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gopyrum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 메밀의 성분 (Composition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Cultivars from Korea)

  • 심태흠;이혁화;이상영;최용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59-1266
    • /
    • 1998
  • 메밀의 품종간 성분함량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13 종(개량종, 6종; 재래종, 7종)의 메밀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메밀의 주요아미노산은 glutamate, arginine, asparagine이였으며, 이에 비하여 tryptophan, cysteine, methionine은 낮은 함량을 보였다. 메밀의 아미노산 조성중 tryptophan 함량은 195 mg%였다. Rutin 함량은 개량품종에서 높았으며, quercetin의 함량은 낮았다. Phytic acid 함량은 $7.0{\sim}13.6\;mg/g$수준이었으며, ascorbic acid의 평균함량은 5.4 mg%이었다. 메밀중 함유된 tocopherol의 평균함량은 6.84 mg%이었으며, 이중 ${\gamma}$-형(6.16 mg%)이 주요한 동족체로 존재한 반면, ${\beta}$-형은 없거나 매우 낮았다. 여러 미량원소중에서 특히 철은 품종간 커다란 함량차이를 나타내었다. 메밀 총단백질을 분석한 SDS-PAGE 전기영동은 메밀품종간 유사한 단백질패턴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분석한 13개의 시료중 품질면에서 수원 1호가 우수한 품종임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화분분석에 기초한 후빙기 영종도의 환경변화 (Reconstruction of Post-Glacial Environmental Changes in Yeongjong-do Island Based on Palynological Evidences)

  • 박지훈;박경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3-185
    • /
    • 2012
  • 인천 영종도 남부 해안충적평야의 퇴적층을 대상으로 화분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료채취 지점(해발고도 7.2m)은 현재 냉온대 중부 낙엽활엽수림대에 속한다. 화분분석에 의해 밝혀진 조사지역 일대의 약 8,900yrBP 이후의 후빙기 환경변화는 다음과 같다. JS-I기(약 8,900~8,500yrB.P.)는 Pinus와 Quercus가 우점하고 일부 Abies와 Picea가 포함된 냉온대 북부의 침활혼효림 시대로서 후빙기 초기의 화분대인 RI대에 대비된다. 이 시대는 현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랭 건조 했다. JS-II기(약 8,500~4,000yrB.P. 어느 시기)는 Pinus가 우점하는 침엽수림시대로서 후빙기 중기 화분대인 RII대에 대비된다. JS-III기(약 4,000yrB.P.경)는 Pinus, Quercus 및 Carpinus가 우점하는 침활혼합림 시대이다. JS-II기와 JS-III기는 JS-I기 보다 상대적으로 온난 습윤했으며, 현재의 기후환경과 유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JS-IV기(약 4,000~900yrBP의 어느 시기)는 Pinus가 우점하는 침엽수림시대로서 후빙기 후기 화분대(RIII) 중에서 RIIIa에 대비된다. JS-V기(약 900yrB.P.~현재)는 2차림인 Pinus가 우점하는 침엽수림시대이다. 이 시대는 수목화분보다 초본화분의 출현율이 높고, 초본류 중에서 Fagopyrum 화분이 연속적으로 출현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인간간섭대인 RIIIb에 대비된다. JS-V기부터 조사지역 일대의 거주민들은 본격적인 농경생활을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메밀화분의 성분 특성 및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Pollen Grain Collected by Honey Bee, Apis mellifera)

  • 홍인표;우순옥;한상미;이미경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1-268
    • /
    • 2017
  • 벌화분은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한 완전식품으로 알려져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봄철에 도토리화분과 다래화분 등 몇 종의 화분만 수집되어 생산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 및 기호식품으로 재배면적이 계속 증가하는 메밀 화분을 가을 화분원으로 개발하고자 영양성분, 비타민, 미량원소, 항산화활성, 유리 아미노산 등을 평가하였다. 메밀화분의 일반성분은 수분 9.75%, 회분 5.18%, 조단백질 14.43%, 조지방 5.67%였다. 메밀화분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등의 아미노산의 함량이 주로 분포하였으며, tryptophan, cystine, tyrosine 등은 소량 존재하였다. 비타민 함량은 C 13.74mg/100g, $B_3$ 6.62mg/100g, $B_1$ 1.26mg/100g, $B_2$ 0.53mg/100g 순으로 존재하였다. 미량원소 함량은 칼륨(K) 119.95mg/100g과 인(P) 962.77mg/100g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구리(Cu)와 아연(Zn)은 각각 0.46mg/100g, 1.59mg/100g으로 소량 존재하였다. 메밀화분의 DPPH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500{\mu}g/ml$ 에서 8.1%이었으며, 총페놀함량은 mg당 $2.25{\mu}g$이었다. 메밀화분은 조단백질, 조지방 등 영양성분이 모두 존재하였으며, 아미노산도 필수아미노산 8종을 포함하여 18종의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존재하였다. 또한 비타민도 C, $B_3$, $B_1$, $B_2$ 분포하였으며, 항산화 활성도 우수하여 가을 화분원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과 강원지역 농업생태계에서 여름철 화분매개네트워크 다양성과 상호작용 (Diversity and Interaction of Pollination Network from Agricultural Ecosystems during Summer)

