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friendly Cultur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6초

직무 소진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 조직인식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Job Burnout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A Moderating Effect of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 Perception)

  • 김정선;이근찬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45-161
    • /
    • 2019
  • Objectives: Work-Family Balance (WFB) is a significant social issue in Korea. We examined the effects of employees' burnou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s by deter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in firefighter's organization. Methods: To test the hypothesis, data were collected from firefighters who are working at five fire stations in Deajeon and Chungnam province. Based on quantitative survey from 489 respond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job burnout had a negative effect on both organizational commitment (OC)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OCB).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 Perception (FSOP) nega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OCB.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FSO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OC. Conclusions: This study raises the importance of creat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gives its members a belief that the organization guarantees and supports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건강가정지원센터의 1인 가구 대상 프로그램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program models for single households in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s)

  • 송혜림;윤소영;고선강;강은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2호
    • /
    • pp.1-15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program models for single households in the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s. Data from seven female and seven male single households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demand for a program that both provides feeling safe and is self-caring came to the fore. Additionally, many respondents wanted to participate in programs with families. Second, the aspects of professional quality, diversity, and systematic management were mentioned as the strengths of programs in the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s. Third, three program models were drawn up, as follows: The first model was a five-part program model like the current program settings of the Healthy Families Center. Those were sharing-caring, education, counselling, family-friendly culture, and community networking. The second model was a program for family relationships. The third was for joining programs with others. For the detailed program, a manual needs to be proposed, and the staff members who handle the programs for single households in the center will need to be retrained.

독일의 일·가정 양립정책과 민간 기업의 참여 (Work-Life Balance Policies in Germany and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Companies)

  • 남현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729-736
    • /
    • 2023
  • 전통적으로 성별분업에 의한 남성 생계부양자모델을 추구해온 보수주의 복지국가 독일은 오랜 기간 현금급여 중심의 경제적 지원을 통해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2007년 독일 정부는 "시간정책, 이전소득 및 인프라의 혼합"이라는 슬로건 아래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을 시작하였다. 독일에서 저출생 문제가 국가문제로 부상하자 정부뿐 아니라 민간 기업도 가족친화적 인사정책과 근로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출산율 향상에 기여해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민간 기업은 인력 확보와 이직 예방을 목적으로 법적 의무를 넘어 자발적으로 가정친화적 근로환경을 개선해나가고 있다. 독일의 출산율은 2023년 현재 유럽 평균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어 정부의 일·가정 양립정책과 민간 기업의 참여가 출산율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한국의 일·가정 양립 정책 개선 방안으로 아버지의 육아 동참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전환, 남성 육아휴직의 의무화, 출산 후 여성의 고용 보장, 돌봄시설 확충 그리고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모(母)의 로하스 라이프스타일 태도가 친환경식자재 구매 및 건강식생활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n a Healthy Dietary Life and Purchase of Environmental-Friendly Food Materials According to Mother's LOHAS Lifestyle Attitudes)

  • 이연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08-718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healthy dietary life and purchase of environmental-friendly food materials according to a mother's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LOHAS) attitudes. The subjects consisted of 295 mother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ther's LOHAS attitude index averaged 3.39 points out of 5 points. High LOHAS attitude items were "I participate actively in separating the trash collection" (4.16 points), and "I recycle dresses that I do not wear by taking them to the recycling center" (4.08 points). In contrast, LOHAS attitude items for "I do community service activity on the weekend" (2.57 points), and "I try to serve in the local community" (2.63 points) scored very low. A high LOHAS behavior index occurred for mothers who were "resource saving", whereas "social welfare" scored low. Mother's intention to purchase environmental-friendly food materials averaged 3.61 points. Mother's health dietary life attitude score averaged 3.52 points. When age, monthly income, and the environmental-friendly food materials purchase ratio of the mother was high, the health dietary life performance was high. The LOHAS attitude index of mothers had an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food materials in resource saving and environmental-friendly oriented propensity groups. The LOHAS attitude index of mothers impacted healthy dietary life in environmental-friendly, family and health oriented propensity groups.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불편함이 추가가격 지불 의향에 미치는 영향 및 제품군 관여의 조절효과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consumers' psychological discomfort regarding eco-friendly products on their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pric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ategory involvement)

