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as a unit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2초

소셜 네트워크 분석(SNA)을 활용한 가정교육학의 지식구조 탐색: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f the Knowledge Structure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Focusing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 박미정;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65-88
    • /
    • 2024
  • 이 연구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가정교육학의 지식구조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2004년부터 2023년까지 게재된 75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가정교육학의 지식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육학 지식 네트워크는 구조적으로 좁은 세상 네트워크의 특성을 보였으며, 아동⋅가족 영역 및 진로성숙도와 관련된 논문이 인용횟수가 많아 이 영역의 연구가 가정교육학 지식구조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교육학의 지식구조는 가정교과와 교육과정 등을 중심으로 (1) 교과서의 내용 분석과 교수학습 설계 그룹, (2) 실천적 문제 및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그룹, (3) 가정과 수업이 중등학교 청소년의 행동과 태도 등에 미치는 영향 그룹, (4) 가정과 교육환경과 관련된 가정과교사의 인식이나 실태 그룹으로 구조화되었다.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결과 인식, 내용, 단원, 가정과교사, 실천, 행동, 영향 등의 핵심 키워드는 그 영향력이 줄어들고, 교육과정, 교과서, 개발 등은 그 영향력이 점차 커지는 추세를 보였다. 셋째, 가정교육학의 하위 지식구조로 7개(가정과교육과정 방향, 가정과 교수학습 적용과 효과, 가정과교육의 인식 및 요구, 가정과교육과정과 교과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 청소년 소비행동 및 의복, 영양과 건강한 식생활)를 도출하였으며, 가정교육학 지식구조에서 '가정과교육의 인식 및 요구'의 비중은 감소하고, '가정과교육과정과 교과서', '가정과 교수⋅학습과정안 적용'의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와 '가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가정교육학 지식구조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가정교육학 지식구조의 핵심 키워드와 하위구조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보여줌으로써 가정교육학 연구의 지식구조를 이해하고, 확장하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Risk of Breast Cancer among Young Women and Importance of Early Screening

  • Memon, Zahid Ali;Kanwal, Noureen;Sami, Munam;Larik, Parsa Azam;Farooq, Mohammad Za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485-7489
    • /
    • 2015
  •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type of cancer in women throughout the world. However, in comparison with Western women, it presents relatively early in women of Asian ethnicity. Early menarche, late menopause, use of OCP's, family history of benign or malignant breast disease, exposure to radiation and BMI in the under-weight range are well known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breast cancer in premenopausal women. Early detection with the use of breast self-examination (BSE) and breast cancer screening programs can lead to a reduction in the mortality rates due to breast cancer. The aim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among young women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arly screening among them.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women aged 18 to 25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as collected over a period of 6 months from June to December, 2014. A total of 300 young women selected randomly from Dow Medical College and various departments of Karachi University successfully completed the survey. Results: Respondents were 18-25 years of age (mean age=21.5). Out of the 300 young females, 90 (30%) had at least one risk factor, 90 (30%) had two, 40 (13%) had three, 8 (2.7%) had four, 2 (0.7%) had five while one female was found to have six positive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Some 66 women (22%) experienced symptoms of breast cancer such as non-cyclical pain and lumps. While 222 women (74%) had never performed breast self-examination, 22 (7.3%) had had a breast examination done by a health professional while 32 (10.7%) had participated in breast screening programs. A total of 223 (74.3%) women considered breast cancer screening important for young women. Conclusions: The percentage of young women with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was found to be alarmingly high. Therefore, screening for breast cancer should start at an early age especially in high risk groups. Awareness about breast self-examination should be emphasized. Moreover, screening programs should be started to ensure early detection and reduction of mortality rates caused by breast cancer also in young Pakistani females.

신라 전기 적석목곽분의 묘형과 집단복합묘군의 성격 (The Nature of the Tomb Form and the Group Tomb Complex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in the Early Silla Phase)

