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st Curing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5초

전남 고흥 안동고분 출토유물수습-우레탄 붕대와 변성폴리이소프렌수지를 이용한 수습방법 중심으로 (The report on the field conservation treatment for excavated relics at the YanDong Tomb in Goheung)

  • 함철희;김지영;황진주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7호
    • /
    • pp.215-226
    • /
    • 2006
  • In the field conservation treatment, it is important that the method chosen to lift an object out of the ground depends on its surrounding weather, strength, size, composition, and condition. This paper describes a physical support(Urethane bandage, De naturation - polyisoprene resin) created for lifting delicate relics in this field. The advantage of Urethane bandage method is of conveniently portable size, and it's convenient for use, while curing time is very fast.(approx. 5~10minute)Denaturation -polyisoprene resin is able to be soft by the hot water(approx. $60^{\circ}C$ ). so it's good to stick to the relic surface of an indeterminate form. The results of use of these reinforcement methods are of utility value.

  • PDF

콘크리트 수조에 적용되는 폴리우레아 방수방식 공법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시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Test Method of Polyurea Waterproofing System Applied to the Concrete Water Tank)

  • 도광구;송제영;김병일;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13
    • /
    • 2020
  • Construction projects and buildings are becoming taller and larger, and the size of water tanks of production facilities and high-rise buildings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Most large water tanks apply a waterproofing layer to the water tank type concrete structure. The application of polyurea coating materials, which are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physical performance, rapid hardening, and workability is gradually increasing as waterproofing and anticorrosion layer for water tank. As a result, defects such as water leakage and damage to the waterproofing layer are continuously occurring, causing production disruption, setback to user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view suitability through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waterproofing and anticorrosion system.

  • PDF

친환경 폴리올을 이용한 광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합성 (Syntheses and Characterization of UV-curable Polyurethane Acrylates with Eco-friendly Polyols)

  • 이봉;김영우;이원기
    • 접착 및 계면
    • /
    • 제20권4호
    • /
    • pp.140-145
    • /
    • 2019
  • 환경적 관점에서 고분자필름이나 코팅제 산업계에서 이산화탄소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저감은 가장 중요한 이슈 중의 하나이다. 광경화 시스템은 용제를 사용치 않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방출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빠른 경화로 인한 에너지 소모가 적은 잇점이 있다. 또한, 생분해성 고분자는 거대한 폐플라스틱의 발생을 고려하면 환경적으로 경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락타이드 다이올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폴리올로하여 광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고 자외선에 의해 말단의 아크릴레이트 그룹의 경화반응을 진행하였다. 경화된 필름의 인장강도, 파단율 및 Tg는 폴리락타이드 다이올의 함량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고 친수특성과 열정안정성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함량과 비례하였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폴리올의 함량 조절로 광경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물성이 조절 가능하였다.

속경화용 탄소섬유/에폭시 프리프레그의 다단 압축 성형기술 (Multi-stage Compression Molding Technology of Fast Curing CF/Epoxy Prepreg)

  • 곽성훈;문지훈;홍상휘;권순덕;김병하;김태용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5호
    • /
    • pp.269-276
    • /
    • 2021
  • 프리프레그 압축성형(PCM, Prepreg Compression Molding) 공정은 고품질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고속성형기술이다. 오토클레이브 공정에 비해 폐기물 발생이 적고 사이클타임을 크게 줄일 수 있어 항공우주 및 자동차 산업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M 공정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프리프레그의 경화거동을 따라 프레스의 압축압력을 단계별로 증가시키는 성형법에 대해 연구하였고, 이러한 다단 압축 성형법이 우수한 품질의 CFRP 제품을 생산하고 사이클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좋은 수단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온에서 적층한 프리프레그를 금형에 투입하여 예열과 성형을 동시에 함으로써 별도의 예열 공정 없이 제품을 성형할 수 있었다. 또한 평판 성형에 최적화된 공정조건을 3차원 형상물에 동일하게 적용한 결과 외관상 평판과 유사한 제품을 공정조건 수립 과정 없이 만들 수 있었다.

이온빔 조사된 저온 소성 인듐 아연 산화막을 이용한 액정의 고속 스위칭 특성 연구 (Fast liquid crystal switching performance on indium zinc oxide films with low curing temperature via ion-beam irradiation)

  • 오병윤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904-909
    • /
    • 2019
  • $100^{\circ}C$에 소성한 인듐 아연 산화막 (IZO)을 이온빔 처리하여, 균일할 수평 액정 배향을 구현하였다. 유리 기판 위에 코팅된 IZO 박막을 $100^{\circ}C$에 소성하고 액정 배향 기술로 이온빔을 사용하였다. 이것을 이용하여 얻어진 액정 배향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편광 현미경과 결정 회전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온빔 처리된 IZO 박막을 이용하여 만든 액정 셀이 높은 품질의 액정 소자에 충분한 열적 안정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전계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이온빔의 IZO 박막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것을 통하여 이온빔이 IZO 박막 표면의 거칠기를 변화시키고, 액정 배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IZO 박막으로 제작한 액정 셀의 전기-광학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것이 기존에 사용되는 러빙법 처리된 폴리이미드 박막으로 제작한 액정 셀보다 뛰어난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액정 고정 에너지를 측정하여 이것이 균일한 액정 배향을 구현하기 위한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조용 집성재 제조용 접착제(Phenol-Resorcinol-Formaldehyde Resin) 유전 가열을 위한 고주파 전기장 세기 추산 (Estimation of Radio Frequency Electric Field Strength for Dielectric Heating of Phenol-Resorcinol-Formaldehyde Resin Used for Manufacturing Glulam)

