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composition of a Marriage Enrichment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and rational-emotive therapy

부부관계강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선택이론, 인지정서행동이론, 관계향상기법을 기초로-

  • 이성희 (우석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부)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rriage Enrichment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lives of Korean families and couples, as well as adopted in family welfare programs. For this study, a quasi-experimental group design was employed and pre- and post- tests on Internal-External Control, Couple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conducted. Experimental participants consisted of six volunteer couples who responded to an advertisement by the Chonbuk Family Counseling Center printed in a daily newspaper.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wo hours of education on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every week for eight weeks.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such treat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was measured by Wilcox matched pair test, using a SAS program, as well as by the self-report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all three areas of marriage-- internal control, couple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participants'evaluations were generally positive about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it was most helpful to learn through the educational program that individuals differ in basic needs and that they should not force personal beliefs on others. They also reported that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spouse improved.

Keywords

References

  1.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연구 v.24 가족관계에 대한 부부의 가치의식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명자
  2.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시부부의 결혼안정성 및 관련변인 연구 김미숙
  3.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부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부부간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양호
  4.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부간의 의사소통 유형 재차원에 따른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인숙
  5.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현실요법집단훈련이 주부들의 자기존중감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김임용
  6. 대한가정학회지 v.33 no.3 가족스트레스, 가족체계유형, 가족복지와의 관계분석 김정옥
  7.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4 no.2 근원가족 건강도, 자아존중감, 결혼적응의 관계 김현정;김명자
  8.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리나라 주부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민경신
  9. 인지·정서·행동치료 박경애
  10.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취업주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일 연구 박미령
  11.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부의 자아 존중감, 내적 통제성 및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박성호
  12.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시주부의 성역할 태도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박태온
  13.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도시주부의 커뮤니케이션 이해도와 결혼만족도간의 관계연구 송말희
  14.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4 no.1 중년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 송정아
  15.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부관계와 부부의사소통 및 비합리적 신념과의 관계분석 신수련
  16. 사회복지실천론 양옥경(외)
  17. 가족생활교육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한국가족관계학회편 오윤자
  18.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현실요법을 이용한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램 개발 우애령
  19. 이화여자대학교 논총 v.22 도시가족내의 부부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이근후;이동원
  20.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주부의 심리적 양성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선우
  21.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관련된 가정환경변인에 관한 연구 이옥진
  22.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결혼만족도 척도의 타당화 연구 이인수
  23.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부관계 강화훈련 프로그램이 부부의사소통 및 부부관계촉진에 미치는 효과 이재형
  24.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이정은
  25.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부의 내외통제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종숙
  26. 가정행복지수 높이는 66가지 지혜 이지현
  27.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3 no.1 부부갈등해결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이창숙;유영주
  28.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8 no.1 부부관계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안 정현숙
  29.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의사소통을 위한 부부관계강화프로그램 조선경
  30. 심리척도 핸드북 차재호(외)
  31.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도시부부의 결혼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최규련
  32.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2 no.2 가족체계 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최규련
  33.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20 no.3 농촌 부부평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최규련
  34.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부관계향상을 위한 부부의사소통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최정숙
  35.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36. 가족생활교육 한국가족관계학회(편)
  37. Stress and the healthy family Curran, D.
  38. Doctoral Dissertation, United States International University Marital communication and its relation to self-esteem Dillon, J. L.
  39. The use of family strength concepts and methods in family life education: A Handbook Otto, H. A.
  40. Locus of control in personality Phares, E. J.
  41. People making Satir, V.
  42. 행복의 심리 William Glasser;우애령(역)
  43. 행복의 심리 William Glasser;김인자;우애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