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rmer's Syndrom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초

농부증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Farmers Syndrome)

  • 김은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817-825
    • /
    • 2002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farmer's Syndrome in farmers in Korea. Method: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38 farmers who lived in 8 agricultural districts in Seosan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0 to May 5, 2002. Results: The prevalence of the farmer's Syndrome was 42.6%, and its prevalence rate in woman was higher than that in man. The prevalence of the farmers syndrome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advanced age. Variables tha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armer's syndrome were age, duration of farming, days of resting, and the number of the agricultural chemical's poisoning. On the other hand, variables tha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armers syndrome were smoking, sleeping hours, economic condition, and level of educational. In a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armers syndrome were age, sex, sleeping hours, days of resting, and the number of the agricultural chemical's poisoning, which accounted for 25%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older age and woman gender are the remarkable risk factors influencing the farmer's syndrome. Sleeping hours, days of resting, and the number of the agricultural chemical's poisoning were also the significant attributable variables to the farmers syndrome.

  • PDF

도시근교지역 농작업자들의 농부증과 피로자각증상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Farmer's Syndrome and Fatigue Symptoms Among Farmers in Suburban Area)

  • 임금옥;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156-2169
    • /
    • 2012
  • 본 연구는 도시근교에서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농부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농작업 관련 특성에 따른 농부증 및 피로자각증상 실태를 파악하고, 농부증과 피로자각증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 대상은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D광역시 근교의 4개 동에서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2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1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농부증 분포는 "농부증 음성"이 18.2%, "농부증 의심"이 47.6%, "농부증 양성"이 34.1%이었다. 농부증은 피로자각증상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피로자각증상이 정상인 군에 비해 고위험 피로군군에서 농부증에 속할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농부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학력, 외래진료 및 입원경험유무, 피로자각증상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특히 피로자각증상은 농부증에 독립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농부증이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뿐만 아니라 피로자각증상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피로자각증상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건강관련행위 특성과는 독립적으로 농부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농부중의 정신적 원인에 대한 연구 (Psychiatric Factors Associated with Farmers' Syndrome)

  • 박태진;이가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2권1호
    • /
    • pp.49-59
    • /
    • 1997
  • Backgrounds : There has been many studies investigating the causes of farmers' syndrome. In some studies, psychologic stress is related to farmer's syndrome. And the diagnostic criteria of farmer's syndrome is similar to those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o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psychiatric causes of farmers' syndrome. Methods : This study was done in some rural and urban areas of Kyoungsangnam Province, July, August, October and November of 1996. Those who came to free medical service and completed interview, medical examination and laboratory examination and 20-59 years old were 150 persons. And those who came to health center for health examination and completed only interview and 20-59 years old were 94 person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 risk factors, farmer's syndrome, work load, BEPSI(inventory to measure stress),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elf-rating depression scale. To exa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we used X2-test, Mantel-Haenszel test for linear association, t-test, ANC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The prevalence of farmer's syndrome, adjusted for age and sex with population of Kyungsangnam Province of 1993 was 208 per 1,000(90 per 1,000 in men and 329 per 1,000 in women). In bivariate analysis, farmer's syndrom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sex, job, income, smoking, alcohol drinking, work load, BEPSI, state anxiety, trait anxiety, depression, body mass index, Hwa-Byung, hypertension, anemia. However, when age and sex were adjusted, job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farmer's syndrome. The score of farmer's syndrom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sex, work load, BEPSI, trait anxiety by multiple regression. Farmer's syndrom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creasing age(odd ratio 1.079, 95% C.I. 1.060 - 1.099), sex(odds ratio of male 0.434, 95% C.I. 0.349 - 0.540), and BEPSI(odds ratio 1.231, 95% C.I. 1.148 - 1.320) by logistic regression.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mponent symptoms of farmer's syndrome were as follows. Shoulder stiff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creasing age, female sex and BEPSI. Lumbago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creasing age, female sex and trait anxiety. Numb limbs and nocturia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creasing age and female sex. Breathless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work load, sleepless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dizzi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and state anxiety, and abdominal full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female sex. Conclusion : Farmers' syndrome was related to work load, but was more related to psychiatric factors such as BEPSI and trait anxiety. And the occupation was not risk factor of farmers' syndrome in this study, so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farmers' syndrome.