  • 양상윤;한연중;박용건;엄창득;김세종;김광모;박문재;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339-345
    • /
    • 2014
  • 집성재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주파 가열 경화기술에 대해 연구하였다. 고주파가 유전체에 가해지면 내부에서 에너지 손실에 의한 발열이 발생한다. 집성재를 구성하는 라미나와 접착제는 유전체이므로 집성재에 고주파를 주사하면 내부에서 발열이 발생한다. 집성재 제조에 이용되는 대부분의 상온 경화형 접착제는 고온에서 빠른 경화가 이루어지므로 고주파 가열 기술을 이용하면 집성재 내부 접착층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빠른 경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엽송재와 phenol-resorcinol-formaldehyde (PRF) 접착제의 유전 특성을 평가하고, 집성재 내부의 접착층의 빠른 경화를 유도하는 고주파 가열 경화 기작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온도상승인자인 PRF 접착제의 상대손실계수가 낙엽송재의 상대손실계수에 비해 높았으나, 온도상승저해인자인 밀도와 비열도 높았다. 그러나 상대손실계수의 비율이 온도상승저해인자의 비율보다 높기 때문에 고주파 가열에 의한 발열량은 접착제에서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이용한 이론적 접근을 바탕으로, 접착층이 목표온도까지 상승하기 위한 ISM 영역의 고주파 주파수 별 전기장의 상대 세기를 추정하였다.

Benzophenone 가교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개질 (Modification of Water-borne Polyurethane Using Benzophenone Crosslinker)

  • 김혁진;김진철;장상목;서봉국
    • 공업화학
    • /
    • 제27권2호
    • /
    • pp.221-226
    • /
    • 2016
  • 산업전반에서 생체 무해한 친환경 물질 생산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히 코팅 공정에서 작업자의 안전 보호를 위해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지난 20년 동안 수분산 폴리우레탄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수분산 폴리우레탄이 유기용매를 사용한 우레탄 대용으로 점차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수분산 폴리우레탄은 유기용매를 기반으로 한 우레탄에 비해 분자량 증가에 한계가 있어 기계적 물성이 좋지 못하여 그 응용에 제약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분자 블랜드 그리고 열 및 광 가교 등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이들 방법 중 광 가교 시스템은 높은 결합밀도와 빠른 경화속도로 인해 산업화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nzophenone 광가교제를 도입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30일 동안 우레탄 입자가 물에서 분산 안정성을 보이고 빛 경화 후 Tg와 Td가 $5^{\circ}C$ 이상 증가하고 영률이 2배 이상 증가된 뛰어난 필름을 합성할 수 있었다.

자동차용 탄소 연속섬유 복합재 선루프 프레임의 개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Carbon Continuous-fiber Composite Frame for Automotive Sun-roof Assembly)

  • 김진봉;김경덕;김성진;신동완;김덕기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350-359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a new holistic development approach for the carbon continuous-fiber composite frame of an automotive sunroof assembly. The original steel frame has been designed to get higher bending stiffness with its corrugated cross-sectional shape. The new approach uses the prepregs of a fast cure epoxy and PCM manufacturing processing. For higher productivity, the new frames feature a very simple plat cross sectional shape but achieve high bending stiffness through the laminate design. The sandwich structure with a PET foam core was presented. The frames were made of carbon UD laminae covered single carbon fabric on the outer surfaces. The fabrics provide torsional stiffness and also hold the carbon UD fibers floating in the low viscous epoxy resin of prepregs at the curing temperature during processing. The final product yields approximately 18 % savings in weight compared with the original.

개선된 회전형 레올로지 측정법을 이용한 박형 반도체 패키지 내에서의 3차원 몰드 유동현상 연구 (Full Three Dimensional Rheokinetic Modeling of Mold Flow in Thin Package using Modified Parallel Plate Rheometry)

  • 이민우;유민;유희열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3년도 기술심포지움 논문집
    • /
    • pp.17-20
    • /
    • 2003
  • The EMC's rheological effects on molding process are evaluated in this study. When considering mold processing for IC packages, the major concerning items in current studies are incomplete fill, severe wire sweeping and paddle shifts etc. To simulate EMC's fast curing rheokinetics with 3D mold flow behavior, one should select appropriate rheometry which characterize each EMC's rheological motion and finding empirical parameters for numerical analysis current studies present the new rheometry with parallel plate rheometry for reactive rheokinetic experiments, the experiment and numerical analysis is done with the commercial higher filler loaded EMC for the case of Thin Quad Plant Packages (TQFP) with package thickness below 1.0 mm.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simulation results based on new rheometry matches well in point of the prediction of wire sweep, filling behavior of melt front advancement and void trapping position.

  • PDF

전사방식 광조형 시스템의 해상도 최적화를 통한 출력물의 정밀도 향상 (Accuracy Improvement of Output in Projection Stereolithography by Optimizing Projection Resolution)

  • 김영흠;김규언;이치범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10-717
    • /
    • 2015
  • Projection stereolithography is an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that uses beam projection to cure the photo-reactive resin used. The light source of a cross-section layer-form illuminates photo-curable resin for building a three-dimensional (3D) model. This method has high accuracy and a fast molding speed because the processing unit is a face instead of a dot. This study describes a Scalable Projection Stereolithography 3D Printing System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stereolithography. In a conventional projection 3D printer, when printing a small sized model, many pixels are not used in the projection or curing. The proposed system solves this problem through an optical adjustment, and keeps using the original image as possible as filling the whole projection area. The experimental verific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maintain the highest level of precision regardless of the output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