  • 최병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4호
    • /
    • pp.168-197
    • /
    • 2017
  • 본고에서는 경주 월성북고분군에서 조영된 적석목곽분의 존재 양태의 두 측면, 즉 묘형과 집단복합묘군에 대해 고찰하였다. 적석 목곽분은 호석으로 한정된 봉분 안에 단위묘곽이 설치된 원형의 단위고분이 기본형으로, 그 묘형은 단일원분, 연접분, 다곽분으로 구분된다. 단일원분은 피장자 1인의 단장분이고, 연접분은 일반적으로 부부나 혈연관계인 가족의 합장분이다. 다곽분도 대개 최하위 랭크의 묘곽들로 구성된 합장분으로, 월성북고분군의 왕릉구역에만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쪽샘지구에서는 미고지를 따라 고분들의 소구역 군집현상이 보인다. 이는 당시 사람들이 친연관계에 따라 소집단별로 미고지를 점유하여 그 축선 방향으로 중형급 단일원분이나 연접분을 조영하고 그 주변으로 다수의 소형분들을 위성처럼 배치하여 집단복합묘군을 형성해 나갔기 때문이다. 대릉원지구를 비롯한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왕릉구역에서도 고분들은 집단복합묘군을 형성하였다. 왕릉구역의 집단복합묘군은 마립간 왕릉인 초대형 단일원분이나 왕과 왕비의 합장릉인 초대형 표형분을 주분(主墳)으로 그 주변에 대소형 고분들을 배치하여 형성되었다. 집단복합묘군의 피장자 중에는 신분이나 사회적 인격이 대등한 부부나 혈연관계의 가족이 포함되었겠지만, 고분들 사이의 랭크 차이가 현저하여 피장자 모두가 혈연관계였다고 볼 수는 없다. 집단복합묘군에 포함된 하위 랭크 고분의 피장자들은 주분 피장자 및 그 가족과 주종관계의 '소속인'들이었다고 판단된다.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적석목곽분에서 보이는 이와 같은 묘형과 집단복합묘군은 신라 마립간시기 중앙의 사회집단과 그 성격을 말해준다. 앞으로 이에 대한 좀 더 정밀한 분석은 당시 신라사회의 여러 측면을 밝히는 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호스피스 간호가 말기 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Hospice Care for the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ly -Ill Patients)

  • 소외숙;조결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18-435
    • /
    • 199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effects of hospice care for the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ly - ill patien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hospice care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 terminally - ill patients hospitalized in the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which have the hospice care unit.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with interviews. They were done from Sept.28, 1989 to March 20, 1991. The tools used for the research were 17-item questionnaire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42-item questionnaire about the quality of life (11- item for physical, 16 for psychosocial, and 15 for spiritual). The questionnaires were to measure the duality of life by means of the measure instruments of Betty R. Farewell(1989), Stein Kaasa(1988), Palm Pamela(1987), and Hwa-sook Choi(1987). 42 items were used after pre-test. In accordance with each purpose in this study,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OVA,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different level of quality of life before-and-after hospice care.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ws : 1. The effects of hospice care. Main Hypothesis : “The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ly - ill patients will be different from before-and-after hospice care” was supported(t=6.82, df=31, p= .000). Sub Hypothesis 1 : “The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ly - ill patients in the physical aspects will be different from before - and -after hospice care” was not supported(t=0.07, df=31, p= .946). Sub Hypothesis 2 : “The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ly - ill patients in the psychosocial aspects will be different from before-and-after hospice care” was supported (t=4.69, df=31, p= .000). Sub Hypothesis 3 : “The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ly - ill patients in the spiritual aspects will be different from before-and-after hospice care” was supported(t=6.64, df=31, p= .000). 2.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 effects of hospice care. (1) The more the number of family,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in the psychosocial aspects. (2) The higher the age of the patient,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in the psychosocial aspects. (3) The high educational level of patients enjoy the high quality of life in general. (4) The high religious level of petients enjoy the higy Quality of life in the spiritual aspects. As a results of analysis above : 1. The most effective aspects of the hospice care to the terminally- ill patients was spiritual aspects. The next effective aspects was psychosocial area. 2. The least effective aspcets of the hospice care to the terminally- ill patients was physical aspects. Further study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physical aspects.

  • PDF

열대마 영여자 추출물의 항응고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Anti-coagulation and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Aerial Bulbils of Dioscorea alata L.)

  • 전수경;최소영;임경란;이종필;박준홍;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53-159
    • /
    • 2024
  • 열대마로 알려진 Dioscorea alata L.는 전 세계 650여종의 마 중에서도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 적도, 아적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하고 있다. 실제 중국과 인도에서는 주요 식용자원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기존의 단마 및 장마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확량을 나타내는 열대마 재배가 증가하고 있으며, 열대마에 높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열대마의 주아(영여자)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단마 및 열대마 영여자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단마 영여자와 비교하여 열대마 영여자의 영양특성 및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열대마 영여자는 특유의 황색과 함께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단마 영여자와는 달리, 열대마 영여자 추출물은 1.25 mg/ml 농도에서 아스피린보다 우수한 트롬빈, 프로트롬빈 및 혈액응고인자 저해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도 우수하였다. 또한 열대마 영여자 추출물은 2.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도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열대마 영여자가 새로운 항혈전 소재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체인지메이커(Changemaker) TEMPS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자의 성장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Growth of Learners through the Changemaker TEMPS Program)

