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Relationship Improvement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생의 가족기능, 이성과의 친밀감 위험, 대학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functioning, Intimacy Risk with the Opposite Sex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안성아;오수미;공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32-441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가족기능, 이성과의 친밀감 위험, 대학생활만족의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 간 상관관계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5월 11일부터 5월 20일 까지 지방에 소재한 2개의 4년제 종합 대학에 재학 중인 18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0.0을 이용하였으며,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고, 사후분석은 s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가족기능은 5점 만점에 평균 $3.07{\pm}0.44$점이었고, 이성과의 친밀감 위험은 4점 만점에 평균 $2.03{\pm}0.59$, 대학생활만족도 5점 만점에 평균 $3.20{\pm}0.50$이었다. 대학생활만족도는 일반적 특성 중 부모의 경제활동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이성과의 친밀감 위험이 낮을수록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은 가족기능의 하위변인인 가족의사소통(${\beta}=0.341$, p=.001), 부모의 경제활동유형(${\beta}=0.161$, p=.007)이었고 총 설명력은 13.1%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족기능 중 가족의사소통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노인의 가족결속력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Family Cohesion on Self-Regulation Ability of the Elderly)

  • 정명희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6호
    • /
    • pp.51-60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가족결속력과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노인의 가족결속력과 가정 만족도, 종교 사회활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노인들이 가정을 이용하는데 가족결속력과 자기 조절능력의 영향에 대하여 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가족결속력의 요인이 여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가족결속력 하위변인인 가족 응집성, 가족 화합성, 가족 적응성이 높아지면 여가 사회활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의 가족결속력의 요인이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가족결속력 하위변인인 가족 응집성, 가족 화합성, 가족 적응성이 높아지면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의 자기 조절능력이 여가 사회활동,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이 높아지면 여가 사회활동,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가족결속력 요인이 여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이 강해지면, 자기 조절능력도 좋아지고, 여가 사회활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정의 가족결속력 요인이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이 강해지면, 자기 조절능력도 좋아지고,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노인들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세부적으로 이용 중요 전체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차후에 노인의 사회활동에 필요한 요인들로서 활동가능하다. 향후에는 표본 대상을 세분화하여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사회활동의 범위를 세분화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조사를 토대로 앞으로의 본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해보고자 한다. 첫째, 점차 고령화 사회가 되어가는 현실에서 노인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자녀와의 가족결속력에 심리적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 노인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도 영향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녀와의 진실한 대화를 통한 유대를 형성하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노부모와 자녀들 간의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상담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까지의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연구가 노인이 생각하는 생활만족, 노부모가 느끼는 자녀와의 결속에만 치우쳐 있다. 앞으로의 연구는 자료수집과 분석에 어려움이 다소 예상되나 노부모와 자녀 모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특성을 각각 파악하고 노부모가 느끼는 자녀와의 결속과 자녀가 느끼는 노부모와의 결속에 어떤 일치와 차이점이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의 가족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녀의 노부모 부담 및 돌봄의 짐을 덜어주기 위한 현실적 정책제안이 필요하다. 즉, 노인을 돌보는 자녀들에 대한 지원 정책뿐만 아니라 장기요양서비스가 필요한 노인들이 언제든 자녀와의 만남을 가질 수 있도록 시군구의 직영 요양시설의 증가가 필요하다. 또한 거주지의 주소지 소속에 대한 혜택을 전국 어디서든지 자녀들의 주소지의 요양시설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국가가 책임지고 재정적, 행정적인 지원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하며,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과 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의 표집대상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7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경로대학에 출석하는 대상자만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를 지닌다. 둘째, 설문조사과정에 있어서 응답자의 개인변인 등을 고려하여할 때 향후에는 표본 대상을 세분화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디자인씽킹에 기반한 가정교과 '건강한 가족 관계' 수업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ealthy Family Relationship' Class of Home Economics Based on Design Thinking on the Improvement of Empathy Abilit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 강보람;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5-84
    • /
    • 2021
  •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정교과의 '건강한 가족 관계' 수업을 디자인씽킹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한 후 그 결과 중학생의 공감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씽킹에 기반 한 총 5차시의 『슬기로운 '집콕'생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2학년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행한 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수업 후에 학생들의 공감능력이 향상되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슬기로운 '집콕'생활』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인지적 공감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특히, 인스타그램으로 공감하기, '부캐' 만들기 등의 활동이 흥미로웠다는 의견이 많았다. 다만, COVID-19로 인한 시간의 부족 및 모둠활동 제약으로 인해 수업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 연구는 COVID-19로 인해 학습 환경이 변화되는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대면과 비대면 상황에 맞추어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과 가정과교육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공감의 인지적 요인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점을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청송지역 주부의 가사노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ewife′s Satisfaction of Household Work in Cheong-Song Area)

