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ture Expansion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42초

A Cross-Platform Malware Variant Classification based on Image Representation

  • Naeem, Hamad;Guo, Bing;Ullah, Farhan;Naeem, Muhammad Rashi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7호
    • /
    • pp.3756-3777
    • /
    • 2019
  • Recent internet development is helping malware researchers to generate malicious code variants through automated tools. Due to this reason, the number of malicious variants is increasing day by day. Consequently,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n malware analysis is the critical requirement to stop the rapid expansion of malware. The existing research proved that the similarities among malware variants could be used for detection and family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a Cross-Platform Malware Variant Classification System (CP-MVCS) proposed that converted malware binary into a grayscale image. Further, malicious features extracted from the grayscale image through Combined SIFT-GIST Malware (CSGM) description. Later, these features used to identify the relevant family of malware variant. CP-MVCS reduced computational time and improved classification accuracy by using CSGM feature description along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The experiment performed on four publically available datasets of Windows OS and Android O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computation time and malware classification accuracy of CP-MVCS was higher than traditional methods. The evaluation also showed that CP-MVCS was not only differentiated families of malware variants but also identified both malware and benign samples in mix fashion efficiently.

Novel Imag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Few-Shot Learning in Monkey Species

  • Wang, Guangxing;Lee, Kwang-Chan;Shin, Seong-Yo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9권2호
    • /
    • pp.79-83
    • /
    • 2021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imag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few-shot learning, which is mainly used to solve model overfitting and non-convergence in image classification tasks of small datasets and improve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This method uses model structure optimization to extend the basic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 and extracts more image features by adding convolutional layers, thereby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e incorporated certain measur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First, we used general methods such as setting a lower learning rate and shuffling to promote the rapid convergence of the model. Second, we used the data expansion technology to preprocess small datasets to increase the number of training data sets and suppress over-fitting. We applied the model to 10 monkey species and achieved outstanding performances. Experiments indicated that our proposed method achieved an accuracy of 87.92%, which is 26.1%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CNN method and 1.1% higher than that of the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esNet50.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imaging of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A comprehensive review

  • Tahmasbi-Arashlow, Mehrnaz;Patel, Paras B.;Nair, Madhu K.;Liang, Hui;Cheng, Yi-Shing Lisa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2권2호
    • /
    • pp.123-131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CBCT) imaging features of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CGCG) of the jawbon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26 CBCT studies of histologically proven cases of CGCG during a period of 20 years, from 1999 to 2019. Patients' demographic data were recorded, and radiographic features were assessed (location, border, cortication, appearance of the internal structure, locularity, septation, expansion, cortical perforation, effects on surrounding tissue, whether the lesion crossed the midline, and lesion volume). Results: In this study, CGCGs were seen almost twice as often in the mandible than in the maxilla, and 64.7% of mandibular lesions involved the anterior region. Only 26.9% of lesions crossed the midline, a feature that was considered characteristic of CGCG. Furthermore, 65.4% of lesions were unilocular and 34.6% were multilocular. The correlation between a lesion's size and its locula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larger lesions showed a multilocular appearance. The mean volume of multilocular lesions was greater than that of unilocular lesions. Conclusion: CGCGs showed variable radiographic features on CBCT, and this imaging modality is highly effective at demonstrating the radiographic spectrum and lesional extent of CGCGs in the jawbone.

A Study on Evaluation of Online Trading System in MRO Supply Business

  • JEONG, Dongbin
    • 융합경영연구
    • /
    • 제10권2호
    • /
    • pp.1-13
    • /
    • 2022
  • Purpose: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establishment for systematic support and upbringing of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s through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MRO consumable materials industry as a whole and the market tren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urvey is conducted in 2019 mainly for companies that operate consumable materials delivery business, and the survey size is about 25,000 in advance (selected) and about 2,000 in the main survey. Using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we derive the visualization of the homogeneous grouping of cases and the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them. Results: Based on the attributes of reason for not having an online trading system, it is classified into three and four clusters for industry and company size, respectively, and the feature and pattern of each individual can be are relatively evaluated and visualized. Conclusions: Small and medium-sized consumable material suppliers specialize in products rather than fierce pricing strategies or external expansion strategies and it is more effective to establish a plan to promote the growth of both large and small enterprises through cooperation with large corporations.