  • 이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253-259
    • /
    • 2024
  • 소비자 관점에서 친환경 소비는 여전히 다양한 심리적 불편함을 유방할 수 있는 주제로서, 심리적 불현함은 부정적인 소비자 심리 메커니즘을 통해 친환경 소비 의사를 낮추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심리적 불편함이 이들이 해당 친환경 제품에 대해 갖는 추가가격 지불 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했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소비자의 제품군 관여가 갖는 조절효과를 분석했다. 총 407명의 미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온라인 설문에 의해 얻어진 소비자 응답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통계적 분석 결과, 친환경 소비에 대해 갖고 있는 사람들의 심리적 불편함의 정도는 이들이 친환경 제품에 대해 갖는 추가가격 지불 의향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심리적 불편함이 추가가격 지불 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은 소비자의 제품군 관여 정도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정교과에서의 저출산.고령사회를 위한 교육과 실천 사례 (Education and Application for low Fertility.Aged Socie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전미경;오경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95-116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하여 가정교과의 역할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가정교과 교육의 내용요소를 찾고, 정부에서 진행 중인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정책에서 가정교과 교육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과 실천방안을 강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 중구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 듣는 '가정'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하기 위하여 가정교과는 선택으로서의 결혼, 가족생활역량의 강화, 건강한 가족문화 형성, 더불어 사는 이웃의 교육내용이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이러한 교육내용은 '결혼 출산 양육에 대한 사회책임 강화', '일과 가정의 양립 가족친화적 사회문화 조성', '건강하고 보호받는 노후 생활 보장' 등의 새로마지플랜2010 사업과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저출산 고령사회 시행 계획에 포함된 '가족 친화 및 효문화 함양 교육 강화', '저출산 고형사회 관련 학교교육 강화', '양성평등 사회 조성 가치관 교육 강화' 등의 내용과 일치하였다. 셋째, 서울 중구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 듣는 가정 수업"을 실시한 결과 참가자들의 긍정정적 반응을 얻었고, 사회교육 현장에서도 중추적 역할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가정교과는 청소년들의 '저출산 고령사회'에 대한 의식을 함양시키고 이에 대한 가치판단과 자기 주도적 해결 능력을 양성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교육이 실천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PDF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출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제도 이용 경험 (Mothers' experiences using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 손서희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7-109
    • /
    • 2017
  • Objectives: While employed mothers' use of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has increased, the contexts that facilitate or hinder mothers' leave policy use have been under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others' experiences of using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Method: Twenty-two mothers with young child under age thre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All 22 mothers used maternity leave and 12 mothers used parental leave. Three main themes were identified: different experiences of maternity leave, experiences of parental leave, and skepticism about the leave policy but with some hope that it will improve. Regarding the mothers' experiences of maternity leave, the mothers thought that maternity leave was easily accessible but some mothers still felt guilty for using maternity leave. They also prepared for their work gap before the leave to avoid harming their colleagues. Accessibility to parental leave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s (i.e., family-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supportive supervisor) and family contexts (i.e., availability of child care from family members, financial issues). The mothers perceived that while parental leave helps working mothers coordinate their family and work life, it is not as accessible as maternity leave in Korea. They suggested extending the maternity leave duration and improving accessibility to parental leave.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support is warranted to help employe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remain in the workforce. This study also has implications for supporting employed mothers' work and family life.