  • PDF

충주지역 전업농민의 농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rmer's Syndrome in Choongju Area)

  • 장성훈;이건세;이원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3권1호
    • /
    • pp.15-26
    • /
    • 1998
  • To find the prevalence of the Farmer's syndrome and the related factors, we investigated 909 farmers who and older than 30 years and live in Choongju area. The farm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with a questionnaire from July 18 through 31, 1997.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evalence of Farmer's syndrome was 21.0% in male and 45.1% in female. The age prevalence of Farmer's syndrome was higher in thirties and forties than fifties and over sixties in both sex. Farmer's syndro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ow educational status, low income, low family members and more than 20 years of farming group. However, Farmer's syndro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n smoking and non alcohol intake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moking and alcohol intake after stratification by sex. The most frequent symptom in male was lumbago(60.5%), the second was numb limb(49.8%), the third was shoulder stiffness(43.2%) and the fourth was dizziness(31.5%). In female,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lumbago(81.3%), the second was numb limb(70.2%), the third was dizziness(62.2%) and the fourth was shoulder stiffness(55.9%). All of these four symptoms a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than in male. Wit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for Farmer's syndrome, sex(OR of female=3.3) number of family(OR of <=1.9) and duration of farming(OR of $\geq$2.0 yr=1.5) wer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variables.

  • PDF

일부 농촌주민의 농부증 및 농기계사고 (Farmer's Syndrome and The Accidents Due to Agricultural Machines of Some Rural Residents)

  • 김병성;전해정;차인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8권1호
    • /
    • pp.93-102
    • /
    • 1993
  • The symptoms of farmer's syndrome that occurred to Korean farmers are due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griculture, and the basic reasons are poverty and less-privileged rural cultural life originated from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The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farmer's syndrome of farmers and to get substantial data to make a strategy that could prevent disea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ost common symptom was lumbago(83.0%) among the 7 kinds of symptoms of farmer's syndrome. And it was more common among women who deliver babies and also work house chores and 10 farms than men(p<0.05). 2. The numbers of symptoms of farmer's syndrome increased as age increases and, 71.4% of those aged 70-79 complained some of the symptoms. 3. The accident rate due to agricultural machi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n than women(p<0.05). By frequency contusion was the most common trauma, fall, fracture were the nexts, and the age group with highest accident rate(40%) was those aged 20-29. 4. To see the significantly correlated factors between faemer's syndrome and sociodemo graphic variables, the more the numbers of family members were, the more lumbago and the less heartburn occurred. And the less gross income was the more frequent nocturnal urinary frequency occurred, and the wider the farming land was the more frequent noctural urinary frequency occurred. 5. As result of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numbers of illnesses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larger the family was and the larger the farming land was the more illnesses the subjects had, and those without spouses had more illnesses.

  • PDF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 rural population

  • Joo, Yosub;Roh, Sangchul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31권
    • /
    • pp.18.1-18.8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 rural popula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43 farmers from Chungcheongnam-do Province us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for depression, Lubben Social Network Scale (LSNS) for social support, Swedish Q16 for neurotoxicity symptoms and a survey tool for farmer's syndrome. Results After adjusting for socioeconomic factor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oor self-rated health, low social support and neurotoxici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depression (odds ratio [OR], 15.96; 95% confidence interval [CI], 3.11 to 81.97; OR, 3.14; 95% CI, 1.26 to 7.82; and OR, 3.68; 95% CI, 1.08 to 12.57, respectively). The risk of suicidal ide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low social support, neurotoxicity and farmer's syndrome (OR, 2.28; 95% CI, 1.18 to 4.40; OR, 6.17; 95% CI, 2.85 to 13.34; and OR, 3.70; 95% CI, 1.51 to 9.07, respectively). Conclusions Given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programs which can improve the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s of farmers. Also, when farmers have neurological symptoms from pesticide exposure and characteristic symptoms of farmer's syndrome, a monitoring system for depression and suicide must be made available.

