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y liver disease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3초

Efficacy of evogliptin and cenicriviroc against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 mice: a comparative study

  • Wang, Zheng;Park, Hansu;Bae, Eun Ju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3권6호
    • /
    • pp.459-466
    • /
    • 2019
  • Dipeptidyl peptidase (DPP)-4 inhibitors, or gliptins, are a class of oral hypoglycemic drugs that have been widely used as a second-line treatment for type 2 diabetes. Gliptins, which were introduced for clinical use a decade ago, have been shown to be beneficial agains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in animals and humans. Cenicriviroc (CVC), a dual antagonist of C-C chemokine receptor type 2 and 5, is currently under investigation against NASH and fibrosis. It was previously discovered that evogliptin (EVO) reduces hepatic steatosis in diet-induced obese animals but the effectiveness of EVO on NASH remains unexplored. Here, we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EVO and CVC against NASH and fibrosis in mice fed a high-fat and high-fructose diet (HFHF).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analyses showed that mice fed a HFHF for 20 weeks developed severe hepatic steatosis and inflammation with mild fibrosis. Administration of EVO (0.2% wt/wt) for the last 8 weeks of HFHF feeding significantly reduced hepatic triglyceride accumulation, inflammation, and fibrosis as well as restored insulin sensitivity, as evidenced by lowered plasma insulin levels and the improvement in insulin tolerance test curves. Treatment of mice with CVC (0.1% wt/wt) inhibited hepatic inflammation and fibrogenesis with similar efficacy to that of EVO, without affecting hepatic steatosis. CVC treatment also reduced plasma insulin concentrations, despite no improvement in insulin tolerance. In conclusion, EVO administration efficiently ameliorated the development of NASH and fibrosis in HFHF-fed mice, corroborating its therapeutic potential.

경부 지방종증의 치험 (Treatment of Benign Symmetric Lipomatosis)

  • 태경;이형석;권순욱;정진혁;김경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9-84
    • /
    • 1998
  • Benign symmetric lipomatosis was initially described in 1846 by Sir Benjamin Brodie. In 1888, Otto Madelung presented 33 cases of benign symmetric lipomatosis and described the classic“horse collar”cervical distribution of the lipomatous tissue. Launois and Bensaude described benign symmetric lipomatosis as a distint syndrome characterized by a diffuse, symmetric, fatty accumulation in the cervical region. This disease is rare condition affecting mostly middle aged alcoholic men and associated with many systemic diseases such as diabetes mellitus, hyperuricemia, renal tubular acidosis, liver enzyme abnormality etc. The condition does not spontaneously involute and surgical excision is the only proven method of treatment, and recurrence is frequent. We experienced six patients of benign symmetric lipomatosis who underwent surgical excision via collar incision which afford wide exposure of the entire cervical area. We report them with the review of literature.

  • PDF

Vitamin C Inhibits Visceral Adipocyte Hypertrophy and Lowers Blood Glucose Levels in High-Fat-Diet-Induced Obese C57BL/6J Mice

  • Park, Younghyun;Jang, Joonseong;Lee, Dongju;Yoon, Mich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1-318
    • /
    • 2018
  • Vitamin C (ascorbic acid) supplementation has been suggested to negatively correlate with obesity in humans and other animals. Previous studies, including ours, have demonstrated that a high-fat diet (HFD) induces obesity and related diseases such as hyperlipidemia, hyperglycemia, insulin resistance,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itamin C on visceral adipocyte hypertrophy and glucose intolerance in C57BL/6J mice. Mice received a low-fat diet (LFD, 10% kcal fat), HFD (45% kcal fat), or the same HFD supplemented with vitamin C (HFD-VC, 1% w/w) for 15 weeks. Visceral adiposity and glucose intolerance were examined using metabolic measurements, histology, and gene expression analyses. Mice in the HFD-VC supplementation group had reduced body weight, mesenteric fat mass, and mesenteric adipocyte size compared with HFD-fed mice. Vitamin C intake in obese mice also decreased the mRNA levels of lipogenesis-related genes (i.e., stearoyl-CoA desaturase 1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c) in mesenteric adipose tissues, inhibited hyperglycemia, and improved glucose tolerance. In addition, vitamin C attenuated the HFD-induced increase in the size of pancreatic isle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tamin C suppresses HFD-induced visceral adipocyte hypertrophy and glucose intolerance in part by decreasing the visceral adipos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lipogenesis.