  • 손민웅;정성민;정철의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7-206
    • /
    • 2019
  • 여름철 경북과 강원지역 농업생태계의 화분매개네트워크를 조사한 결과 총 2,381개의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식물 14목 17과 28속 30종에 대해 화분매개자는 4목 52과 129속 154종이 나타났다. 전체 화분매개자 중 양봉꿀벌이 50% 이상 우점하고 있었고 도라지, 들깨, 메밀 등이 식물 종 중에서 가장 많은 참여빈도수를 보였다. 화분매개자 다양성은 딱정벌레 분류군이 34%로 가장 높았으나, 상호작용 참여빈도수는 벌목이 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딱정벌레목과 파리목에서 루드베키아를 선호하는 것이 공통적으로 나타났고, 벌목과 나비목에서는 도라지를 가장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딱정벌레목을 제외한 벌목, 파리목, 나비목에서는 도라지를 선호하는 것이 공통점으로 나타났다. 모듈화는 9개의 집단이 나타났으며, 양봉꿀벌이 모듈 간의 연결에 영향을 주는 주요 허브종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로 여름철 경북과 강원지역 농업생태계화분매개네트워크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고, 화분매개자들의 주요 선호도와, 우점 종들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작물별 필요 화분매개자를 확인할 수 있고, 화분매개서식처 조성을 통한 화분매개자 보호 증식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가공 및 추출 방법에 따른 일반메밀차와 쓴메밀차의 루틴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rutin cont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a products from common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and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by different processing and brewing methods)

  • 김수정;손황배;남정환;이종남;장동칠;김율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85-195
    • /
    • 2022
  • 메밀의 식품가공기술 개발을 통해 이용성을 확대하고 새로운 소비수요를 창출하고자 일반메밀과 쓴메밀을 대상으로 가공단계 및 추출방법에 따른 메밀 볶음차의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메밀의 원료, 탈피, 찌기 및 볶음 단계의 루틴 함량은 21.6, 17.8, 9.8 및 6.8 mg/100 g으로 차 가공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쓴메밀의 원료, 찌기, 탈피 및 볶음 과정의 루틴 함량은 1,679.9, 1,044.2, 703.1 및 834.5 mg/100 g으로 감소하였으나, 퀘세틴 함량은 0, 12.3, 36.0 및 32.3 mg/100 g으로 가공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메밀차는 메밀의 종류, 제형 및 추출방법에 따라 루틴 함량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루틴 함량은 일반메밀차보다 쓴메밀차에서 평균 61배 높았다. 관능평가 결과를 종합하면, 쓴메밀차의 제형별 비교에서는 알곡보다 분말이 우림색, 풍미, 구수한 맛, 단맛 및 선호도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특히, 루틴은 퀘세틴이나 쓴맛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쓴메밀 품종인 '황금미소'를 대상으로 쓴맛을 최대한 줄이면서 루틴 함량이 높은 메밀차 제조를 위해 볶음 과정의 열처리 조건을 70-80℃에서 2-3분으로 확립하였다. 루틴 함량이 많은 메밀차를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핸드드립으로 추출한 방법이 적합하며, 쓴맛이 적고 달콤한 맛과 풍미가 좋은 메밀차를 원할 경우 침출식 콜드브루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온도 및 일장처리가 쓴메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the growth of tatary buckwheat(Fagopyrum tataricum))

  • 윤진영;장광진;박종인;배원호;박철호;박병재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6권1호
    • /
    • pp.41-49
    • /
    • 2004
  • 쓴메밀의 종자의 발아율은 발아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며, 초장은 30℃에서 가장 좋은 생육을 보이고 그 다음으로 25℃>20℃>15℃ 순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초장의 생육이 왕성하였다. 온도처리에 따른 쓴메밀의 초장은 25℃>20℃>15℃>30℃ 순으로 좋았으며, 엽수도 20℃ 및 25℃에서 15℃ 및 30℃ 보다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장처리에서 16시간 처리구를 제외하면 일장이 길어질수록 초장, 엽수 및 건물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루틴함량과 일장에 대한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쓴메밀은 초장, 엽수, 분지수 및 경직경 등의 지상부 생육이 단메밀의 생육에 비해 왕성하였다. 특히 엽수에서 단메밀이 62.3에 비해 174.1로 약 2.8배 높았으며, 개체당 종실의 수량은 약 5.4배, 종실무게는 2.1배로 큰 폭의 차이 나타냈다. 루틴함량에서 쓴메밀과 단메밀의 잎은 줄기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단메밀의 경우는 잎>쓸기>종실 순의 함량을 보이나, 쓴메밀의 경우 잎>종실>줄기 순을 나타내며, 쓴메밀 종실의 루틴함량이 1469.8로 단메밀의 22.6보다 약 60배 이상 높게 함유되어 있다.

