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P

검색결과 3,971건 처리시간 0.036초

철분과 셀레늄의 섭취수준이 흰쥐의 혈액과 간장의 지질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e and Se Levels on Lipid Levels in Serum and Liver of Rats)

  • 전예숙;승정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68-574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철분의 섭취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철분과 셀레늄의 섭취수준이 체내 지질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대상으로 철분을 35ppm, 70ppm, L40ppm수준으로 하고 셀레늄을 0.05ppm과 0.5ppm으로 하여 6주간 사육한 후 이들 섭취수준에 따른 혈액과 간의 지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철분과 셀레늄의 섭취수준에 따른 사료 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체중 증가량은 철분과 셀레늄의 섭취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p<0.05, p<0.05) MFeHSe군이 제일 높았고 AFeHSe군이 가장 낮았다 혈청 철분 함량은 철분의 섭취수준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셀레늄 함량은 고셀레늄 섭취군이 적정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혈청 총 콜레스테를 수준은 철분 섭취수준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0.001) 고셀레늄 섭취군은 적정 셀레늄 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01). 혈청 HDL-콜레스테를 함량은 철분과 셀레늄 섭취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영향을 받아(P<0.05, p<0.01) MFeHSe군이 가장 높았으며 HFeASe 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철분과 셀레늄의 섭취수준에 따른 LDL-콜레스테롤과 VLDL-콜레스테를 함량의 합은 철분 섭취수준이 높은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0.001), 모든 철분의 섭취수준에서 0.5ppm 셀레늄의 첨가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간장의 철분 함량은 셀레늄 보충군이 적정군 보다 유의 하게 낮았고(p<0.01), 셀레늄 함량은 철분 섭취 수준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철분의 섭취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간장 인지질 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0.5ppm 셀레늄 첨가로 간장 인지질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간장의 중성지방 함량은 철분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 (p<0.05) 철분 섭취 수준이 낮은 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총 지방 함량은 철분과 셀레늄의 섭취수준에 의한 유의한 영향으로(p<0.01, p<0.01) 철분의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고셀레늄 섭취군이 적정셀레늄 섭취군 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할 때 철분의 섭취증가는 혈중 지질 함량을 증가시키고 셀레늄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장의 지질 함량 변화에 대해서는 앞으로 좀더 다각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PDF

Cu-Fe계 동합금의 강도 및 전기전도도에미치는 첨가 원소의 영향

  • 김대현;이광학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4.1-44.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Sn과 Mg를 Cu-Fe-P 합금계에 첨가 하였을 때 합금의 미세조직과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u-Fe-P 합금에 Sn과 Mg를첨가 함으로써 생성된 석출상과 합금의 미세조직, 기계적 성질 및 전기전도도를 조사하였다. 합금성분은 OES로 분석하였으며 SEM 및 EDX로 미세 석출상이생성됨을 확인하였다. 본연구를 통하여 Cu-Fe-P 합금계에 Sn과 Mg를 적절히 첨가 함으로써 고강도-고전도도의 동합금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Ni-Fe-P 합금전착에 미치는 Grain Refiner의 영향 (The Effect of Grain Refiner on Ni-Fe-P Alloy Electrodeposition)

  • 서무홍;김동진;김정수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37-443
    • /
    • 2003
  • The effects of additive(grain refiner, GR) on process efficiency of the Ni-Fe-P alloy electrodeposition and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deposit were investigat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deposits were investigated using polarization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techniques, and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deposits were characterized through inductively coupled plasma(ICP), spiral contractometer, XRD, SEM and TEM. When the additive was added into the electrodeposition bath, current efficiency, Ni content and corrosion resistance of the deposit increased, whereas residual stress, surface roughness and grain size of the deposit decreased.

Spinodal Phase Separation and Isothermal Crystallization Behavior in Blends of VDF/TrFE(75/25) Copolymer and Poly(1,4-butylene adipate) (I) -Spinodal Phase Separation Behavior-

  • Kim, Kap Jin;Kyu, Thein
    • Fibers and Polymers
    • /
    • 제4권4호
    • /
    • pp.188-194
    • /
    • 2003
  • Phase behavior and spinodal phase separation kinetics in binary blends of a random copolymer of vinylidene fluoride and trifluoroethylene (75/25) [P(VDF/TrFE)] and poly(l,4-butylene adipate) (PBA) have been investigated by means of optical microscopic observation and time-resolved light scattering. The blends exhibited a typical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34}^{\circ}C$ above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P(VDF/TrFE) crystals over the entire blend composition range. P(VDF/TrFE) and PBA were totally miscible in the temperature gap between the melting point of P(VDF/TrFE) and the LCST. Temperature jump experiments of the 3/7 P(VDF/TrFE)/PBA blend were carried out on a light-scattering apparatus from a single-phase melt state (${180}^{\circ}C$) to a two-phase region (205∼${215}^{\circ}C$). Since the late stage of spinodal decomposition (SD) is prevalent in the 3/7 blend, SD was analyzed using a power law scheme. Self-similarity was preserved well in the late stage of SD in the 3/7 blend.