Poricoic acid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억제 효능 (Preventive Effect of Poricoic Acid against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김혜란;정대영;김세이;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62-970
    • /
    • 2022
  •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의 진행질환으로, 중성지방 침착, 염증 및 간 섬유화가 동반되어 간경변증과 간암의 원인이 되는 질환이나, 아직까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치료하는 뚜렷한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Poricoic acid (PoA)는 복령의 약효성분으로 여러 약리작용이 보고되었으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치료 효능은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oA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병인에 작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억제하는지를 in vivo 및 in vitro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유도하는 식이(high fat and methionine-choline deficient diet, HFMCD)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유발한 쥐에서 PoA는 HFMCD에 의해 증가된 간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간 독성을 나타내는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도 감소시켰다. Oil Red O 염색 및 hematoxylin & eosin 염색의 결과에 의하면, PoA는 HFMCD에 증가하는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qPCR 결과에 의해서도 PoA는 중성 지방 합성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도 감소시켰다. 또한 간 조직에서 CD68 면역 염색 결과에 의하면, PoA는 HFMCD에 의해 증가는 CD68 면역 염색을 감소시켰으며, 염증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도 감소시켰다. 더욱이 Sirius red 염색과 α-smooth muscle actin (α-SMA) 면역 염색으로 간 섬유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PoA는 HFMCD에 증가되는 sirius red 염색과 α-SMA 면역 염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섬유화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도 감소시켰다. 또한, PoA는 palmitate (Pa)로 처리한 간세포 AML12에서 Pa에 의해 증가하는 중성 지방산 합성, 염증 및 섬유화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PoA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중요 병인인 중성지방 생성, 염증 및 섬유화를 억제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부산·경남 지역 성인의 담낭용종 위험인자 및 초음파 영상의 형태학적 분석 (Analysis of Risk factors & Morphological Ultrasound Image for Gallbladder Polyp in Adults Living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s)

  • 안현;황철환;고성진;김창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3호
    • /
    • pp.353-359
    • /
    • 2016
  •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에서 담낭용종의 위험인자 및 초음파영상의 형태학적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대상은 2016년 1월~5월까지 부산 P병원 내원환자의 복부초음파 영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복부초음파와 혈청학적 검사를 동시에 실시한 399명을 대상으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담낭용종 위험인자들의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시행하였다. 차이검정 결과를 고려하여 독립변수에 대한 상대 위험비(odds ratio, OR) 산출을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여 변수들로부터 예측모형을 산정하여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담낭용종 위험인자로 남성, HBsAg 양성, 중성지방이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담낭용종의 위험인자로 확인된 남성, HBsAg 양성, 중성지방으로 예측모형 및 예측 확률값을 산정하였다. 예측확률의 민감도 61.0%, 특이도 76.8%를 보였으며, ROC 곡선의 AUC 결과는 0.735를 보여 예측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부 초음파검사 상 관찰되는 담낭용종의 형태학적 분석 결과는 고 에코, 유경, 균질한 형태가 가장 많은 분포(27.5%)를 나타내었으며, 용종 개수는 2개(38%), 크기는 5~10 mm (53%)로 가장 많았다. 담낭용종과 관련된 간질환으로는 mild fatty liver (23%), diffuse hepatopathy (21%)로 나타났다.

올레산 유도 비알콜성 지방간세포에서 용아초의 중성지방 조절효과 (Triglyceride Control Effect of Agrimonia eupatoria L. in Oleic Acid Induced NAFLD-HepG2 Model)

  • 손은화;김태성;정용준;한효상;이영성;조영미;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35-640
    • /
    • 2015
  • 본 연구는 지방축적이 유도된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용아초 EtOAc 분획물의 지방축적억제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Oleic acid를 HepG2 세포에 처리하여 지방의 축적을 유도하였으며, 용아초 EtOAc 분획물 25, 50, 100㎍/㎖을 처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용아초 EtOAc 분획물은 100 ㎍/㎖의 농도에서 HepG2 세포의 지방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 효능의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질관련 유전자인 PPAR-α와 PPAR-γ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용아초 EtOAc 분획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25, 50, 100 ㎍/㎖) PPAR-α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PPAR-γ는 억제함으로써 지질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였다. 따라서 용아초 EtOAc 분획물의 지방축적억제 효능은 지방 생성의 주요 인자로 알려진 PPAR-α와 PPAR-γ의 유전자 발현을 통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비교적 저농도인 100 ㎍/㎖에서 효과적으로 지방축적억제 효능을 나타내었으므로 용아초 EtOAc 분획물은 비알콜성 지방간의 위해성을 경감하기 위한 후보물질로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활성성분 규명 및 명확한 작용기전 규명을 통하여 식품, 의약품의 원료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계획이다.