  • 안옥희;박인전;최선남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9-169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rural housewife's sex role attitude, the value consciousness of home management and the satisfaction of household work. Further,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satisfaction of household work and the value consciouseness of home management will be produce through grasping the relationship of them. For these purpos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292 housewives living in Cheong So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 1. Rural housewife's sex role attitude comparatively took the transitional position and the value consciousness of home management was modernized. Housewife's satisfaction of household work was generally usual.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x role attitude according to the type of housing. 3. The value consciousness of home management of rural housewives was variable according to housewife's occupation, husband's occupation and the type of housing. 4.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number of family member, the number of children and family style.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f household work according to housewife's sex role attitude. 6.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number of children, monthly family income, the sex role attitude, the value consciousness about household work, education and leadership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household work.

  • PDF

결혼만족도와 노년기부부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 중.노년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Needs of Education for Elder Couples - Centered the Mid-Later Life -)

  • 홍달아기;이남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883-898
    • /
    • 2005
  •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emand for the education of elder marital couples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arita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four elements such as confidence and affinity, mutual respect, communication, and cohesion. Each el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ut of these variables, age, academic career, health, occupation, and salar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4 element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2. The couples with shorter marriage period, with religion, and belonging to a nuclear family, and doing social activities wer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highly. 3. The higher the confidence and affinity, and cohesion between couple, the higher the demand for education program. The lower the score of communication between couple, they participated more often i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onfidence and affinity between couple, the educational program with partners is necessary.

  • PDF

부부관계강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선택이론, 인지정서행동이론, 관계향상기법을 기초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composition of a Marriage Enrichment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and rational-emotive therapy)

  • 이성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6호
    • /
    • pp.11-2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rriage Enrichment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lives of Korean families and couples, as well as adopted in family welfare programs. For this study, a quasi-experimental group design was employed and pre- and post- tests on Internal-External Control, Couple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conducted. Experimental participants consisted of six volunteer couples who responded to an advertisement by the Chonbuk Family Counseling Center printed in a daily newspaper.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wo hours of education on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every week for eight weeks.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such treat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was measured by Wilcox matched pair test, using a SAS program, as well as by the self-report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all three areas of marriage-- internal control, couple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participants'evaluations were generally positive about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it was most helpful to learn through the educational program that individuals differ in basic needs and that they should not force personal beliefs on others. They also reported that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spouse improved.

노년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Composition of a Marriage Enrichment Program of a Couple of Old Age)

  • 권오균;강금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5호
    • /
    • pp.137-14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improve old age for marriage and the effect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is to validate. This program of eight to 60 years old elderly couple in 2008 was 8 in the 10 week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ior to the inspection of post-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ld age in conjugal relations, the area between the pre-post meaningful communication efficiency, the couple agreed, and the couple satisfaction, couple came to feel affection, and expression did not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The study on the future social welfare and family welfare-related practices and more effective old age, researchers developed a program to improve the couple relationship is important to emphasize is this.

