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ling rate of drying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1초

음식물류폐기물 간접건조과정에서의 순환 및 낙하이동에 따른 건조효율 평가 (Analysis of Drying Efficiency for Circulating and Falling Movements on Indirected Drying Process of Food Waste)

  • 김병태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4호
    • /
    • pp.106-117
    • /
    • 2012
  • 건조과정에서 시료의 순환과 낙하이동에 따른 건조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음식물류폐기물 8,000kg을 간접건조방식의 건조기에 투입하고 회전스크류 가동시와 미가동시에 대하여 수분함량, 건조율, 평균입자크기 및 입도분포, 증발수분량 및 건조효율을 비교하였다. 음식물류폐기물의 초기 수분함량은 77.1%로서, 회전스크류 가동시에는 가동 후 5시간 만에 수분함량이 14.4%로 낮아진 반면에 미가동시에는 16시간을 가동시켜도 수분함량 35.6%에 머물고 있어 시료의 순환과 낙하이동이 건조효과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건조시작 후 점성구간 도달 이전에는 입자크기가 증가하면서 수분증발률은 최대치를 보인다. 점성구간에서는 입자크기가 최대치를 나타내나 수분증발률은 급감하기 시작하며, 점성구간 이후에는 입자크기와 수분증발률이 동시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유수 증발량과 각 구간에서의 점성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평균 입자크기는 가동 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점성구간인 수분함량 70%-60% 범위에서 최대치를 보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평균 입자크기의 변화정도는 회전스크류 가동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회전스크류 가동시 입도분포는 25.0mm에서 0.25mm까지 폭넓게 분포하는 반면에 미가동시에는 25.0mm에서 3.56mm까지 의 좁은 입도분포와 25.0mm이상의 입자크기에 집중되고 있다. 회전스크류 가동으로 건조효율에 미치는 효과를 회전스크류 미가동시와 비교하면 시간당 증발수분량은 364%, DS(Dry Solid)당 증발수분량은 356%나 증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농산물(農産物) 건조(乾燥)를 위(爲)한 태양열(太陽熱) 집열기(集熱機)의 제작(製作) 및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Design and Utilization of Solar Collector for Drying Agricultural Products)

  • 고학균;금동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6권2호
    • /
    • pp.48-57
    • /
    • 1982
  •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ditionally sun-dried red peppers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rying performance, three types of solar dryers were designed and built, and drying performance of the solar dryers was compared to traditional sun drying.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allows: 1. The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profiles over a 8-hour period measured at the specified locations in the drying chamber of solar dryers appeared to have large variation in each dryer. The rate of drying increased with the temperature rise in the drying chamber of the solar dryer. 2. In general. drying with solar dryers proceeded faster than traditional sun drying. With A'-type of solar dryer developed in the second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dry red peppers in seven days from an initial moisture content of 80% to safe storage conditions. The drying time with the A'-type solar drier was 50% shorter compared to traditional sun drying. 3. Red peppers appeared to have an increasing or constant-rate drying period until the weight of the product was reduced to about one half the initial weight, followed by a falling-rate drying period. When the dried red peppers were exposed to the atmospere during the night,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as much as 6%, which is much higher than for the grains. 4. It was suggested from the experiment that either a heat storage system or a supplemental heating system in the solar dryer was desirable for more efficient drying operation. 5. It was shown that the solar dryer developed in this study may be suitable for drying other vegetables and fishes, and also offered additional advantages of saving in drying time, maintaining sanitation and minimizing contamination by dust, insects and unfavorable weather condition.

  • PDF

말쥐치육(肉)의 건조특성(乾燥特性) (Drying Characteristics of Filefish Fillet)

  • 이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7-43
    • /
    • 1982
  • 말쥐치육(肉)의 건조속도(乾燥速度)는 열풍온도(熱風溫度)가 높을수록 열풍온도(熱風速度)가빠를수록 크다. 여러 가지 조건중(條件中) $70^{\circ}C$(상대습도 6%) 3m/sec에서는 재료(材料)가 과속건조(過速乾燥)로 인(因)하여 표면경화현상(表面硬化現象)이 현저하게 일어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온도가 낮고 풍속(風速)이 느린 경우는 평형함수율(平衡含水率)에 도달(到達)하는 건조시간(乾燥時間)이 길어져서 비능률적(非能率的)임을 알았다. 따라서 온도가 $60^{\circ}C$(상대습도 8%)이고 풍속(風速)이 3m/sec때는 표면경화현상(表面硬化現象)이 적은 상태에서 건조(乾燥)가 진행(進行)되어 평형함수율(平衡含水率)에 이르는 시간(時間)은 $70^{\circ}C$, 1m/sec때보다 2시간이나 빠르고 다른 조건(條件)보다는 월등히 짧고 함수율 20%(wet basis)에 이르는 시간은 1.5시간 정도(程度) 느리나, $70^{\circ}C$보다 유효(有效)라이신의 변화나 표면경화(表面硬化) 등(等) 품질변화(品質變化)가 적으므로 적절(適切)한 조건(條件)이라 할 수 있겠다. 또 식(式)에 의(依)하여 산출(算出)된 확산계수(擴散係數)로 계산한 건조(乾燥)시간과 실험(實驗)에서 나타난 건조시간(乾燥時間)이 일치(一致)됨을 알았다.