근골격계 위험요인이 농부증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f Effects of Musculoskeletal Risk Factors on Farmer's Syndrome)

  • 박재범;이경종;이세휘;김종구;정호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1호
    • /
    • pp.11-21
    • /
    • 2000
  • 농부들의 근골격계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농부증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농촌지역 3개 면(面)에서 30세 이상 농부 97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사항, 근골격계 위험인자, 농부증 증상에 대한 면접 설문조사와 혈압검사, 임상검사를 실시하였다. 근골격계 위험인자 9항목 중 6개 이상 해당하는 농민들을 근골격계 고위험군, 해당항목이 5개 이하인 농민들을 저위험군으로 선정하여 농부증 증상과 임상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근골격계 위험인자 중 가장 농민들이 많이 호소한 인자는 반복 동작, 허리를 굽히 자세, 빠른 동작 순이였다. 전체 연구 대상자의 농부증 양성률은 28.9%였으며 남자의 농부증 양성률은 16.4%, 여자의 양성률은 45.2%로 나타나 여자의 농부증 양성률이 남자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근골격계 고위험군의 농부증 점수는 5.9점, 저위험군은 4.4점으로 유의학게 고위험군이 높아 농부증에 근골격계 위험인자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농부증 증상 중 가장 흔한 증상은 요통으로 76.3%의 농민이 호소하고 있었으며, 수족 감각둔화(54.6%)와 어깨결림(54.6%) 순으로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이 높았다. 농부증 근골격계 증상은 어깨결림이 고위험군에서 62.2%, 저위험군이 43.2%로 수족 감각둔화가 고위험군이 62.3%, 저위험군이 45.5%로 의미있게 고위험군의 유병률이 높으나 요통은 고위험군이 77.4%, 저위험군이 75.0%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농부증 점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근골격계 위험도, 성, 연령, 음주 여부, 흡연 여부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골격계 위험도와 성이 유의한 독립변수로서 작용하였다. 혈압검사와 임상검사에서는 두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근골격계 위험인자는 농부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에 관한 인간 공학적인 평가와 개선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일부 농촌지역 비닐하우스 재배자들의 농부증 실태와 관련요인 (A Study on Farmer's Syndrome and Its Risk Factors of Vinyl House Worker and Farmer in a Rural Area)

