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Visitors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음식의 브랜드 이미지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방한외국인을 중심으로 한식의 주요 메뉴별 조절효과 - (A Study on the Impact on Brand Image of Korea Food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Korean Menu among Korea Foreign Visitors-)

  • 손영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67-17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식의 브랜드이미지가 한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한국 대표음식을 조절변수로 어떤 영향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연구의 조사는 영어를 사용하는 방한외국인 277명을 대상으로 출국하는 외국인과 외국 관광객을 담당하는 여행사 직원에게 설문조사의 목적과 설문 방법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한 후, 그 담당자의 책임 하에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한식 브랜드이미지 중 품질안정성, 매력성, 건강증진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지향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식 대표음식의 식사류를 조절변수로 하여 나온 결과는 가족지향성이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고기류를 조절변수로 나온 결과는 품질 안정성이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었다.

추구편익에 따른 음식관광 시장세분화 - 로컬푸드 및 농가 레스토랑 방문객을 대상으로 - (The Benefit Sought Segmentation of Food Tourists - Local Food and Farm Restaurant' Visitors -)

  • 박덕병;이민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3권3호
    • /
    • pp.321-334
    • /
    • 2016
  • Food i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tourist experiences. The study aims to segment food tourists for benefit sought. This study attempted to segment tourists who had experienced local food at tourist destinations by their benefit sought to meet local food.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obtained from 498 visitors in the study areas. Results from the factor analysis show that the most explained variances of benefit sought were food taste (17.2%) and refresh (12.9%). Five distinct segm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benefits; family seeker (17.6%), passive seeker (15.1%), want-it-all seeker (23.1%), raw material seeker (31.8%), gastronomic seeker (12.4%). In ad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s who had tasted local food at tourist destinations was observed in terms of occupation, income, education, expenditure for food, and tour distance. Implications are discussed relative to marketing strategies.

Analyses of Users Behavior to Construct and Manage Auto Campsites - A Case of the Auto Campsite in Jangsu Nuri Park -

  • Ahn, Deugsoo;Jeong, Nara
    • 휴양 및 경관연구
    • /
    • 제12권4호
    • /
    • pp.11-16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to set the direction for construct and managing auto campsit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users of an auto campsite located in Jangsu Nuri Park in October 2018, and 32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e analysis. Auto camping is typically undertaken for a night or two with family or friends/colleagues. The adequacy of fees and loca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choosing the campsite, so it is desirable to build one in the suburbs of the city and offer it at a reasonable price. Proximity to tourist spots and convenience in using facilities are also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People are generally engaged in activities such as taking walks, relaxing, and looking around campsites, and they want to enjoy various other amenities like attractions, experiences, entertainment, and active leisure options, which is why there must be facilities to support these behaviors. The first-time visitors of the campsite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its individual facilities, while repeat visitors showed high overall satisfaction, which indicates that satisfaction with individual elements did not lead to overall satisfaction.

탐방객 방문 동기 분석을 통한 선운산도립공원 관리 방안 (Management of Visitors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through an Analysis on Visitors' Travel Motivations)

  • 성찬용;김동필;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47-1056
    • /
    • 2016
  • 본 연구는 선운산도립공원 탐방객 290명을 설문조사하여, 탐방객들의 공원이용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립공원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탐방객 설문은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선운산도립공원 이용 특성, 방문 동기, 공원 탐방 만족도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 탐방객들은 공원 방문 전 공원에 관한 정보 수집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선운산도립공원과 주변 관광지를 연계해서 여행하는 경우도 많지 않았으며, 고창 생물권보전지역에 대한 인지도 또한 크지 않아, 공원관리 주체인 고창군의 적극적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16개 방문 동기를 요인분석한 결과, 선운산도립공원 탐방객들의 방문 요인은 '고지대 등산형', 자연학습이나 캠핑 등을 위한 '체험 관찰형', 가족이나 친구와의 '친목 도모형'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공원 방문 목적에 따른 공원 이용 만족도를 살펴보기 위해, 요인분석에서 추출한 세 가지 방문 요인과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다른 사람에게 선운산도립공원 방문을 추천하는 정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가지 방문 요인 중 '고지대 등산형' 요인만이 방문 추천 의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다른 요인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선운산도립공원이 등산객들에게만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할 뿐, 점차 증가하고 있는 체험 관찰형 탐방객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환경해설과 같은 참여형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울진금강송 생태숲의 이용자 행태분석과 개선방안 (User Behavior and Improvement for Kumgang Pine Eco-Forest in Uljin)