  • 김남은;허영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91-116
    • /
    • 2019
  • 이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가정과 수업에 맞는 체인지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적용한 학습자의 성장에 관한 사례를 통해 가정교과에서의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체인지메이커 교육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체인지메이커 교육이란, 실생활 속에서 우리가 직면하는 문제들에 대해 생각하고(Thinking), 배우고(Education), 만들고(Making), 참여하고(Participation) 즐기며(Play) 다양한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하고 서로 공유(Share)하여 변화(Change)시키는 교육을 말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가정교과에서의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방향을 "폭넓은 메이커 활동을 통해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고 타인과 공감, 협업하여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생활과 직업생활을 주도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고 내용의 범위를 "아동 가족,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의 5개의 영역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교육할 수 있는 세부 주제를 선정"하고 교육 방법으로 "주제별로 TEMPS 단계를 통해 교과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로 제안하였다. 셋째, 체인지메이커 프로그램의 설계는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5가지 핵심 아이디어 중에서 TEMPS를 단계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T(Thinking)는 문제에 대해 파악하고 해결방법을 생각하는 단계이고, E(Education)는 다음 단계(Making)를 위한 배경지식을 얻는 단계이다. M(Making)은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목표물을 만드는 단계이고, P(Participation)와 P(Play)는 참여하고 즐기는 단계이다. S(Share)는 결과물 전시, SNS공유, 수업 발표회 등을 통해 교육적으로 확산을 시켜 궁극적으로 사회를 변화(Change)시키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TEMPS 단계를 기본으로 하여 중학교 12개 프로그램, 고등학교 15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 당 각각 2차시~12차시로 중학교 총 68차시, 고등학교 총 68차시 분량이다. 체인지메이커 프로그램에 1년 간(2018년 3월 2일~2018년 12월 31일) 참여한 학습자들은 삶과 교육의 연계, 실천 능력의 향상, 자기 주도 학습, 자존감 향상, 성취감과 자기 성찰, 비판적 인식 향상, 감각적인 관찰 등에서 긍정적인 성장을 보여주었다.

해남반도 백포만일대 취락경관에 대한 시론 - 청동기시대를 중심으로 - (A preliminary study on the village landscape in Baengpo Bay, Haenam Peninsula - Around the Bronze Age -)

  • 김진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62-74
    • /
    • 2023
  • 해남반도 백포만일대의 고고학적 성과는 고대사회에 대한 연구를 촉진하였으나, 선사시대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으로 이를 보완하고자 청동기시대 취락 경관을 고찰하였다. 백포만일대는 지리적으로 내륙의 한계선이 확인되고, 문화적으로도 한계선이 나타난다. 백포만일대에서 황산리 분토취락은 지금까지 유일하게 조사된 청동기시대 취락이지만, 일반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백포만일대의 청동기시대 문화는 탐진강유역과 영산강유역에서 확산되었다. 취락 밀도분포는 지석묘 분포밀도와 대응할 것이고, 전남지역 취락유적을 통해 확률을 기반으로 소촌-중촌-대촌으로 구분하고, 10기 미만은 소촌으로, 40기 이상은 대촌으로 설정하였다. 전남지역에서 84% 정도가 소촌이고, 대촌은 3% 정도이고, 중촌은 지역별로 분포하는 경향을 보인다. 취락의 단위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위계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황산리 분토취락은 주거군과 무덤군이 공존하고, 2~4기의 주거지가 개별주거군을 이루며, 부속건물이 딸려 있는 3개의 개별주거군으로 구성되었다. 개별주거군들은 혈연들의 복합공동체들이고, 농경을 기반으로 구산천일원에서 조망권, 이동, 생태전략적 측면에서 뛰어난 입지를 갖는 취락경관을 이루었다. 백포만일대 취락경관은 황산리 분토취락의 양상과 유물산포지 등의 분포로 보았을 때 현산천과 구산천 주변의 구릉이나 사면부에 대부분 소촌단위로 산재하여 분포하고, 황산리 분토취락은 구산천일원의 중촌취락의 경관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 취락들은 농경을 기반으로 가족공동체가 하천과 산지, 바다에서 다양한 야생자원을 획득하는 자급자족형의 안정화된 마을들이 경관을 이루었다고 보았다.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한 급성호흡기감염증 청구자료 심사 시행 후 개원의의 진료 및 청구 행태 변화 (Influence of review system using computerized program for Acute Respiratory Infection upon practicing doctors' behaviour)