고학력 결혼적령기 커플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의미 및 젠더 정체성 (The Meaning of Dating and Marriage among Well-Educated Korean Couples at the Optimal Marriageable Age)

  • 신혜림;주수산나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7-98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erceived meanings of dating and marriage among well-educated Korean couples who were in optimal marriageable ages. Particularly, an emphasis was placed on finding out where the traditional gender norms and post-modern contexts intersect on the couples' course of dating and marriage. Method: We undertook a qualitative analysis of 8 couples (age: 26-34) dating. Participants were limited to university graduates of upper-middle rank universities in Seoul, South Korea. The rationale for choosing such sample was based on the idea that characteristics of class is inherent in the act of dating and marriage, and that such characteristics lead to different contextual experiences in dating and marriage. This study was based on interviews conducted over a three-month time span. The interviews were first transcribed into research text and then subjects and key categories were drawn from the transcripts for analysis. Results: Participants sought meanings of joy, learning, and self-improvement in dating, and they were free from traditional gender norms in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They viewed marriage as having a permanent companionship with their partner, becoming independent from their parents, and/or a social norm to be followed. Participants reported mixed perceptions about marriage in such fashion that they described their parents' relationship in terms of a gendered leader-supporter relationship, while viewing their own relationship as being genderless partners. In transition to parenthood, however, they regressed to traditional gender norms dichotomized as women being a homemaker and men being a breadwinner. In sum, participants displayed expectations that were inconsistent with regard to dating and marriage over the study period. That is, during the course of dating and early marriage, they did not hold separated gender norms; however, when transitioning from being a newly married couple to giving their first childbirth, expectations shifted to traditional gender norms and values.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it is not marriage, but the experience of childbirth and motherhood, which strengthen traditional gendered norms, engendering regeneration of the gender norms in famil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promote co-parenting behavior among the newly-married couples and to educate gender equality about parent roles or for parents in South Korea so that they can overcome traditional gendered norms in family.

노인의 건강성과 자아통합감의 영향경로에서 가족지지 매개효과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Mediated Effect of Family Support in Influence Route of Health Condition and Self-integration of Old People -Focused on Difference by Age Group-)

  • 이미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80-290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연령집단별 신체 심리 사회 건강성, 가족지지, 자아통합감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건강성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B광역시의 65세 이상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체 심리 사회 건강성, 가족지지, 자아통합감은 '전기노인' 집단이 모두 높았고 '초고령'으로 갈수록 낮아졌다. 둘째, 전기, 후기 연령집단은 사회건강성과 심리건강성이 자아통합감에, 또 85세 이상 초고령집단은 심리건강성과 신체건강성이 자아통합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모든 연령집단에서 건강성과 자아통합감 영향경로에 가족지지 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노인연령 집단에 따른 가족지지의 다양한 개입과 자아통합감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시스템에서 연령범주별 차별화된 서비스제공과 사회원조전략이 필요하다.

시설아동과 원가족 상호작용 프로그램 평가 연구 (A Study Evaluating a Program for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and their Original Families)

  • 김성천;장혜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91-9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아동과 원가족(연고자) 상호작용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과정과 성과평가를 통해 아동양육시설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언하는 것이다. 서울과 청주에 위치한 두 시설에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참여자인 시설아동과 부모, 실무자를 대상으로 과정평가와 성과평가를 수행하였다. 우선, 과정평가에 나타난 문제점은 원가족(연고자)참여자 모집과 유지였다. 만족도를 살펴보니, 함께 거주하지 않는 가족의 특성상 다양한 체험을 공유하거나 소소한 일상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았고, 관계증진에도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성과평가를 살펴보면, 두 시설 모두 부모의 가족관계 변화정도가 사전보다 사후에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질적평가를 통해 단순히 일회성 활동 프로그램보다 캠프나 일상 생활에서 함께 하지 못했던 활동을 가족이 함께 하는 프로그램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