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l-of-Potential Method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1초

배전계통에 사용되는 봉형 접지전극의 접지 특성 분석 (Grounding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Rod-Type Grounding Electrodes used for Electric Distribution Systems)

  • 김경철;정지원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49-56
    • /
    • 2011
  • Grounding system insures a reference potential point for electric devices and also provides a low impedance path for fault currents or transient currents in the earth. The ground impedance as function of frequency is necessary for determining its performance since fault currents could contain a wide range of frequencies. In this paper, the grounding resistance, grounding impedance and transient grounding impedance are measured by using 3-point fall-of-potential method in order to analyse grounding characteristics of the copper and concrete rod grounding electrodes. An equivalent transfer function model of the ground impedance and transient grounding impedance are identified from the measured values by using ARMA method and evaluated by comparing the conventional grounding impedance.

현장시험에 의한 독립접지 시스템의 전위간섭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tential Interference Analysis in the Isolated Grounding System by Field Tests)

  • 김경철;최종기;백승현;박상영;김종욱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45-151
    • /
    • 2004
  • 독립접지는 개별적으로 접지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접지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한정된 부지 내에 많은 접지극이 존재하면 전위간섭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간섭 전위를 계산하기 위한 간략식을 사례연구 접지 시스템에 적용하여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제안 하였다.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제안식에서 얻은 결과와 CDEGS 프로그램으로 구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전위강하법에 의한 접지저항측정에 미치는 전위보조전극 위치의 영향 (Effects of the Position of Potential Probe on Ground Resistance Measurements Using the Fall-of-Potential Method)

  • 이복희;어주홍;김성원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7-10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전위강하법에 의한 접지저항 측정시 전위보조전극 위치의 영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전위강하법에서 접지저항은 이론적으로 전위보조전극을 피측정 접지전극과 전류보조전극이 이루는 일직선상에 위치시킬때 61.8[%]법칙을 적용하여 측정한다. 하지만 측정현장의 사정상 전위보조전극의 위치를 피측정 접지전극과 전류 보조전극이 이루는 일직선과 어느 정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시설하여 접지저항을 측정하게 될 경우에 측정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보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의 측정대상 전극은 길이 2.4 [m]의 봉형 접지전극으로 하였으며, 피측정 접지전극, 전위보조전극, 전류보조전극이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은 상태에서 접지저항을 측정하면 측정값은 항상 (-)의 오차를 나타내었고, 이들 전극이 이루는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측정 오차도 증가하였다.

  • PDF

대규모 접지전극 망의 접지성능 평가를 위한 겉보기저항곡선의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Technique of Fall-Of-Potential Curve for Ground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a Large Grounding Electrode Network)

  • 최종기;유희영;이동일;정길조;김경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9-54
    • /
    • 2005
  • 접지저항의 측정은 접지극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며, 여러 측정방법 중 전위강하 법은 대형 접지극의 저항측정에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접지극의 크기에 비례하여 측정선 길이도 길어져야 하므로, 대규모 접지전각의 경우 현장여건상 충분한 길이의 측정선을 펼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개의 접지망이 상호 연결되어 대규모의 접지극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어 충분한 길이의 전위강하법 측정선을 펼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경우에 전위강하법 측정결과의 해석방법을 제시한다. 사례연구로서 상부댐 접지극과 약 2(km) 떨어져 있는 스위치야드 접지극이 상호 연결된 대형 접지극망에서 전위강하법 측정곡선 및 해석사례를 기술하였다.