  • 오남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9-25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울진 금강송 생태 숲을 사례로 이용자 행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07년 8월 29일${\sim}$9월 3일에 걸쳐 금강송 숲 이용자의 122명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는 첫째, 남자와 $20{\sim}30$대, 울진의 거주자, 고학력자가 주류를 이루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계층과 다양한 지역민이 이용하도록 친환경무인 전동차(Tram)도입 및 생태관찰 탐방로의 개설이 필요하다. 둘째, 울진금강숲 이용의 신택한 동기는 금강송의 멋진 운치와 아름다움과 숲의 상태에 의해서이고 자연관찰 및 교육적인 면에서는 낮았다. 이용객의 동반구성은 가족이 주류를 이루었고 단체에서는 적었다. 따라서 학교 등 단체 그룹의 이용목적에 맞는 프로그램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참여 동기는 대면 접촉의 비율이 높은 반면, 정보통신 및 여행관련 업체는 낮으며, 참여활동은 금강송 풍경 및 운치의 감상이고 승용차를 이용하였다. 따라서 인터넷이나 전문 여행업체를 통해 홍보효과를 높임과 함께 취미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한다. 넷째, 이용시설 및 운영관리에서는 만족도가 낮았고 생태 숲의 상태는 매우 만족한 젓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이용편익시설의 확충과 더불어 숲의 상태를 항구적으로 지키기 위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이용전 기대도와 이용 후 만족도에서는 금강송 수목의 가치에 비중이 두드려졌다. 울진을 상징하는 훌륭한 소재될 수 있는 금강송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여섯째, 이용전과 이용후의 평가에서 만족도가 기대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만족도가 지속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과 평가제를 도입하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국민들이 금강송 숲의 가치와 우수성을 직접 체득하고 느낄 수 있도록 금강송 생태숲을 항구적으로 할 수 있는 임업적 관리가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박물관에서의 "교육문화 페스티벌" 개최를 통해 본 가족 참여 교육 가능성 고찰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Family Particpation Education through the "Educational Culture Festival" at the Educational Museum)

  • 엄혜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45-553
    • /
    • 2018
  • 최근 여가 문화 비중이 날로 증가하면서 레저 관광 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와 동시에 질 높은 문화 향유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 초 중 고 자녀들의 견문 넓히기를 위해 주말이면 나들이를 떠나는 인구 비중 역시 문화 향유 기대치와 비례하여 계속 늘고 있는 추세다. 관람객의 주말 가족 단위 여행을 통한 체험은 휴식과 놀이는 물론 교육적인 목적을 포함한 활동이기를 기대한다. 최근 교육 프로그램은 과거 아이들만 현장에 맡기는 탁아형에서 벗어나 부모가 교육 활동에 개입하는 공유형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이며, 가족간 결속과 가족 탄력성이 은연중에 스며들도록 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실현이 매우 중요해졌다. 교육의 효과는 한순간의 경험으로 끝나는 마침표가 아니라 반복된 훈련과 경험의 연속성을 통해 발현된다. 가족 간의 긴밀한 친화력과 소통, 공감 능력도 마찬가지이다.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체험과 교육의 기회 제공은 가족해체와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결속력 회복을 위한 국가차원의 책무이다. 나아가 오늘날 박물관 미술관의 역할이자 의무이며 이를 통해 가족 결속력, 가족 친화력을 북돋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나 교육박물관에서의 교육적 목적 실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제공은 필수적이며, 사회적 차원의 '가족을 위한 교육'개발은 필연적이다. 본 고에서는 교육박물관에서의 가족 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온가족 참여 교육 결과를 가족 대상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분석해보고 보다 적극적인 가족 형태의 교육활성화를 제고하고자 한다.

인터넷을 통한 뉴질랜드 방문 한국인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Korean Tourists' Characteristics to New Zealand through the Internet)

