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n Design, Manufacture and Application of Customized Assistive Device for the ADL of Person with Brain Lesions

뇌병변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맞춤형 보조기구의 설계·제작·적용 사례 연구

  • 이진현 (대구광역시보조기구센터 연구실) ;
  • 최미나 (대구광역시보조기구센터) ;
  • 임성빈 (대구광역시보조기구센터) ;
  • 이근민 (대구광역시보조기구센터)
  • Received : 2010.12.01
  • Accepted : 2010.12.30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paper is case study on design, manufacture and application of customized assistive device for the ADL of person with brain lesions. The study had carried out from October 2010 to November 2010 and 2 clients from Assistive device case management demonstration project which is performed by Daegu assistive and rehabilitation center had participated. Case A, a 47-year-old man with brain lesions, stays only on the floor and could not get close to the usual toilet by himself because of the poor low extremities muscle strength and function. The moveable-toilet and customized ramp had applied to Case A. He clambers up the ramp and reach to the toilet easily. Case B, a 8-year-old boy with brain lesions, had difficulties with self-feeding because of his clumsy hand. Several existing feeding aids were applied but not appropriated. A customized feeding aid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out of regard of Case A's ROM and right hand size. And his occupational therapist works together continuously to make him feed himself in the near future. Already-made assistive devices were not appropriate to Case A and B and to solve this problem, customized assistive devices were applied. The importance and needs of design and manufacture of assistive device were recognized through these case study.

본 논문은 뇌병변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맞춤형 보조기구 설계 제작 적용 사례연구로 대구광역시보조기구센터 장애인 보조기구 사례관리 시범사업의 2010년 일상생활영역의 맞춤 서비스 사례 중 2명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18일부터 11월 17일까지 1개월간 진행되었다. 대상자 A는 47세 뇌병변장애인으로 양하지의 근력과 기능이 많이 저하되어 바닥에서만 생활하며 스스로 변기에 올라 앉아 배변활동을 할 수 없었다. 이에 대상자 A에게 이동식 좌변기와 맞춤 경사로를 설계 제작하여 상지의 잔존근력으로 경사로를 올라가서 이동식 좌변기에 스스로 앉아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적용하였다. 대상자 B는 8세 뇌병변장애인으로 손 기능이 저하되어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없었다. 기존에 나와 있는 여러 가지 식사보조도구들을 1차 적용하였으나 대상자에게 적합하지 않아 대상자 의 관절가동범위(ROM)와 손 크기를 고려하여 맞춤으로 식사보조도구를 설계 제작하였고, 작업치료와 연계하여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향후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적용하였다. 대상자 A와 대상자 B는 기존에 나와 있는 제품의 적용이나 개조가 접근할 수 없는 사례였음으로 대상자에게 맞춤형으로 설계 제작되어 적용되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맞춤형 보조도구의 설계 제작 서비스의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실태조사, 2005.
  2. Cook, A. M. & Hussey, S. M., Assistive technologies: Priciples and practice. Saint Louis, MO : Mosby, 1995.
  3. Bain, B. K. & Leger, D., Assistive technology: An interdisciplinaryapproach.New York,NY : ChurchillLivingstone, 1997.
  4. 황준길, 전동휠체어에 음성인식기능 추가를 통한 지체장애인의 효과적인 보조공학 서비스 적용, 대구대학교 재활과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5. 오길승, 김형우, 오도영, 남세현, "2004 보조공학서비스 욕구 및 수요 파악을 위한 실태조사", 용역연구, 제5호, pp.1-235,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5.
  6. 이진현, 지체장애인의 컴퓨터접근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적용, 대구대학교 재활과학과 석사 학위논문, 2008.
  7. 이근민,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적 접근 방안",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제33권, 제1호,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pp.1-28, 1999.
  8. 정경자, "뇌성마비 학생의 식사태도 및 행동양상",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제14권, 제1호,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pp. 65-80, 1989.
  9. 공진용, 안나연, 오현정, 정승민, 조재덕, "장애인복지관의 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 실태조사", 보조공학저널, 제2권, 제1호, 대한재활공학회, pp.53-68, 2008.
  10. Gerna, R. G., Techology assessment : Determining the needs. Rehabilitation Technology Review,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