Valproic acid에 의해 증가하는 PPAR-alpha 및 FGF21의 발현이 간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 (Valproic Acid-induced PPAR-alpha and FGF21 Expression Involves Survival Response in Hepatocytes)

  • 아자모프 바커부딘;강여원;이찬희;심완석;이광민;송박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27-235
    • /
    • 2024
  • 약물이나 허브 제품으로 인한 간세포 손상은 이러한 화합물을 만성적으로 투여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의 치료 과정 중 간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약물 적용에 있어 광범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Valproic acid (VPA)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발레르산에서 파생된 분지형 단사슬 지방산으로 뇌전증과 발작을 치료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VPA는 암, HIV 치료, 신경 퇴행성 질환에 수많은 효과를 발휘하지만, 간에 대한 VPA의 잠재적인 영향과 그 작용 메커니즘은 완전히 설명되지 않았다. 여기서, 우리는 VPA의 처리가 쥐 간세포(Hepa1c1c7)에서 PPAR 알파(PPAR-α)와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21(FGF21)의 전사 수준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입증했다. VPA에 의해 유도된 FGF21 발현은 PPAR-α 결손 조건에서 상당히 억제되었다. 후속 실험에서 FGF21 신호 경로가 FGF 수용체 억제제에 의해 차단되었을 때, 간세포 생존력이 크게 억제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AMPK 인산화가 VPA에 의해 유도된 PPAR-α 증가에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추가로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FGF21 발현의 증가가 VPA에 의해 유도된 간 독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며, 이와 같은 결과는 FGF21의 증감 여부가 VPA 치료 중 나타날 수 있는 간 손상을 예측하는 잠재적인 바이오마커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일개 종합병원 건강검진 수진자들의 대사증후군 발생 수준과 위험요인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isk factor in who under went medical check-up in a health promotion center)

  • 천해경;이태용;권인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86-1193
    • /
    • 2012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관리함으로써 심혈관질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4년부터 2008년까지 2년 간격으로 검진을 받은 동일인 1,668명을 추적 관찰하여 대사증후군의 발생 및 이의 관련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후향적 코호트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도변화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률의 변화는 2004년을 기준으로 2006년 8.3%, 2008년 12.0%로 증가하였다. 동일기간 중 대사증후군 발생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위험요인의 상대위험도와 95%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발생위험 요인으로 연령, 흡연, 총콜레스테롤, ALT, 요산 등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비만인(肥滿人)의 생활행태(生活行態)와 사상체질(四象體質)의 상관성(相關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Associations between life style of Obese Patients and Sasang Constitutions)

  • 김은영;김종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5-199
    • /
    • 1999
  • 목 적 현대사회에 있어 생활전반에 걸쳐 편리화를 추구하는 사회환경과 식생활의 변화, 각종 스트레스 등으로 비만증은 급격히 늘어가며 심장병,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지방간 등을 유발시킨다. 비만도 질병이기에 비만이 되기 쉬운 체질이 있을 것이고 비만인의 생활에도 체질적 특성이 있지 않을까 하여 이 연구를 하게 되었다. 방 법 (1) 연구대상 1999년 4월 l일 부터 1999년 5월 30일까지 부산진구 나라한의원에 내원한 여성 환자 1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사상체질감별 환자 문진과 나라한의원에서 만든 사상체질감별 설문지를 통한 체질감별로 최종 확정했다. 결 과 (1) 비만증환자의 81.2%가 태음인, 15.8%가 소음인, 3%가 소양인이었다. (2) 소음인이 식사시간이 30분 이상인 경우가 유의성이 있었다. (3) 소음인이 초저녁잠이 많다는데 유의성이 있었다. (4) 태음인이 전체비만에서 유의성이 있었고 소음인에서는 복부비만과 하체비만에 유의성이 있었다.

  • PDF

65세 이상 노인에서 식습관, 영양소 섭취 및 질병 양상에 관한 연구(I) (A Study on the Food Habits, Nutrient Intake and the Disease Distribution in the Elderly (Aged over 65 Years)(I))

  • 김연경;이혜옥;장린;조여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16-52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od habits, nutrient intake, and disease distribution in the elderly (aged over 65 years). The correlation of diseases with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nutrients was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of blood parameters with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nutrient intake was also studied. The results are as follow: 1) Most elderly men (68.6%) and women (81.6%) had more than three diseases. The food habits of the elderly women were worse than those of the men. Their intake of protein, calcium, iron, vitamin A, and vitamin $B_2$ were lower than the RDA for those particular nutrients.2) The incidence of gastritis (51.2%) , fatty liver (46.4%) , and hypertension (45.2%) were the highest among elderly men and women. 3) Anemi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dy weight. Hypercholesterolemi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fa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ake of calcium, vitamin A, and vitamin $B_2$ . Hyperten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cohol consumption. 4) Bloo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nt ideal body weight (% IBW) . Blood hemoglobi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 (BMI) .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 IBW and BMI. Blood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ake of iron, vitamin A, vitamin $B_2$, and cholesterol,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nsumption of alcohol. Blood hemoglobi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ake of total calories, carbohydrates, fat, protein, iron, vitamin $B_2$, phosphorus, cholesterol, salt, and alcoh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