진공증착법을 이용한 P(VDF-TrFE) 공중합체 박막의 압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iezoelectric Characteristic of P(VDF-TrFE) Copolymer Thin Film by Physical Vapor Deposition Method)

  • 박수홍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0-225
    • /
    • 2008
  • 본 실험은 P(VDF-TrFE) 공중합체 박막을 제조하고 압전특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또한 압전 특성 분석에서 압전 계수 $d_{33}$와 압전 전압 계수 $g_{33}$는 증착 온도가 $260{\sim}300^{\circ}C$ 까지는 32.3pC/N에서 36.28pC/N, $793{\times}10^{-3}V{\cdot}m/N$에서 $910.5{\times}10^{-3}V{\cdot}m/N$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300^{\circ}C$의 온도에서 P(VDF-TrFE) 공중합체 박막을 제조 할 때 최적의 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증착온도가 $320^{\circ}C$에서 증착한 경우에는 각각 25.3pC/N, $680.3{\times}10^{-3}V{\cdot}m/N$으로 감소하였다.

적니로부터 철과 알루미늄의 침출 및 응집제의 제조 (Leaching of Iron and Aluminum from Red Mud and Preparation of Coagulants)

  • 이재록;황인국;배재흠
    • 청정기술
    • /
    • 제15권1호
    • /
    • pp.38-41
    • /
    • 2009
  • 적니(red mud)는 보오크싸이트로부터 수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를 제조하는 Bayer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폐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니로부터 철과 알루미늄을 염산으로 침출시켜 폐수처리용 응집제를 제조하였다. 적니응집제를 합성폐수에 투입한 후 조절된 pH가 증가함에 따라 중금속이온 제거율이 증가하였다. 적니응집제 제조 시에 적니의 양이 증가할수록 Fe의 침출효율은 낮아졌으나, 적니응집제의 pH는 적니의 양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적니응집제와 물을 혼합한 용액을 다시 적니와 반응시켜 Fe 및 Al의 농도가 더 증가되고, pH가 향상된 침출액을 얻었다. 이 침출액의 pH는 다른 응집제 $FeCl_3$$Fe_2(SO_4)_3$의 pH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소결조건 및 조성이 Fe-Si-P 소결제의 자기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tering Condition and composition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Sintered Fe-Si-P)

  • 송재성;김기욱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0권7호
    • /
    • pp.684-689
    • /
    • 1991
  • Magnetic properties of sintered Fe-Si-P alloys have been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sintering condition and composition. Sintering was carried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1100ø C to 1400ø C in vacuum. As the sintering temperature increases, the magnetic properties of specimens were improved mainly due to the easy movement of domain wall because large pores and large grains were formed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at high temperature. When sintered at 1400ø C, Fe-2w/o Si-0.5w/o P compact had the best mgnetic properties, but more phosphorus addition degraded magnetic properties. It appears that the degradation was caused by the formation of non-magnetic compounds such as Si P, Fe3P in the compacts with high phosphorus contents.

P(VDF-TrFE) 유기 박막의 제조와 압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P(VDF- TrFE) Organic Thin Films and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 박수홍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7권4호
    • /
    • pp.395-39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fabrication of P(VDF-TrFE) organic thin films through the vapor deposition method and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of the organic thin films thus produced. Vapor deposition was per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the working temperature, and the pressure of reaction chamber were $300^{\circ}C$, and $2.0{\times}10^{-5}$ Torr, respectively. The molecular structure and crystallinity of the evaporated organic thin films were evaluated by using a FT-IR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XRD (X-ray diffractometry), The results showed that crystallinit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substrate temperature. When the P(VDF-TrFE) organic thin films were fabricated by increasing the substrate temperature, its piezoelectric coefficient($d_{33}$) increased.