  • 최재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0-191
    • /
    • 2003
  • 본 연구는 1997년 한국의 외환위기 이후 뉴질랜드 방문 한국인의 관광행태 변화에 대한 연구로서, 뉴질랜드 관광청의 자료와 한국의 관광통계 및 인터넷을 통한 설문조사의 자료로 고찰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한국인의 뉴질랜드 관광의 가장 큰 변화는 효도관광 위주의 고령자 관광에서 젊은 세대들의 교육적 목적으로의 관광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체류기간이 연장되고, 한국의 학교일정에 따라 방학기간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관광객의 주요 관광목적지는 뉴질랜드의 교통시설, 젊은이들의 모험관광 선호지역, 여행사의 프로그램이 크게 작용하였다. 관광활동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서는 14항목 5점 척도 기준에 평균 3.52를 나타내어 비교적 만족함을 알 수 있었으며, 약 2/3의 응답자가 다시 뉴질랜드 방문을 원했다. 뉴질랜드 및 한국의 관광 관련 단체들은 이처럼 변화하는 한국 관광객들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합리작인 관광정책 수립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일부지역 119 노인전용구급차(Silver Ambulance)의 활동분석 및 발전방안 (Analysis and Research of 119 Silver Ambulance Activities and Its Development Methods)

  • 권혜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1-204
    • /
    • 2007
  • This study analyzes use and operation of silver ambulance with 110 patients who had used silver ambulance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s from June of 2006 to June of 2007 and 53 paramedics who are involved directly in ambulance operation 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 Users' health conditions, 69.1% of users answered as bad and 67.3% suffered from chronic diseases over 3 months and it was found that they used silver ambulance due to their bad health conditions. 2. Cronbach's alpha was 0.630 and family function index was generally reliable and solution was high as 1.60, but total points were low as 7.11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y had family troubles. 3. On the question of ambulance use, 44.5% answered they used it because it is free, 53.6% used it for appointed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and 18.1% used it for emergency. 4. Degrees of satisfaction with ambulance and paramedics were 95.4% and 76.4% respectively and 80.0% of ambulance users answered ambulance arrived quickly within 15 min. 5. Correlation($x^2 $) between family or relative's residence and frequency of visits was 86.367 and its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0.00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significant in the level of 0.1%, but correlation($x^2 $) between visitors other than family or relatives and frequency of visits was 14.768 and its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0.25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level of 5%. 6. Correlation($x^2 $) between transfer operation speed and mobilization time was found that 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level of 5%. Correlation($x^2 $) between their own health condition purpose of ambulance use was 13.802 an 5.696 and its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0.93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level of 1%, and it was considered because paramedics carried patients with safe operation.

  • PDF

노인요양병원 입원실의 실내디자인 특성에 대한 사용자 평가 - 간호사와 간병인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 (Users' Evaluation of Interior Design Features of Patients Rooms in Geriatric Hospital - From the perspectives of Nurses and Care-Givers -)

  • 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82-192
    • /
    • 2014
  • Demands for geriatric hospital have increased in an era of rapidly aging population. Most of aged patients tend to stay in institutions for long terms. This means that the patient rooms of geriatric hospital should be given different considerations from those of normal hospital in designing interior features. They should be a homelike places for the aged patients and designed to take care of specific needs of the aged. However, most of geriatric hospitals are designed with little attention to such point. They appear almost same to normal one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users evaluate patients' rooms. The users are nurses, care-givers and family members of aged patients in six geriatric hospitals in Busan. They rated 12 features of patient rooms from 0 point to 100 points and described reasons why they rated in that way. Also, the walk-through was done for these six hospitals. 12 features are sizes of patient rooms, sizes and fixtures of bathrooms, sizes and locations of windows, bed layout, numbers and types of chairs, sizes and types of closet, lighting, color scheme, finishes of floor and wall, and interior design tone. Followings are findings : The users evaluated patients' rooms relatively positive. However, extra chairs for visitors, closet in patients rooms and storage in bathroom, and sizes of patients rooms and bathrooms were evaluated relatively negative.

세대 간 교류를 위한 국내 종합사회복지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Plan of Social Welfare Centers for the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in Korea)

  • 김봉애;김수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2호
    • /
    • pp.131-139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the welfare services and spatial composi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hat represent complex welfare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spatial planning of social welfare centers. We examined 15 social welfare centers built in the 2000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used as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services provided at the surveyed facilities overlapped for seniors and the handicapped. Most social welfare centers provided welfare services for seniors, young children, and teenagers. Second, the proportion of common area, program rooms was high for spatial composition. Third, front access by car was most common (used at nine centers) for the design of the access area and used by. Fourth, shared entry and exit was most common (used at 10 centers) for the design of the entrance. Fifth, regarding space combining style, a mixed style was most frequently used (observed at seven centers) where different private areas for different service users were partly mixed on certain floors. Sixth, a corridor type was most common (used at seven centers) for the design of a corridor space where visitors could walk along the corridor to access individual rooms.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 spatial composi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o promote mingling and exchanges among users of different gen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