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program models for single households in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s

건강가정지원센터의 1인 가구 대상 프로그램 모형 개발

  •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 윤소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강은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18.11.28
  • Accepted : 2019.02.19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program models for single households in the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s. Data from seven female and seven male single households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demand for a program that both provides feeling safe and is self-caring came to the fore. Additionally, many respondents wanted to participate in programs with families. Second, the aspects of professional quality, diversity, and systematic management were mentioned as the strengths of programs in the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s. Third, three program models were drawn up, as follows: The first model was a five-part program model like the current program settings of the Healthy Families Center. Those were sharing-caring, education, counselling, family-friendly culture, and community networking. The second model was a program for family relationships. The third was for joining programs with others. For the detailed program, a manual needs to be proposed, and the staff members who handle the programs for single households in the center will need to be retrained.

Keywords

References

  1. 강은나.김혜진.김영선(2017).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보건사회연구, 37(2), 184-216.
  2. 김상훈.한혜련(2014). CPTED 도입을 통한 여성 1인가구 주거환경개선 방안-신림동고시촌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 김시월.조향숙(2015). 중.고령 1인가구의 소비패턴과 삶의 만족도. Financial Planning Review, 8(3), 89-118.
  4. 김시월.조향숙(2014). 단독가구의 부채 유형이 가계재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17(1). 157-178 https://doi.org/10.17053/JCC.2014.17.1.008
  5. 김혜정(2015).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5(2), 7-40.
  6. 박근화.김지학.곽신석.이충희(2015).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의 문화소비지출 추세비교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지, 17(5), 2495-2508.
  7. 박준휘.유진.한민경.최지선.윤상연(2017). 1인가구 밀집지역의 안전실태와 개선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8. 배영.박찬웅(2015). 1인 가구의 인터넷 이용이 사회적 관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다인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조사연구, 16(3), 141-171.
  9. 서지원(2017a). 중년1인가구의 혼인상태별 여가시간사용 결정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77-95.
  10. 서지원(2017b). 가정안전에 대한 사회자본의 효과 분석:1인가구와 한부모가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2), 25-50.
  11. 서지원.송혜림(2018). 1인가구의 가족자원관리와 일.생활 균형. 2018년 대한가정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2. 성영애(2013).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본 1인 가구의 연령대별 소비지출패턴. 소비자학연구, 24(3), 157-181. 관광연구, 30(6), 193-216.
  13. 송완구.임지은.도해용(2015). 1인가구의 관광참여행동에 관한 연구 : 국민여행실태조사를 바탕으로.
  14. 송혜림(2016). 건강가정정책의 트렌드. 한국가족자워경영학회 2016 추계학술대회 구두발표
  15. 송혜림.강은주.김민주(2018).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연구 - 성별.취업여부에 따른 식사와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45-63.
  16. 왕로.홍창기(2018). 여성 1인 가구 범죄예방 서비스 디자인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64, 186-196.
  17. 윤소영(2017). 노년기 1인가구의 여가적 삶과 행복.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81-193.
  18. 이진숙.이윤석(2014). 비혼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 여성과 남성의 교제활동 시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7(4), 1-24.
  19. 이철성.김장현(2016). 식료품 쇼핑에 있어 일반가구와 1인가구의 충동구매 차이. 한국물류학회지, 26(1).
  20. 정인.김회민(2018). 2018 한국 1인가구 보고서. KB연구보고서
  21. 조영희(2017). 1인가구 시대, 가족자원경영학의 과제. 2017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기조강연
  22. 조현성.김상학(2018). 1인 가구의 범죄피해-두려움 패러독스(victimization-fear paradox). 한국범죄학, 12(1), 19-38.
  23. 최경은.윤주(2013). 1인가구 여가활동 분석 및 대응정책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4. 최유정.이명진.최샛별(2016). 가구형태와 사회적 관계의 객관적, 주관적 측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1(2), 25-52. https://doi.org/10.21321/jfr.21.2.25
  25. 통계청(2017). 장래인구추계
  26.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5). 2015년 빈곤통계연보
  27. 황성은.강부성.박지연(2013). 주택유형별 1인가구의 범죄 안전성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4(4), 9-17.
  28. 건강가정지원센터. www.familyne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