공간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시각화 방법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for Spatial Big Data)

  • 서양모;김원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6호
    • /
    • pp.109-1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간빅데이터의 개념과 특징을 정의하고 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높일 수 있는 정보 시각화 방법론을 조사하였다. 또한 시각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해결방법을 제시하였다. 공간빅데이터를 공간정보의 정량적인 확장의 결과와 빅데이터의 정성적인 확장의 결과로 정의하였다. 공간빅데이터는 6V(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ization)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최근 활용 서비스 측면이 이슈화 되면서 공간빅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가 주목받고 있다. 정보 시각화의 방법은 Matthias, Ben, 정보디자인교과서 등을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 되어 있으나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는 방대한 양의 원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조직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는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차이점이 있다. 추출된 정보는 특성에 따른 적합한 시각적 표현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없으므로 필터링, 샘플링, 데이터 비닝, 클러스터링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축소하여 표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신자유주의 사회개혁으로서의 일본 공적개호보험: 시행 5년간의 사회적 결과를 중심으로 (The Introduction of the Japanese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as a Neo-Liberal Social Reform)

  • 조영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2호
    • /
    • pp.165-184
    • /
    • 2005
  • 1990년대 동안 일본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공적개호보험이 2000년 4월 1일 마침내 시행되었다. 이 새로운 사회보험의 도입은 사회정책 연구자들에게 흥미로운 연구주제를 던져준다. 왜냐하면, 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대부분의 선진 산업국가에서 복지부문의 축소 내지는 현상유지가 진행 중인 가운데 복지후진국인 일본에서는 복지확대정책이 시행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세계화의 압력에 직면하여 모든 복지국가들의 축소가 목격될 것이라는 복지국가 연구자들의 일반적인 예상과 반대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공적개호보험의 도입이 복지국가 연구자들에게 던져준 수수께끼를 푸는데 있다. 이 연구의 가정은 공적개호보험이 사회보험의 외양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는 국가복지의 축소를 지향하며 장기간병서비스분야에서 국가의 책임감소와 개인의 책임증가를 가져온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정이 경험적으로 입증된다면, 공적개호보험의 도입은 일본의 전통적인 축소지향 사회정책이나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복지국가 위축의 추세를 충실히 따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공적개호보험이 초래한 다양한 결과들에 대한 종단적인 비교분석을 시도한다. 이 연구의 주요 관심대상은 사회보험으로서의 공적개호보험의 소득재분배 효과, 공적개호보험의 도입으로 인해 촉발된 장기간병서비스 분야의 상업화 경향, 공적개호보험 도입에 따른 장기간병 관련 사회보장제도의 재정에 대한 주체별 부담 변화의 추이 등이다. 이 연구는 일본의 장기간병 관련 사회보장제도의 성격이 공적개호보험의 도입을 전후하여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몇 가지 지표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공적개호보험의 신자유주의적 성격을 뚜렷하게 보여줄 것이다.

  • PDF

수원 유역의 변동성 규모를 기반으로 한 설마천 시험유역의 분기 특성 해석 (Analysis of bifurc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based on variable scale of source basin)

  • 김주철;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5호
    • /
    • pp.289-29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수원 유역 혹은 한계지지면적의 변동성 규모에 따른 하천망의 형상 변화를 추출하여 설마천 시험유역의 분기 특성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원 유역의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대상 유역의 내부에는 하천망의 분기 현상이 발생하며, 그 결과로서 하천망의 신장(총 하천 길이의 증가)과 함께 하천망의 확장(수원의 개수 증가)이 동시에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하천망이 신장되는 경우 하천 구간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향이 새로운 수원이 생성되는 경향보다 우세하게 나타나는 반면, 하천망이 확장되는 경우 반대 거동에 따라 배수망이 유역 내부의 공간을 채워가는 과정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자연 유역의 하천망들이 가지는 규모 불변성은 수원 유역의 규모가 감소함에 따라 나타나는 하천망의 신장 특성과 하천망의 확장 특성이 상호 균형을 이루면서 발현되는 지형학적 특성으로 기술될 수 있었다. 설마천 시험유역의 분기 구조는 하천망의 신장 특성과 규모 불변성이 공존하는 형태로 판단되며 강우로 인한 유출 현상에 보다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요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팝아트적 키덜트 문화 연구 (A study on pop art kidult culture)

