일리지는 4겹으로 처리했을 경우에는 6개월 안에 사용하고, 장기저장을 고려한다면 6겹이상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칠면조와 육계에서 청색증 발생기전에 관한 고찰 (Degenerative myopathy of the supracoracoideus (DMS) in turkeys and broiler chickens, Review)

  • 송희종;이명우;류경선;장형관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61-166
    • /
    • 2008
  • Deep pectoral myopathy (DPM), also known as Oregon muscle disease or green muscle disease, was first described in 1968 by Dickinson et al as "degenerative myopathy" in turkeys. Even though this condition was first recognized in adult meat-type turkey and chicken breeders,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in meat-type growing birds. DPM occurs exclusively in birds that have been specially selected for breast muscle development.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DPM is an ischemic necrosis that develops in the deep pectoral muscle (supracoracoideus or pectoralis minor muscle) mainly because this muscle is surrounded by inelastic fascia and the sternum, which do not allow the muscle mass to swell in response to the physiological changes occurring when muscle are exercised, as in wing flapping. The lesion does not impair the general health of birds and is generally found during cut-up and deboning, moreover, it can be both unilateral or bilateral, affecting just one or both pectoralis minor muscle, respectively. No public health significance is associated to DPM, but it is aesthetically undesirable. The fillet should be removed, whereas the rest of the carcass is still fit for human consumption. However, the required trimming operations determine the downgrading of the products and produce an economic loss for the industry, especially because it affects the more valuable part of the carcass. The incidence of DPM increases with market weight in broilers, with more cases reported in higher-yielding strains and in males. Increased bird activity (flock nervousness, flightiness, struggle, and wing flapping) induced by factors such as feed or water outages, lighting programs and intensity, human activity, and excessive noises in and around chicken houses should be looked at as a trigger for the development of DPM in broiler. However, most of the studie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DPM in poultry are concerned with parental commercial breeding stocks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Bianchi et al. 2006. Poult Sci 85 : 1843-1846). There is a possibl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ion for large-breasted birds and this condition. Management procedures that discourage excessive wing flapping would reduce the incidence (Jordan and Pattison. 1998. Poultry diseases. 398-399).

뇌병변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맞춤형 보조기구의 설계·제작·적용 사례 연구 (Case Study on Design, Manufacture and Application of Customized Assistive Device for the ADL of Person with Brain Lesions)

  • 이진현;최미나;임성빈;이근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81-86
    • /
    • 2010
  • 본 논문은 뇌병변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맞춤형 보조기구 설계 제작 적용 사례연구로 대구광역시보조기구센터 장애인 보조기구 사례관리 시범사업의 2010년 일상생활영역의 맞춤 서비스 사례 중 2명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18일부터 11월 17일까지 1개월간 진행되었다. 대상자 A는 47세 뇌병변장애인으로 양하지의 근력과 기능이 많이 저하되어 바닥에서만 생활하며 스스로 변기에 올라 앉아 배변활동을 할 수 없었다. 이에 대상자 A에게 이동식 좌변기와 맞춤 경사로를 설계 제작하여 상지의 잔존근력으로 경사로를 올라가서 이동식 좌변기에 스스로 앉아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적용하였다. 대상자 B는 8세 뇌병변장애인으로 손 기능이 저하되어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없었다. 기존에 나와 있는 여러 가지 식사보조도구들을 1차 적용하였으나 대상자에게 적합하지 않아 대상자 의 관절가동범위(ROM)와 손 크기를 고려하여 맞춤으로 식사보조도구를 설계 제작하였고, 작업치료와 연계하여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향후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적용하였다. 대상자 A와 대상자 B는 기존에 나와 있는 제품의 적용이나 개조가 접근할 수 없는 사례였음으로 대상자에게 맞춤형으로 설계 제작되어 적용되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맞춤형 보조도구의 설계 제작 서비스의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아급성흡입독성시험을 이용한 3-Methylpentane의 GHS 분류·표시 (A Study on GHS Classification of 3-Methylpentane by Subacute Inhalation Toxicity)

  • 정용현;한정희;신서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17
    • /
    • 2017
  • 본 연구는 3-methylpentane에 대한 흡입유해성을 평가하여 국제연합에서 정하는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Globally harmonized system, GHS)지침 및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7호에 따른 3-methylpentane의 화학물질 분류 표시 자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OECD 화학물질 시험가이드라인 아급성흡입독성시험 TG 412(Subacute inhalation toxicity) 시험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6주령의 랫드(Rat)를 도입하여 1주간 순화시킨 후 암수 각각 대조군 5마리, 저농도군(284 ppm) 5마리, 중농도군(1,135 ppm) 5마리, 고농도군(4,540 ppm) 5마리 등으로 군을 구성하여 일일 6시간, 주 5일, 4주 동안 시험물질을 랫드에 전신으로 노출시켰다. 시험물질 노출을 종료하고 2주 후 시험동물을 희생하여 시험물질에 의한 시험동물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사료섭취량 변화, 체중 변화, 임상관찰, 혈액검사, 부검 소견, 장기무게 측정, 조직병리검사 등 모든 시험결과에서 시험물질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아 3-methylpentane의 무유해영향농도는 암수 모두 4,540 ppm이상으로 판단되어 세계조화시스템(GHS) 지침 및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7호(화학물질의 분류 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에 관한 기준)의 특정표적장기독성(반복노출) 구분 표시 물질에 해당하지 않은 물질로 판단되었다.

국내 양돈장의 차단방역 수준 평가 및 돼지써코바이러스 2형 감염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Assessing Biosecurity Practices on Commercial Pig Farms across Korea and Risk Factors for Porcine Circovirus Type 2 Infection)

  • 최성현;박선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4-329
    • /
    • 2015
  •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iosecurity practices in pig farms and to determine the major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CV2 infection for a sampled swine population in Korea. To this end, we analyzed data from a cross-sectional study of 296 farrow-to-finish farms, which was conducted between March and September 2014 to explore the prevalence of swine disease at farm level. Face-to-face interviews by on-site visit of trained veterinarians were conducted with the farm owners or managers using a standardized questionnaires with information about basic demographical data and management practices. Farms were classified as negative or positive through the use of infection profiles that combined data on serological testing including PCR antigen test result, antibody titer and sero-conversion pattern at each age category taking into account vaccination status.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variate ordin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biosecurity level of the farms was considered not good given low compliance of the biosecurity programs and facilities in the farm: off-site removal of dead stocks (7%), off-site location of storage facility for incoming feeds (12.6%), off-site pick-up location for finishers (19.3%), restrictions on feed supplier vehicles for farm entrance (19.6%), restriction of finisher trucks entering the farm (22.4%), and restriction on manure disposal trucks entering the farm (26.4%). In the final model (n = 255), allowance of finisher truck driver to the pig unit had increased risk of infection (OR = 2.4, 95% CI 1.22-4.67) whereas farms with a sign forbidding the entrance had decreased risk of infection (OR = 0.19, 95% CI 0.10-0.58). Further comprehensive research with larger sample size is required to better understand the multifactorial characteristic that some predisposing risk factors that were not available in this study. To the best knowledge of the authors, this was the first study to use empirical data to repor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CV2 infection in the Korean pig farms.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could be used to decide optimal biosecurity measures to reduce the impact of PCV2 infection to farmers and policy ma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