  • 이인배;이연경;장성실;이석구;조영채;이동배;이태용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4권1호
    • /
    • pp.13-33
    • /
    • 1999
  • 충청남도 청양군의 2개면 14개리에 거주하는 비닐하우스 재배자 177명과 일반 농민 213명을 대상으로 1998년 2월 24일부터 3월 15일까지 피로도, 주관적 건강상태, 농부증과 이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로도는 비닐하우스 재배자와 일반 농민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p<0.01), 교육수준이 낮을수록(p<0.01), 8시간 미만의 수면시간 (p<0.05), 비흡연자, 비음주자에서 피로도가 높았고, 연령, 식생활습관, 체질량지수는 관계가 없었다. 작업환경은 비닐하우스 재배자에서 총농사기간(r=0.159, p<0.05), 일반 농민은 총경작면적(r=-0.143, p<0.05)과 농작업동반가족수(r=-0.136, p<05)에서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주관적 건강상태는 비닐하우스 재배자와 일반 농민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p<0.01),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p<0.01), 8시간 미만의 수면시간(p<0.05), 비흡연자에서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연령, 음주, 식생활습관, 체질량지수, 작업환경은 관련성이 없었다. 3. '농부증 있음'은 비닐하우스 재배자 49.2%, 일반 농민 52.1%로 비슷하였으며, 성별로 비닐하우스 재배자와 일반 농민 모두 여자에서 57.0%, 58.8%로 남자 37.1%, 40.3%보다 높았다(p<0.01). 교육수준은 비닐하우스 재배자의 경우 무학 58.1%, 초등학교 50.0%, 중졸 이상 36.1%로 학력이 낮을수록 높았고(p<0.01), 일반 농민도 각각 56.3%, 51.0%, 33.3%로 같은 경향이었다(p<0.01). 흡연과 음주여부는 비닐하우스 재배자의 경우 비흡연군과 비음주군에서 높았으나, 일반 농민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체질량지수도 비닐하우스 재배자의 경우 세장형 57.1%, 비만형 63.9%로 정상형 42.5%보다 높았으나(p<0.05), 일반 농민은 차이가 없었다. 4. 농부증의 위험요인에 대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성별, 수면시간이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남자를 기준하였을 때 여자의 교차비는 2.53(p<0.01), 수면시간 8시간 미만을 기준하였을 때 8시간 이상은 0.74로(p<0.01), 여자에서 발생위험이 높았고, 수면시간이 8시간 이상일수록 발생위험은 낮아졌다. 5. 비닐하우스 재배지와 일반 농민에서 많이 호소하는 주관적 신체증상은 '등이 결리거나 허리가 아파서 일하기가 어렵다.' '팔과 다리가 몹시 쑤시고 아픈 일이 있다', '손발이 저리거나 찌릿찌릿 하다'. '팔과 다리에 통증이 있어서 불편하다' '손의 힘이 전에 비해 약해졌다'에서 과반수 이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비닐하우스 재배자에서 일반 농민보다 많은 증상은 '피부의 일부분이 검게 변하였다'. '습진이나 무좀 등이 피부질환이 있다', '치질로 고생한 일이 있다'였다. 6. 대응분석 결과 비닐하우스 재배자는 피부계 질환이 높게 관찰되었으며, 남자는 소화기계 장애나 기타 질환, 여성에서는 내분비질환, 근육계통의 질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농부증도 일반 농민과 여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피로도, 주관적 건강상태, 농부증도 비닐하우스 재배자와 일반 농민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주로 농사와 노동일을 병행하는 여성에서 많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도 증가하는 경향을 감안하면 추후 농촌의 노령환된 여성들에 대한 중점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작업환경의 차이에 의하여 비닐하우스 재배자에서만 나타나는 미약하지만 특징적인 증상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관리의 필요성이 있다.

  • PDF

일부 농촌지역 비닐하우스 농사자들의 작업환경 및 농부증 실태와 관련요인평가 (A Studs on Farmers Syndrome and Its Risk Factors of Vinylhouse Workers and Evaluation of Risk Factors of Vinylhouse Works)

