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Nature of the Tomb Form and the Group Tomb Complex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in the Early Silla Phase

신라 전기 적석목곽분의 묘형과 집단복합묘군의 성격

  • Received : 2017.12.08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is paper considers two aspects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that were constructed in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in Gyeongju: tomb form and the group tomb complex. The basic unit of a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consisted of a single round mound, covered with an additional earthen layer and surrounded by a circle of protective stones, within which a single wooden chamber was located. The form of a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could therefore 1) be round, consisting of a single tomb unit, 2) consist of two or more attached tomb units, 3) or consist of multiple attached chambers in a single mound. The single tomb contained the burial of a single individual, and the attached tomb contained two or more individuals who were blood relations or connected by marriage. Multiple attached chambers tombs usually consisted of wooden chamber burials of the lowest rank, and have only been identified in the royal burial area of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At the Jjoksaem Area of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which is currently, under investigation, tombs have been found in small clusters along the slightly raised ground. This is likely the result of small groups of kin relations, upon selecting points along the slightly raised ground as their burial area, having constructed midsized and large single tombs and attached tombs along the axis of the slightly raised ground, which were then surrounded by smaller 'satellite' tombs. It is through this process that the tomb complex of the different groups came to be formed. The tombs of the royal burial area of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including the Daereungwon Tomb Complex, also formed group tomb complexes. Forming the centers of the group tomb complexes of the royal tomb area were huge individual round tombs where the Maripgan rulers were laid to rest or a gourd-shaped dual mound tomb, which was the final resting place of the king and his queen consort. These central tombs were surrounded by large and smaller tombs. Of the individuals that were buried in the group tomb complexes, there would have been individuals that were of equal status or social position, such as husbands and wives or blood relations, but it is unlikely that all of the buried individuals were related by blood, given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zes of the tombs. It is likely that the individuals buried in the lower ranked tombs included in the group tomb complexes were 'dependents' of the deceased of the central tomb and his or her direct family who maintained a subservient relationship. Such tomb forms and group tomb complexes that can be observed amongst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of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provide insights into the nature of the social groups of the Silla center during the Maripgan Period. It is hoped that future studies undertaking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data may make further contributions to unveiling the various aspects of Silla society.