A Duplex PCR Assay for Differentiating Native Common Buckwheat and Tartarian Buckwheat, and Its Application for the Rapid Detection of Buckwheat Ingredients in Food

  • Jeon, Young-Jun;Hong, Kwang-W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357-361
    • /
    • 2008
  • One of the major allergenic proteins in common buckwheat (Fagopyrum elculentum) was found to be a BW10KD. In this work, allergenic BW10KD genomic DNAs from the native common buckwheat 'Pyeongchang' and Tartarian buckwheat 'Clfa47' were clo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their nucleotide sequences were determined. In addition, a novel PCR assay targeting the allergenic BW10KD gene was developed to detect and differentiate both buckwheat species in food.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BW10KD genomic DNA from 'Pyeongchang' and 'Clfa47' were 94% identical. Base differences in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BW10KD genes are probably useful as a molecular marker for species-specific identification. The 'Pyeongchang'-specific primer set 154PF/400PR and the 'Clfa47'-specific primer set 154DF/253DR generated 247 and 100 bp fragments in singleplex PCR, respectively. A duplex PCR assay with 2 species-specific primer sets simultaneously differentiated the 'Pyeongchang' and 'Clfa47' in a single reaction. The PCR assay also successfully allowed for the rapid detection of buckwheat ingredients in foods.

A Process for Preventing Enzymatic Degradation of Rutin in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Gaertn) Flour

  • Li, Dan;Li, Xiaolei;Ding, Xiaolin;Park, Kwan-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118-122
    • /
    • 2008
  • The use of tartary buckwheat flour as a source of dietary rutin has been limited because of the enzymatic degradation of rutin during the dough-making process, which results in a bitter taste. A variety of pretreatment regimes, including heating, steaming, boiling, and extruding, were evaluated in relation to the inactivation of the rutin-degrading enzyme responsible for rutin loss and color change during dough-making. Steaming (120 see), boiling (90 see) buckwheat grains, or extruding (180 rpm/min at $140^{\circ}C$) the flour resulted in the retention of >85% of the original rutin and eliminated the bitter taste in the hydrated flours. In contrast, dry heating at $140^{\circ}C$ for 9 min or microwaving at 2,450 MHz for 3 min did not reduce the rutin loss, and the bitter taste remained. Unlike in the flour, the rutin degradation in water-soaked grains was insignificant at room temperature. Moreover, the samples treated by steaming, boiling, or extrusion were darker and more reddish in color.

꼬마선충에서 메밀 추출물에 의한 산화성 스트레스 저항성 증가 및 수명 연장 효과 (Buckwheat Extract Increases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and Lifespan in Caenorhabditis elegans)

  • 김철규;박상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
    • /
    • 2013
  •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has been known for having strong anti-oxidant, anti-mutagenic,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The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also known as the oxidative stress theory of aging, claims that cellular oxidative damage accumulated with time is a major causal factor of aging.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uckwheat extracts on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and aging using Caenorhabditis elegans as a model system. Survival under an oxidative-stress condition induced by paraquat increased markedly following 500mg/L buckwheat extracts treatment, suggesting lower cellular oxidative damage by buckwheat extracts. A lifespan assay also revealed that treatment of buckwheat extracts significantly extended both the mean and maximum lifespan in C. elegans. Interestingly, this lifespan-extension by buckwheat extracts was not accompanied by reduced fert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uckwheat extracts can confer longevity phenotype to C. elegans through its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nd support the aging theory which emphasizes a pivotal role of oxidative stress during aging.

식물엽의 ATP함량에 미치는 Pb과정 및 P결핍의 영향 (Effects of Pb-Surplus and P-Deficiency on ATP Content in Plant Leaves)

  • 성민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3권2호
    • /
    • pp.37-44
    • /
    • 1980
  • Kidneybean(Phaseolus vulgaris L.) and buckwheat(Fagopyrum esculentum M nch) seedlings grown with Hoagland solution to a height of 7 to 10 cm in the earthen pot containing sand were used for experimental plants. One group of the experimental plants was irrigated with Hoagland solution composed of various Pb-concentratons of 0 to 1000ppm containing 30ppm, and the other group was irrigated with Hoagland solution composed of various P-concentrations of 0 to 1,000ppm containing 30ppm Pb for a month during June and July in 1979. By Pb-surplus over 100ppm, the margins of buckwheat were curled down and turned into yellow-brown chlorosis, but the leaves of kidneybean were become dark-green at an early stage, and then developed chlorosis, finally shedded earlier than the control. Pb-toxicity was similar to the symptoms of P-deficiency. The ratio, 3/1 of chlorophyll a/b at an early stage, was unaffected by Pb-surplus or P-deficiency, but at the later stage it was altered. ATP content with Pb-surplus of 100ppm was decreased by 69% in kidneybean leaves and by 38% in buckwheat leaves, and it with P-deficiency was decreased by 75% in kidneybean leaves and by 43% in buckwheat leaves. In the assay of ATP content of the leaves at intervals of three hours for one day of July in the year, the rhythms of ATP level were unaffected by light or temperature although the amplitude of the level was modified. The rhythms of Pb-surplus and P-deficiency plants were observed at the lower range of ATP content than that of contr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