  • 도경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483-493
    • /
    • 2014
  •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성인의 문화에 유쾌하고 재미있는 것을 추구하는 키덜트 문화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을 예술사조로서 팝아트가 현대 키덜트 문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팝아트의 특성의 맥을 이어온 키덜트 문화가 소비시장에 밝은 미래를 기약하고 키덜트 문화상품의 세계화 확대를 통한 키덜트 마케팅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팝아트의 특성과 문화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논문과 학술지 등 선행 문헌을 통한 이론적 연구 자료를 참고하였고 현시점의 키덜트 문화현상을 느낄 수 있도록 최근 이슈가 되는 키덜트적 언론보도, TV프로그램, 영화, 광고, 생활용품 등을 뉴스, 미디어자료, 인터넷 자료 등을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팝아트적 표현특성 중 대중성, 생동감, 유머와 위트가 특히 키덜트 문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키덜트 소비문화의 질적 양적 향상을 통해 밝은 소비시장의 활성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둘째, 연령에 맞는 다양한 아이템의 문화상품개발을 통한 키덜트 소비문화 확대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기업은 자체 개발한 캐릭터로 성인 소비시장을 개척해야 한다. 넷째, 세계시장에 한류를 이용한 키덜트 문화상품의 적극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

한국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과 추동 요인에 대한 고찰 (The Transformation of Alternative Public Sphere and its Motive in Korea)

  • 김은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3권
    • /
    • pp.87-114
    • /
    • 2006
  • 대안적 공론장의 현실화를 지칭하는 용어는 저항언론, 대항언론, 민중언론, 지하언론, 풀뿌리언론, 대안언론, 시민미디어 등 다양한 개념이 존재하다. 시대적 상황에 따라, 논자의 강조점에 따라 다양한 개념들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의 언론구조가 민주적 공론장으로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이를 보완하고자 했던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정리하자면, 한국의 대안적 공론장은 70년대의 저항언론 자유언론에서, 80년대의 대항언론 민중언론, 90년대의 대안언론, 2000년대의 대안언론 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변화해왔다. 이러한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은 무엇보다도 시민사회의 확장과 사회운동 진영이다. 그리고 사회운동 주도세력의 성격에 따라 대안적 공론장의 내용성 역시 변화해 왔다. 80년대 민중운동이 한국의 사회운동을 이끌었을 때는 대안적 공론장도 당파성에 입각한 민중언론의 성격을 나타냈으며, 90년대 시민운동으로 그 주도권이 바뀌었을 때는 대안언론, 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발현됐다. 또한, 사회운동과 대안적 공론장은 변증법적으로 변화 발전했다. 요컨대, 사회운동은 대안적 공론장을 통해 운동의 활성화와 역량을 축적하면서 사회변화를 이끌었고, 이러한 사회운동은 다시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 PDF

Efficient simulation method for a gas inflow to the central molecular zone

  • Shin, Jihye;Kim, Sungsoo S.;Baba, Junichi;Saitoh, Takayuki R.;Chun, Kyungwon;Hozumi, Shunsuke
    • 천문학회보
    • /
    • 제40권1호
    • /
    • pp.59.1-59.1
    • /
    • 2015
  • We present hydrodynamic simulations of gas clouds that inflowing from the disk to a few hundred parsec region of the Milky Way. Realistic Galactic structures are included in our simulations by thousands of multipole expansions that describe 6.4 million stellar particles of a self-consistent Galaxy simulation (Baba, Saitoh & Wada, in prep.). We find that a hybrid multipole expansion model with two different basis sets and a thick disk correction well reproduces the overall structures of the Milky Way. We find that the nuclear ring evolves into 240 pc at T~1500 Myr, regardless of the initial size. For most of simulation runs, gas inflow rate to the nuclear region is equilibrated as ~0.02 Msun/yr, and thus accumulated gas mass and star formation activity is stabilized as $6{\times}10^7Msun$ and ~0.02M/yr, respectively. These stabilized values are in a good agreement with estimations for the CMZ. The nuclear ring is off-centered to the Galactic center by the lopsided central mass distribution of the Galaxy model, and thus an asymmetric mass distribution is arose accordingly. The lopsidedness also leads the nuclear ring to be tilted to the Galactic plane and to precess along the Galaxy rotation. In early evolutionary stage when gas clouds start to inflow and form the nuclear ring, the z-directional oscillations of the gas clouds results in the twisted, infinity-shaped nuclear ring. Since the infinity-shaped feature is transient only for first 100 Myr, the current infinity-shape observed in the CMZ may indicate that the CMZ forms quite recen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