회로모델을 이용한 봉상전극 접지임피던스의 분석 (Analysis of Ground Impedance of a Ground Rod Using Circuit Models)

  • 이복희;이태형;엄주홍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5-99
    • /
    • 2004
  • A systematic approach of measurement, modeling and analysis of grounding system impedance in the field of lightning protection systems is presented.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ground impedance are based on a computer aided technique. The magnitude and phase of ground impedance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the modified fall-of-potential method and the proposed computer program algerian using the waveforms of the test current and potential rise. The theoretical analysis of ground impedance were performed with the equivalent circuit models, and the theoretic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 PDF

토양의 지중방전에 따른 소형 침봉전극의 과도접지임피던스 (Transient Ground Impedance of Small-sized Needle-rod Electrodes due to Underground Soil Discharge)

  • 이태형;조성철;엄주홍;이복희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1-215
    • /
    • 2008
  •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nsient ground impedance of small-sized needle-rod installed in a test field, Impulse voltage generator was used to inject lightning impulse on a ground electrode and modified fall-of potential method was proposed to measure the high ground potential rise. Transient ground impedance was analysed with impedance curve and I-V curve as respects the resistivity of soil. Soil ionization near the ground electrode is activated in high resistivity soil and have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transient ground impedance significantly.

  • PDF

측정선의 상호유도작용이 접지임피던스의 측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tual Coupling Between Test Leads on Ground Impedance Measurement)

  • 이복희;엄주홍;조성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71-74
    • /
    • 2003
  • Fall-of-potential method is used usually to measure the ground impedance of large scale grounding system exactly. Because the interlinked magnetic flux between closed loops to inject test current and to measure potential rise is existed in E-P-C straight line arrangement, mutual(or inductive) coupling influences greatly on the measurement correctness. Measurement errors produced from inductive coupling could be reduced by the arrangement methods of auxiliary electrodes. Right angle or P-E-C order arrangement methods were effective to reduce the inductive coupling and the decrease degree of measurement error was analysed as quantitative through an experiment.

  • PDF

전위 전극의 위치 변화에 따른 전위 강하 접지 저항 측정 방법의 에러율 분석 (Analysis on the Error rate of Measurement Method for Fall-of-Potential Earth Resistance Using the Deviated Potential Probe Positioning)

  • 한만대;최문환;이상무;조평동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5-417
    • /
    • 2009
  • 3점 전위 강하법을 이용하여 접지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접지 전극과 전류 전극 그리고 전위 전극의 이격 거리 영향 관계에 따라 그 정확성이 결정된다. 하지만 실체 접지 시설을 요하는 현장에서 접지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려워 각 전극들의 정확한 위치 선정이 여의치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위 전극의 이탈 범위와 접지 전극으로부터의 이격 거리에 따른 접지 저항 값의 오차를 측정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해 통상적인 접지 저항 측정 방법에 의한 측정값과의 오차 범위를 분석해본다.

  • PDF

변전소 접지설계를 위한 대지저항율 측정시 전극간 최대간격이 접지해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ximum Probe Spacing of Soil Resistivity Survery on Substation Grounding Analysis)

  • 정길조;곽희로;최종기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50권8호
    • /
    • pp.382-386
    • /
    • 2001
  • Presently, typical maximum probe spacing of soil resistivity survey(Wenners 4 pin method) is 20 m in case of 154 K substation grounding design of KEPCO.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s of maximum probe spacing of wenner method on the equivalent soil modeling and the accuracy of grounding resistance measurement by comparing the calculated FOP(Fall-of-Potential) curves of various soil models with the measured one at 154kV H substation.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 inaccurate estimation of deep soil resistivity, which is caused from the short probe spacing of soil resistivity survey, can produce large errors on measurement of grounding resistance. In this paper a quantitative analysis of FOP at H substation has been presented.

  • PDF

변이율을 활용한 접지저항 측정 기술 (Ground Resistance Measurement Technology Utilizing the Variation Rate)

  • 이상무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1-56
    • /
    • 2005
  • 접지의 성능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인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것은 성능평가를 위한 중요한 기술이 된다. 접지저항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는 측정 환경상 고려하여야 할 주요한 변수들이 있는데 실제의 측정 현장에서 이러한 변수들을 알고 측정하기는 곤란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3점전위강하법상의 전류전극에 이르기까지 나타나는 전위차 특성 곡선에 대하여 측정 환경 변수의 특성을 내포하고 있는 변이율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미지의 측정 환경 변수중에서도 가능한 접지저항의 참값에 근접한 측정을 지향하는 방법을 제의한 것이다. 이 이론은 이미 기검증된 논문들의 결과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귀납적인 결론을 유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