  • 정설희;박은철;정형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9-76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 computerized review program which was introduced in August 1, 2003, using claims data for acute respiratory infection related diseases.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claims data on respiratory infection related disease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with six month intervals respectively, were used for the analysis. Clinic was the unit of observation, and clinics with only one physician whose specialty was internal medicine, pediatrics, otorhinolaryngology and family medicine and clinics with a general practitioner were selected. The final sample had 7,637 clinics in total. Indices used to measure practice pattern was prescription rates of antibiotics, prescription rates of injection drug per visit, treatment costs per claim, and total costs per claim. Changes in the number of claims for major disease categories and upcoding index for disease categories were used to measure claiming behavior.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for indices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analysis of variance (ANOVA) for practice pattern change for major disease categori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whether new system influenced on provider' practice patterns or not. Prescription of antibiotics, prescription rates of injection drug, treatment costs per claim, and total costs per claim decreased significantly.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 computerized review system had effects on all the indices measuring behavior. Introduction of the new system had the spillover effects on the provider's behavior in the related disease categories in addition to the effects in the target diseases, but the magnitude of the effects were bigger among the target diseases. Rates of claims for computerized review over total claims for respiratory disease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a computerized review system and rates of claims for non target diseases increased, which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claims by disease categories after the introduction of a computerized review system changed so as to increase the costs per claims. Analysis of upcoding index showed index for 'other acute lower respiratory infection (J20-22)', which was included in the review target, decreased and 'otitis media (H65, H66)', which was not included in the review target, increase. Factors affecting provider's practice pattern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policies on claims review method and behavior changes. It is critical to include strategies to decrease the variations among providers.

어린이 도서관 CONTEXT 분석 및 사용자 행태정보 모델링 아동의 가구 사용방법(Way of Seat)과 아동-부모의 상호작용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xt of children's library and user behavior modeling)

  • 송소라;반영환;정지홍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3-38
    • /
    • 2008
  • 어린이 도서관의 주 이용고객은 어린이와 주부로서 최근 이들이 함께 도서관을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어린이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빌리고 공부를 하는 장소에서 나아가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이 가능한 문화적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어린이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책을 읽는 조용한 공간이지만 주 이용자가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이기에 독서행위와 더불어 또래 친구들과의 친교행위, 부모님과의 정서적 유대감 형성행위, 소규모 근육활동과 같은 놀이행위가 병행된다. 따라서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태 이면에 내재한 특성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어린이 도서관이라는 특수한 물리적 환경요인 및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실제로 어린이 도서관에서 사용되어지는 정형적인 모듈의 책상과 의자는 소수의 디자이너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것을 이용하는 다수의 어린이들은 디자이너의 의도와 방법에 따라 가구를 사용하는 것 외에 환경적 컨텍스트에 맞추어 훨씬 더 다채로운 방법으로 가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및 놀이행위 시 아동-부모의 상호작용 방법에 기반하여 아동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하여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위 이면에 내재된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 PDF

APG 분류체계에 따른 한국 관속식물상의 계통학적 분류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Korean vascular flora according to the recent APG classification system)

  • 김기중;김영동;김주환;박선주;박종욱;선병윤;유기억;최병희;김상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7-222
    • /
    • 2008
  • 최근 출판된 영문판 한국속식물지에서 다루어진 한국의 관속식물 217과 1,044속 3,209종 (종내 분류군 포함)을 최근의 APG 분류체계에 따라 재분류한 결과 64목 204과 1,044속 3,209종으로 평가되었다. 과의 한계에 대한 변화로 인하여 속식물지의 22개 과가 다른 근연 과로 통합되어 없어졌고, 1개 과는 전위에 따라 과명이 바뀌었다. 또한, 31속 109종으로 기록된 백합과(Liliaceae)는 최근 단자엽식물 분류체계가 크게 바뀐 APG 분류체계에 따라 재배열한 결과 백합목(Liliales), 비짜루목(Asparagales), 택사목(Alismatales), 마목(Dioscoreales) 등 4목 10과로 분산 분류되었다. 그 결과, 한국속식물지의 과의 수는 13개 감소하여 204개 과로 재분류되었다. 조사 결과는 목 이상의 비공식적 상위분류군, 목, 과, 속의 분류체계를 종합하여 3개의 표와 두 개의 그림으로 정리하였다. 이 자료는 국립생물자원관이 최근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식물종의 계통연구를 수행하는데 분석 기본단위를 설정하는 기본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나아가 우리나라 식물 종들의 과 이상에서의 계통유연관계를 손쉽게 비교하는 기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