  • PDF

Drying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Fruit Leather

  • Lee, Gwi-Hyun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5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45
    • /
    • 2005
  • The effects of air temperature and sample thickness on drying kinetics of strawberry leather were investigated. The mathematical modeling was performed by using three thin-layer dying model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ample thickness (S1 = 1.8, S2 = 2.7, and S3 = 3.6mm) and air temperature (50, 60, 70, and 80$^{\circ}$C). All samples took place in the falling rate period. The values of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y, D$_{eff}$ varied from 2.40 to 12.1$^{\times}$10-9m$^{2}$/s depending on drying conditions. The values of activation energy, E$_{a}$ were 35.57, 33.14, and 30.46 KJ/mol for each sample of S1, S2, and S3. The two-term exponential model was found to satisfactorily describe the thin-layer drying kinetics of strawberry leather.

  • PDF

하이브리드 냉풍건조기 개발 (Development of the hybrid desiccant cooling dryer)

  • 최현웅;정광섭;이태호;박승태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6-241
    • /
    • 2009
  •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oling dryer, the mixed cooling dryer was developed by adding the desiccant dryer which supplement the cooling dryer's demerits. Also, the hybrid desiccant cooling dryer was developed to use effectively the exhaust heat energy of the cooling dryer. It could make a more that 20 percent reduction in energy compared with the mixed desiccant cooling dryer. It has become essential to supply this equipment and search the suitable drying product.

  • PDF

식품의 건조 및 수축특성에 관한 연구 - 1. 다시마 건조중의 수축현상 - (Drying and Shrinking Characteristics of Food 1. Shrinking Phenomena during Drying of Sea Tangle)

  • 조덕제;허종화;정수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5
    • /
    • 1988
  • 건제품으로 가공, 저장되고 있는 다시마는 조직이 연약하여 건조중 상당한 수축현상을 일으키는데 이의 기초적인 자료를 얻기 위하여 일정한 온도 $(50\%,\;10/^{\circ}C)$, 상대습도 $(30\%)$ 및 풍속 (0.4m/s)으로 열풍 건조를 행하여 가로와 세로의 길이변화, 표면적 수축변화 및 수축속도의 변화등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로수축이 세로수축보다 건조시간 90분까지 약2배 더 많이 수축하였다. 2) 다시마의 표면적 수축은 건조시간 90분까지는 직선적으로 나타났으며, 전건조과정에서 보인 2단계의 수축곡선은 건조속도곡선의 2단계와 잘 일치하였다. 3) 수축속도는 감률건조1단계에서 급속히 증가하여 감률건조2단계의 초기에 최대의 수축에 달하였다.

  • PDF

마이크로 컴퓨터 계측(計測)및 제어(制御) 시스템을 활용(活用)한 식품건조중(食品乾燥中) 자료(資料)의 수집(收集)과 제어(制御) (Data Acquisition and Control of Food Dehydration Process with Microcomputer System)

  • 최부돌;전재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0-205
    • /
    • 1987
  • 마이크로 컴퓨터 계측 및 제어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온도 및 무게를 자동(自動) 측정(測定)하고 on-off작동(作動)에 의한 온도 제어와 D/A변환기(變換機)를 부착(附着)한 접속장치(接續裝置)로 풍량을 필요에 따라 자동 제어할 수 있었다. 건조 실험에 관여하는 변수들의 기록과 분석을 컴퓨터화 함으로써 수분감량(水分減量)을 일일이 칭칭량법(稱量法)으로 측정하 는번거로움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더욱이 계측(計側) 과정에서 건조계(乾燥系)를 전혀 흐트려뜨리지 않게 함으로써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건조환경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었고 자료의 채취시간도 프로그램을 통하여 임의(任意)로 설정하여 조절(調節)할 수 있어 건조실험을 완전 자동화할 수 있었다. 또한 건조 진행중에 software적으로 풍속을 변화시켜 건조를 행한 결과 건조 초기에는 풍속이 건조속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나 건조 말기에는 영향이 적었다.