정수처리 응집효율 개선을 위한 Al(III)염과 Fe(III)염 응집제의 비교 (Comparison of Al(III) and Fe(III) Coagulants for Improving Coagulation Effectiveness in Water Treatment)

  • 한승우;강임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25-331
    • /
    • 2015
  • 낙동강 하류부의 상수원수를 대상으로 Al(III)염과 Fe(III)염계 응집제를 이용한 응집제의 특성 실험 결과, alum과 $FeCl_3$의 경우는 모노머성 화학종이 각각 98%와 93.3%로 응집제내에 함유된 주된 가수분해종은 모노머성 화학종임을 알 수 있었다. 염기를 첨가하여 제조한 염기 첨가비 r=1.2인 PACl의 경우 폴리머성 Al(III)종은 31.2%이었으며, r=2.2인 PACl의 경우 함유된 폴리머성 Al(III)종은 85.0%로 r 값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폴리머성 Al(III)종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집제별 응집실험 결과, 원수의 탁도가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응집제별 탁도 및 유기물 제거정도는 $FeCl_3$ > PACl (r=2.2) > PACl(r=1.2) > alum의 순으로 나타났다. Al(III)계 응집제 보다 $FeCl_3$의 경우 응집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l(III)계 응집제의 경우 염기도가 높은 응집제의 경우 polymeric Al(III)종을 많이 함유함에 따라 응집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염기도가 높은 응집제일수록 응집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적용된 응집 pH 범위(pH 4.0~9.5)에서 모든 응집제의 최적 응집 pH는 약 7.0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염기도 PACl (r=2.2)과 $FeCl_3$의 경우 pH 7.0 이상에서도 높은 탁도 응집효율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pH가 높은 상수원수의 경우 탁도 제거에서는 고염기도 PACl이나 $FeCl_3$ 응집제가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래 납석광산 산성 광석배수의 중화실험: 중금속의 거동 특성 규명 (Neutralization of Acid Rock Drainage from the Dongrae Pyrophyllite Deposit: A Study on Behavior of Heavy Metals)

  • 염승준;윤성택;김주환;박맹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4호
    • /
    • pp.68-76
    • /
    • 2002
  • 동래 납석광산 지역의 산성광석배수(ARD)에 의해 오염된 동래천의 공간적 화학조성 변화와 중금속의 제거 과정을 중화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광산에 인접한 동래천은 강산성(pH 3.0~4.2)이며 많은 양의 Al. Fe, $SO_4$및 중금속(Pb, Cu, Zn, Cd)을 포함하고 있다. 동래천의 화학조성은 산성배수의 침출지에서부터 수영강과의 합류지점까지 체계적으로 변화한다. 즉, 동래천으로 유입되는 침출수는 Al과 Fe가 풍부하나 하류로 갈수록 Al이 풍부한 조성으로 변한다. 침출수(pH 2.3)는 오염되지 않은 동래천(pH 6.5)과 소규모의 지류(pH 6.2)와 혼합되면서 pH가 최대 4.2까지 증가한다. 이러한 낮은 pH 범위(<4.2)에서는 거의 모든 Fe가 침전되나 Al은 대부분 용존상태로 남게 되어 하류로 갈수록 A띠 풍부한 조성으로 변화하게 된다. 한편, Al이 풍부한 하류의 지표수는 유량이 큰 수영강(pH 6.9)과 혼합되면서 pH가 증가(5.7)하여 흰색의 Al 침전물을 형성시킨다. 침출수를 대상으로 한 중화실험 결과. pH 3.5 이하에서 Fe침전물이, pH 4~6범위에서 Al 침전물이, 그리고 pH 6.0이상에서 Mn침전물이 형성되었다. pH의 증가에 따른 이러한 Fe, Al 및 Mn의 단계적인 침전은 실제 동래천에서 관찰되는 침전물의 형성과 잘 일치하고 있다. 또한 pH 증가에 따른 Fe및 Ai침전물에 의한 중금속의 흡착순서는 Pb>Cu>Cd$\geq$Zn이었으며, 50%의 흡착을 보이는 pH의 값($pH_{50}$은 Pb 3.2, Cu 4.5, Cd 5.2 및 Zn 5.8이었다. 이와 비교하기 위해서, Al이 풍부한 하류의 지표수를 대상으로 한 중화실험 결과, $pH_{50}$의 값은 Pb 4.5, Cu 5.8, Cd 7.4 및 Zn 7.0으로서 침출수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광산배수에서의 중금속의 제거는 pH의 변화뿐 만 아니라 하천수의 Fe 및 Al의 상대적인 양에 따라 결정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