  • 이중정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1호
    • /
    • pp.101-119
    • /
    • 2004
  • 비닐하우스 농사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비닐하우스 작업에서 문제가 되는 유해 환경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4년 4월 8일부터 18일까지 11일간에 걸쳐 경상북도 고령군 1개 읍, 7개면 지역의 비닐하우스 농사자 102명 및 일반 농사자 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이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아울러 비닐하우스내의 기중, 토양중 중금속 측정 및 기온, 기습, 기류, 유해가스 등을 측정하였다. 비닐하우스내의 고온환경을 측정한 결과 흐린날임에도 불구하고 한낮의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는 $33.4^{\circ}$나 되었으며,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16^{\circ}$ 정도를 보였다. 산소농도는 내부와 외부에서 비슷하였으며, 이산화탄소는 내부에서 농도가 낮았다. 일산화탄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8개의 비닐하우스 내부의 공기중, 카드뮴은 검출되지 않았고, 토양내 납 농도는 표토에서 모두 오히려 하우스 주변의 농지에 비해 농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카드뮴은 일부 지 점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농도를 보였다. 남자 비닐하우스 재배자에서 농부증 양성자는 16.4%, 의심자는 49.2%였으며, 여자 비닐하우스 농사자의 경우 농부증 양성 및 의심인 경우가 41.5%, 46.3% 였다. 남자 일반 농사의 경우는 농부증 양성자가 30.4%였으며, 여자 일반 농사자의 경우 농부증 양성자가 60.0%, 의심자가 28.3% 였다. 고혈압 및 간기능이상의 분포는 비닐하우스 농사자와 일반 농사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당뇨유병율은 일반 농사자에서 높았다. 농부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비닐하우스 재배, 성, 일일 농사시간이 유의한 변수로 채택되었는데 비닐하우스 농사자에서 일반 농사자에 비해 오히려 농부증 양성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비차비: 0.304, 95% 신뢰구간: 0.118-0.975), 여자에서 남자보다 양성율이 더 높은 것으로 니타났으며(비차비: 9.376, 95% 신뢰구간: 2.457-35.782), 일일 농사시간이 10시간을 초과하는 농사자에서 그 이하 시간의 농사자보다 농부증 양성율이 높았다(비차비: 4.053, 95% 신뢰구간: 1.460-11.253). 비닐하우스 농사자 중 농사를 지은 총기간, 농사면적, 하루 평균 농사짓는 시간, 같이 농사를 짓는 가족수, 농약 살포횟수 등의 농작업 관련 변수와 농부증 분포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농약을 직접 살포하는 사람중 마스크, 방제복 착용과, 개인위생과도 농부증 분포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농부병 분포별로 혈중 납농도와 요중 카드뮴 농도, 혈청 콜린에스테라제, 혈색소치의 차이는 없었다. 비닐하우스 농사자에서 여자에서 남자보다 농부증 양성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비차비: 89.042, 95%신뢰구간: 4.357-1819.511), 일일 농사시간이 10시간을 초과하는 농사자에서 그 이하 시간의 농사자보다 농부증 양성율이 높았다(비차비: 5.312, 95% 신뢰구간: 1.280-22.054). 또한 하루평균 수면시간이 8시간 이상인 군이 8시간 미만 수면군에 비해 양성율이 낮았다(비차비: 0.281, 95% 신뢰구간: 0.081-0.978). 결론적으로 비닐하우스 내의 물리적 환경은 유해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화학적 환경의 경우 유해성의 큰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비닐하우스 농사자에서 일반농사자보다 농부증 및 고혈압, 당뇨, 간기능 이상 등의 만성병 유병률이 높지 않게 나타났으며, 비닐하우스 농사자에서 농사시간이 길수록, 수면시간이 충분치 못한 경우 농부증 유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부 농민들의 농업관련 질환 및 사고 (Accident and Disease Related to Agriculture in a Rural Korea)

  • 김두희;정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3권1호
    • /
    • pp.39-49
    • /
    • 1998
  • This paper is conducted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farmers's syndrome and injuries due to agricultural machines and pesticides by questionnaire during 4 days from July 31 to August 2, 1996. The subjects were 706 people, 332 of men and 384 of women those who live in a rural area in Yungduk-gun, Kyungsangbuk-do, Korea.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 1. The rate of farmer's syndrome like that shoulder pain, lumbago, numbness, nocturia, dyspnea, insomnia dizziness and abdominal pain were generally higher in women than men except shoulder pain. Of them, lumbago was highest, 61.2% in men, and 78.1% in women respectively. It was higher in rate and older in age. 2. In the score of farmer's syndrome classified by Kumagai(1943) in Japan, the suspected cases with three points over 60.6% in men and 81.8% in women. 3. The prevalence of injuries by agricultural machine was 31.2% for a year from August 1995 to July 1996. The cumulative rate was 6.66%(11.8% in men and 2.34% in women) with previous cases from the before years. The major sites of injuries were arm, leg and chest in order. Among the injuries cases, 55.32% had been physical impediment. 4. The experience rate of intoxication by pesticides was 24.9% to total subjects. And dermatologic sign was 7.0%. Experience of treatment with only one time was 60.0%, and that with five times over, 20.0% Of them 18 cases had been administered in hospit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