  • PDF

영암어라인의 품질에 대한 건조풍속의 영향 (Effect of Drying Air Velocity on the Quality of Salted and Dried Mullet Roe)

  • 조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03-508
    • /
    • 1991
  • 영암어란의 제조방버은 건조기간이 긴 자연건조법으로 제조조건에 따라서 품질이 다르고 저장중 산화, 변색 및 단백질의 열화가 일어나 품질이 저하하였다. 본연구는 좋은 품질의 영암어란을 제조하기 위한 조건들의 확립을 위하여 품속에 따른 구성아미노산 함량과 산가, 과산화물가, TBA가의 변화로 최적풍속을 찾고 특성곡선을 구하였다. 엄장농도 5%, 바르는 참기름량은 3.0g/day에서 양호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풍속으로 60% RH와 $20^{\circ}C$에서 2m/sec로 확정하였다. 영암어란의 제조에서 전통건조 방법의 건조기간은 20일이었으나 본 실험의 2m/sec 풍속에서 7일로 단축되었으며 이때의 건조특성곡선은 항율건조기가 없었고 감율건조기만 있었다.

  • PDF

유동층(流動層)에 의한 고체식품(固體食品)의 건조(乾燥) (Dehydration of Solid Food Material Immersed in Fluidized-Bed)

  • 유주현;이신영;변유량;양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98-403
    • /
    • 1978
  • 고체입자를 열매체로 유동화시킨 유동층내에서 오징어를 고정시켜 건조시킬 때 유동화입자, grid로 부터의 오징어 고정위치, 온도가 오징어의 건조속도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또한 감율건조기간중 수분의 이동 메카니즘을 추론하였다. 1) 유동화입자로는 식염이 가장 바람직했고 풍속 3.8 m/sec에서 최적 유동화상태를 얻었다. 2) 유동층내에서의 균일온도 분포는 grid로 부터 4 cm 이상거리에서 얻었으며 따라서 오징어의 고정위치는 이 거리 이상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3) 풍속 3.8m/sec, grid로부터 4 cm 이상되는 오징어의 고정위치에서 건조속도에 대한 최적온도는 $35^{\circ}C$에서 얻었으며 이 조건에서 초기수분 80.8%로 부터 최종수분 $18{\sim}22%$까지 건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8.5시 간 이었다. 4) 건조자료는 측정된 수분함량범위에서 비정상상태의 확산방정식 $ln{\frac{(W-We}{(Wc-We)}=-m{\theta}$의 경험식에 따랐으며 m의 값은 $0.32hr^{-1}$로 계산되었다. 또 이들 결과는 감율 건조기간중 수분의 이동이 액체확산에 의한 것임을 시사했다. 5) 오징어의 건조는 초기 짧은 시간 동안만 항율건조되고 그 이후는 감율건조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온도에서 동일잔존수분까지 건조시키는 데 소요되는 유동층건조에 대한 통기 열풍건조의 건조시간비율은 1 : 1.4였다. 6) 유동충건조된 오징어 제품은 시판 천일건조 오징어 제품과 비교하여 품질상 유의차가 없었다.

  • PDF

평면식(平面式) 태양열집열기(太陽熱集熱機)를 이용(利用)한 홍삼건조(紅蔘乾燥) (Drying of Red Ginseng by Flat-Plate Solar Collector)

  • 장규섭;김상달;홍순근;윤한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3호
    • /
    • pp.111-118
    • /
    • 1982
  • 밀폐식(密閉式)물 교환태양(交換太陽) 열집열건조장치(熱集熱乾燥裝置)를 이용(利用)하여 홍삼(紅蔘)을 건조(乾燥)할때의 집열효율(集熱?率), 건조효율(乾燥?率). 건조특성(乾燥特性) 및 제품(製品)의 품질(品質)을 각각(各各) 조사(調査)하였다. 건조기간(乾燥期間)은 태양열집열장치(太陽熱集熱裝置)를 이용(利用)한 것이 관행법(慣行法)보다 3분(分)의 1정도(程度)를 더 단축(短縮)할 수 있었다. 건조기간중집열기(乾燥期間中集熱機)의 최대효율(最大?率)은 14.42% 최저효율(最低?率)은 4.73%였고 건조효율(乾燥?率)은 집열장치(集熱裝置)를 이용(利用)한 것이 28.34%, 대조구(對照區)가 13.45%로서 순수건조효율(純粹乾燥?率)은 14.89%이었다. 홍삼(紅蔘)의 건조율곡석(乾燥率曲線)은 감율건조기(減率乾燥期)만을 나타내었으며, 이때의 식(式)은 $Y=50.7023t^{-0.4138}$이었다. 건조홍삼(乾燥紅蔘)의 색도(色度)는 관행법(慣行法)과 비교(比較)하여 더 높았으며, diphenyl picryl hydrazyl 환원능(還元能)도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