가족문화와 가치관 교육의 관점에서 본 저출산의 원인 및 극복 방안 탐색 (Exploring the causes and overcoming of low fertility in terms of family culture and value education)

  • 전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85-100
    • /
    • 2017
  • 이 연구는 한국사회가 처해있는 저출산의 문제에 대하여 그 원인과 대책을 진단하고 논의하는 과정에서 '가족문화와 가치관'의 중요성을 제기하고자 한 것이다. 아울러 가족문화와 가치관 정립을 위한 교육적 접근의 관점에서 저출산의 원인 및 극복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첫째, 저출산 관련 정책에 대한 평가를 고찰하여 저출산 원인을 재인식, 재평가하고, 둘째, 저출산 관련 가족문화와 가치관의 실태 및 변화를 고찰하며, 셋째, 저출산 대책과 관련된 '교육'의 문제를 쟁점화하여 교육적 개입의 타당성, 개입의 실태, 제도교육에서의 교육내용 검토,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 검증, 교육내용의 구성, 교육적 접근으로 가능한 정책들과 논거 등을 살펴보았다. 저출산의 문제는 현대 한국사회가 갖고 있는 국가사회적 당면 과제로서 그 원인과 대책을 동시에 고려할 때, 경제적인 요인과 더불어 가족문화와 가치관에 대한 요인에 주목하여 볼 필요가 있으며, 이 요인들을 고려한 해결책으로서 성평등하고 가족친화적인 가족문화와 가치관 형성을 위한 교육적 접근을 더욱 강조하여야 한다.

부모의 지원과 조직문화, 결혼지원정책이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al Support,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rriage Support Policies on the Intention of Marriage of Unmarried Workers)

  • 황인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1호
    • /
    • pp.15-34
    • /
    • 2021
  • 본 연구는 미혼직장인의 개인 관련 변인, 부모 관련 변인, 직장 관련 변인, 정책 관련 변인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결혼의향을 상승시키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종속변수인 결혼의향은 결혼의향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경제자원은 월평균소득과 자산총액을 측정하였고, 부모의 지원은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 도구를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직무만족도는 김혜영, 선보영과 김상돈(2010)의 근무만족도 도구를 사용하였고, 가족친화조직문화는 Tomson, Beauvais & Lyness(1999)의 도구 중 방묘진(2004)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결혼지원정책필요성은 김혜영 외(2010)의 도구에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16-2020)'을 추가로 구성해 측정하였다. 측정도구의 적절성 확인을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총 480부 자료를 IBM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혼직장인 결혼의향의 유의미한 차이는 성별, 연령, 교육기간, 자산총액, 부채유무로 나타났고, 부모경제수준과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도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와 직무만족도, 가족친화조직문화에 따른 결혼 의향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정책 관련 변인에 따른 결혼의향 차이는 자금주택정책필요성과 결혼준비정책필요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 관련 변인, 부모 관련 변인, 직장 관련 변인, 정책 관련 변인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과 연령,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이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고, 가족친화조직문화와 자금주택정책필요성도 유의미한 영향력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자금주택정책필요성이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부모의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과 직장의 가족친화조직문화도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 향상에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외국계 IT기업 남녀 신입사원의 생애 전환기 일-생활 균형 기획기획 (Work-Life Balance Designing at Transitional Periods of Life: Focusing New Employees at Foreign IT Companies in Korea)

  • 김선미;이승미;구혜령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2호
    • /
    • pp.75-98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work-life balance designing of new employees using qualitative research. Eight new employees at foreign IT companies in Korea were interviewed in two groups composed of two male workers and two female workers. The research determined two main themes and seven sub-themes related to the participants work-life balance using theme analysis. The first main theme was 'working conditions' which had sub-themes, 'performance-based system in foreign IT companies', 'flexible working conditions', 'family-friendly company culture', and 'positive evaluation of the company'. The second main theme was 'work-life balance' which included the sub-themes, 'changing priority during transitional periods of life', 'work-family balance designing as a family unit', and 'difficulties balancing between work and family'. The results revealed that workers prospected that flexible working condition might solve the demands of the child-rearing period and that work-family balance was determined as a family unit. Additionally,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ing conditions and work-life bal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