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Effects of Musculoskeletal Risk Factors on Farmer's Syndrome

근골격계 위험요인이 농부증에 미치는 영향

  • Park, Jae-Beom (Department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
  • Lee, Kyung-Jo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
  • Lee, Se-Wi (Department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
  • Kim, Jong-Goo (Department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
  • Chung, Ho-Keun (Department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effects of musculoskeletal risk factor on farmer's syndrome. We sampled 97 farmers aged above 30 in 3 villages of Kyunggi-do.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general characteristics, farmer's syndrome, musculoskeletal risk factor, blood pressure, and laboratory 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score of musculoskeletal risk factor, we divide the subjects high risk group and low risk group. The most common musculoskeletal risk factor is repetitiveness, bending of waist and rapid movement in order. The prevalence of farmer's syndrome of all subjects is 28.9%. In female the prevalence of farmer's syndrome(45.2%) is higher than in male(16.4%) significantly. High musculoskeletal risk group had higher score of farmer's syndrome(5.9) than low musculoskeletal risk group(4.4). The most common symptom is lumbago(76.3%), the second was numb limb and shoulder stiffness(54.6%, 54.6%). The prevalence of numb limb and shoulder stiffness higher in high musculoskeletal risk group than low musculoskeletal risk group, but that of lumbago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near regression, score of farmer's syndrome was related to musculoskeletal risk factor as well as gender. Blood pressure and laboratory tes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sculoskeletal risk factor would influence farmer's syndrome. Further ergonomic evaluation and intervention of farmer's works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are needed.

농부들의 근골격계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농부증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농촌지역 3개 면(面)에서 30세 이상 농부 97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사항, 근골격계 위험인자, 농부증 증상에 대한 면접 설문조사와 혈압검사, 임상검사를 실시하였다. 근골격계 위험인자 9항목 중 6개 이상 해당하는 농민들을 근골격계 고위험군, 해당항목이 5개 이하인 농민들을 저위험군으로 선정하여 농부증 증상과 임상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근골격계 위험인자 중 가장 농민들이 많이 호소한 인자는 반복 동작, 허리를 굽히 자세, 빠른 동작 순이였다. 전체 연구 대상자의 농부증 양성률은 28.9%였으며 남자의 농부증 양성률은 16.4%, 여자의 양성률은 45.2%로 나타나 여자의 농부증 양성률이 남자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근골격계 고위험군의 농부증 점수는 5.9점, 저위험군은 4.4점으로 유의학게 고위험군이 높아 농부증에 근골격계 위험인자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농부증 증상 중 가장 흔한 증상은 요통으로 76.3%의 농민이 호소하고 있었으며, 수족 감각둔화(54.6%)와 어깨결림(54.6%) 순으로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이 높았다. 농부증 근골격계 증상은 어깨결림이 고위험군에서 62.2%, 저위험군이 43.2%로 수족 감각둔화가 고위험군이 62.3%, 저위험군이 45.5%로 의미있게 고위험군의 유병률이 높으나 요통은 고위험군이 77.4%, 저위험군이 75.0%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농부증 점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근골격계 위험도, 성, 연령, 음주 여부, 흡연 여부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골격계 위험도와 성이 유의한 독립변수로서 작용하였다. 혈압검사와 임상검사에서는 두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근골격계 위험인자는 농부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에 관한 인간 공학적인 평가와 개선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