본고에서는 경주 월성북고분군에서 조영된 적석목곽분의 존재 양태의 두 측면, 즉 묘형과 집단복합묘군에 대해 고찰하였다. 적석 목곽분은 호석으로 한정된 봉분 안에 단위묘곽이 설치된 원형의 단위고분이 기본형으로, 그 묘형은 단일원분, 연접분, 다곽분으로 구분된다. 단일원분은 피장자 1인의 단장분이고, 연접분은 일반적으로 부부나 혈연관계인 가족의 합장분이다. 다곽분도 대개 최하위 랭크의 묘곽들로 구성된 합장분으로, 월성북고분군의 왕릉구역에만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쪽샘지구에서는 미고지를 따라 고분들의 소구역 군집현상이 보인다. 이는 당시 사람들이 친연관계에 따라 소집단별로 미고지를 점유하여 그 축선 방향으로 중형급 단일원분이나 연접분을 조영하고 그 주변으로 다수의 소형분들을 위성처럼 배치하여 집단복합묘군을 형성해 나갔기 때문이다. 대릉원지구를 비롯한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왕릉구역에서도 고분들은 집단복합묘군을 형성하였다. 왕릉구역의 집단복합묘군은 마립간 왕릉인 초대형 단일원분이나 왕과 왕비의 합장릉인 초대형 표형분을 주분(主墳)으로 그 주변에 대소형 고분들을 배치하여 형성되었다. 집단복합묘군의 피장자 중에는 신분이나 사회적 인격이 대등한 부부나 혈연관계의 가족이 포함되었겠지만, 고분들 사이의 랭크 차이가 현저하여 피장자 모두가 혈연관계였다고 볼 수는 없다. 집단복합묘군에 포함된 하위 랭크 고분의 피장자들은 주분 피장자 및 그 가족과 주종관계의 '소속인'들이었다고 판단된다.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적석목곽분에서 보이는 이와 같은 묘형과 집단복합묘군은 신라 마립간시기 중앙의 사회집단과 그 성격을 말해준다. 앞으로 이에 대한 좀 더 정밀한 분석은 당시 신라사회의 여러 측면을 밝히는 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희대학교박물관, 1974, 慶州 仁旺洞(一九.二○ 號) 古墳發掘 報告書
  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6a, 慶州 쪽샘地區 新羅古墳遺蹟 VII -B지구 연접분 발굴조사 보고서-
  3.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6b, 慶州 쪽샘地區 新羅古墳遺蹟 VI -B지구 시.발굴조사 보고서-
  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4, 慶州 쪽샘地區 新羅古墳遺蹟 IV -A.C-F地區 分布調査 報告書-, p.108, 473, pp.118-120
  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3, 慶州 쪽샘地區 新羅古墳遺蹟 III -B1號 發掘調査 報告書-
  6.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2, 慶州 仁旺洞 古墳群
  7. 국립경주박물관, 2014, 慶州 鷄林路 新羅墓 2
  8. 국립경주박물관, 2010, 慶州 鷄林路 14號墓
  9. 국립경주박물관, 2003, 慶州 仁旺洞 遺蹟 - 협성주유소 부지 -
  10. 국립중앙박물관, 2016, 경주 서봉총 재발굴조사, 현장설명회자료집
  11. 국립중앙박물관, 2009, 경주 황남동 출토 신라토우 영원을 꿈꾸다
  12. 김용성, 2003, 皇南大塚 南墳의 年代와 被葬者 檢討 韓國上古史學報42, 한국상고사학회
  13. 김용성, 2000, 皇南大塚의 編年的 位置 - 土器를 中心으로 본 南墳의 年代 - 皇南大塚의 諸照明, 제1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국제학술대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4. 김정학.정징원.임효택, 1980, 味鄒王陵 第七地區 古墳群 發掘調査 報告 慶州地區 古墳發掘調査報告書 第二輯, 문화재관리국 경주사적관리사무소
  15. 김택규.이은창, 1975, 皇南洞古墳發掘調査槪報, 영남대학교박물관
  16.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박물관, 2008, 慶州 皇吾洞 100遺蹟 I
  17. 문화재관리국 경주사적관리사무소, 1975, 慶州地區 古墳發掘調査報告書 第一輯
  18.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4, 皇南大塚(南墳)發掘調査報告書
  19.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5, 皇南大塚(北墳)發掘調査報告書
  20. 박일훈, 1964, 皇南里破壞古墳調査報告 皇吾里四․五號墳皇南里破壞古墳發掘調査報告, 국립박물관고적조사보고 제5책
  21. 심현철, 2014, 三國時代 嶺南地方 封土墳의 連接築造에 관한 硏究 考古廣場15, 부산고고학연구회
  22. 이은창, 1978, 慶州仁旺洞古墳發掘調査 韓國考古學年報 5 -一九七七年度, 金元龍 編, 서울대학교박물관
  23. 정재훈, 1975, 慶州 皇南洞 味鄒王陵內 舊道路面內 廢古墳 發掘調査 金元龍 編 韓國考古學年報 2 - -九七四年度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학과
  24. 진홍섭, 1969, 皇吾里第三十三號墳 慶州皇吾里第一.三三號皇南里第一五一號古墳發掘調査報告, 文化財管理局古蹟調査報告第二冊, 문화재관리국
  25. 최병현, 2017, 신라 전기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계층성과 복식군 한국고고학보104, 한국고고학회
  26. 최병현, 2016a, 신라 전기 적석목곽분의 출현과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묘제 전개 문화재49-3, 국립문화재연구소
  27. 최병현, 2016b, 신라 적석목곽분의 축조기법과 전개 崇實史學37, 숭실사학회
  28. 최병현, 2014,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형성과정과 신라 마립간시기 왕릉의 배치 한국고고학보90, 한국고고학회
  29. 최병현, 2011, 한국 고분문화의 전개와 양상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중앙문화재연구원 편, 서경문화사
  30. 최병현, 2002, 周溝墓․墳丘墓 管見 -崔完奎교수의 '全北地方의 周溝墓' 토론에 붙여 東아시아의 周溝墓, 호남고고학회 창립1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발표요지, 호남고고학회
  31. 최병현, 1992, 新羅古墳硏究, 일지사
  32. 최병현, 1981, 古新羅 積石木槨墳 硏究(下) - 墓型과 그 性格을 중심으로 - 韓國史硏究32, 한국사연구회
  33. 최병현, 1980, 古新羅 積石木槨墳 硏究(上) - 墓型과 그 性格을 중심으로 - 韓國史硏究31, 한국사연구회
  34. 함순섭, 2010, 皇南大塚을 둘러싼 論爭, 또 하나의 可能性 황금의 나라 신라의 왕릉 황남대총, 국립중앙박물관, p.233-234
  35. 小泉顯夫, 1927, 慶州瑞鳳塚の發掘 史學雜誌38-1, 史學會
  36. 有光敎一.藤井和夫, 2000, 朝鮮古蹟硏究會遺稿 I -慶州皇吾里第16號墳.慶州路西里215番地古墳發掘調査報告書1932-1933-, 유네스코東아시아연구센터.財團法人 東洋文庫
  37. 有光敎一, 1934, 古蹟調査槪報 - 慶州古墳 昭和八年度 -, 朝鮮總督府
  38. 齊藤忠, 1937, 新羅の瓢形墳 考古學雜誌27-5, 日本考古學協會
  39. 穴澤咊光, 2006, 慶州路西洞ディヴィッド塚の發掘 -梅原考古資料による硏究 伊藤秋男先生退職記念論文集, 刊行委員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