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tors Influencing Collaboratio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동료의 지지가 환자 돌봄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Nurses' Psycho-social Health and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on Patient Caring Ability)

  • 이지윤;박소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61-47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nurses' psycho-social health and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on patient caring ability.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an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22 nurses from 3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AS 9.4 program. Results: Total mean score for psychosocial health was $3.15{\pm}0.57$, for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3.43{\pm}0.55$, and for caring ability, $4.04{\pm}0.53$. Psychosocial health,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and married statu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patient caring ability.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psychosocial health and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are related to patient caring ability, and thus, to improve nurses' caring ability for patient and for self, it is important to create a work environment that keeps nurses healthy and promotes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Application of AI in Marketing Strategy: Insights from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 Yooncheong CHO
    • 융합경영연구
    • /
    • 제12권1호
    • /
    • pp.29-38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regarding AI applications in marketing, an area that has been rarely explored in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formulated research questions how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perceive the impact of brand image, AI-assistant customer service, affective factor, immersive experience, cognitive factor social factor and competitiveness of products and brands on overall attitude through the lens of AI applications in marketing.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influence of overall attitudes on satisfaction, intention to use, and loyalty towards AI applica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gather data, this study employed an online survey conducted in collaboration with a reputable research organization. This study utilized factor analysi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impact of brand image, AI-assistant customer service, and competitiveness on attitude demonstrated significance in both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cohorts. The study identified that cognitive and social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attitudes among millennials, whereas affective and immersive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ce in influencing attitudes among Generation Z. Conclusions: The findings offer valuable managerial implications, shedding light on the application of AI in marketing with distinct perspectives between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지방자치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Social Media Use in Local Government)

  • 노재인;채드 앤더슨;서진완
    • 정보화정책
    • /
    • 제26권3호
    • /
    • pp.36-52
    • /
    • 2019
  • 최근 공공기관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지방정부에서 소셜미디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소셜미디어 사용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정부들은 소셜미디어에 사용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지만 실제 활용에서는 일관된 모습을 확인하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활용 현황을 확인하고 활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판단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서 2015년 조사한 설문조사 결과와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페이스북 활용 현황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지방자치단체는 대부분 홍보 목적으로 페이스북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이 페이스북을 잘 활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실제 활용에는 지방자치단체마다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이렇게 지방자치단체의 활용에 차이를 가져오는 영향요인은 인구, 재정자립도, 단위, 전담 조직, 연령, 그리고 소셜미디어 활용 목적이 소통 및 의견수렴일 경우 로 확인되었다.

국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약물요법 패턴 및 지속성 (Patterns and Persistence of Pharmaco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South Korea)

  • 이경은;제남경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6-223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reatment persistenc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adherence to ADHD pharmacotherapy. Methods: The study included patients between 6 and 18 years of age with ADHD who were taking various formulations of methylphenidate and atomoxetine on June 1, 2014. Patients were dichotomized as "persistent" or "non-persistent", depending on whether they continued ADHD therapy for 6 months (therapy persistence). We also investigated if the patients were taking the same medication(s) as before and also classified the patients as "medication persistent" or "non-persistent". Patient' characteristics were correlated with therapy persistence and medication persistenc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assess potential risk factors for treatment persistence. Results: Overall, 3,317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 majority of patients were taking stimulants (82.0%), 16.2% were taking non-stimulants and 1.8% were taking a combination therapy of stimulants and non-stimulants. After 6 months, 2,290 patients (69.0%) continued to take medication for ADHD with 1,953 patients taking the same medication(s) as 6 months previously. Common positive factors for therapy persistence and medication persistence were identified as younger age,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elay, and long-acting formulations of methylphenidate as either monotherapy or in a combination therapy may be used. Conclusion: ADHD medications were proven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Collaboration between patients, parents, school staffs, and prescribers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sistent use of ADHD medications.

건축공사 현장 조직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of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Field Organizations)

  • 안성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1-167
    • /
    • 2016
  • 건축공사 현장 조직의 협업 능력이 현장 조직 관리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현장 조직의 협업은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관련이 있어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키면 조직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건축공사 현장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공사 현장 조직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현장소장 리더십이 개인적 배려와 이상적 영향 특성을 가지고 있을 때, 현장 조직문화가 합의문화 특성을 가지고 있을 때 커뮤니케이션이 더 잘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건축공사 현장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켜 조직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국 이공계 대학교수 지식이전 경로의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the Knowledge-Transfer Channel of the Korean Academics Engag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 권기석;박문수
    • 정보화연구
    • /
    • 제9권3호
    • /
    • pp.287-301
    • /
    • 2012
  • 본 연구는 Nonaka(1999)의 지식이전 경로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이공계 대학 교수의 기업 지식이전 경로(특히, 공식 비공식 경로)에 그들의 인적, 환경적 특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따라 56개 이공계 대학 2만여 명의 교수에 지식이전 경로에 대한 설문이 실시되었으며, 그 응답을 바탕으로 경험적 분석이 이루어 졌다. 분석을 통해 한국대학의 지식이전이 어떤 경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학교수의 인적, 연구역량, 환경적 특성 중 어떤 특성과 관련을 맺고 있는지 밝혀냈다. 특히, 비공식 경로에서 공식경로로 전환될 때(암묵지에서 형식지로의 전환) 교수의 어떤 특성이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형식지로 전환될 때 많은 지식수요자에 통용되기 위한 표출화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대학교수의 인적 특성에서 남성이고, 경력이 길고, 응용성이 강한 분야를 전공인 경우 혹은 큰 실험실에 근무하는 교수일수록 공식 경로로의 전환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았다. 특히, 특허 수로 측정된 응용적 연구역량은 공식적 경로의 참여에 중요한 요소인 반면, 논문 수로 측정된 과학적 연구역량은 유의미하지 않거나 부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정부의제의 국민참여를 통한 정책화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y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 이향수;이성훈;정용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45-5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한 대표적인 국민참여 플랫폼인 '광화문 1번가'가 출범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기간 동안의 다양한 국민참여 과정을 분석하여 국민참여 플랫폼의 실질적인 운영 및 성과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민참여를 통한 정책화 과정을 성공적으로 유도할 수 있었던 영향요인은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국민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온라인 참여 채널을 다양화 하였다. 둘째, 국민참여를 독려하고 확대를 위해 대국민 아디이어 공모 및 국민심사에 대한 보상을 시행하였다는 점 역시 중요하다. 셋째, 국민들의 아이디어를 세련화하고 정제하기 위하여 전문가 등의 참여를 독려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정부가 지속적으로 국민참여를 통한 정책화 과정을 유도하는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향후 국민참여를 통한 정책화를 위한 성공요인을 도출함에 있어서 계량적인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국민참여과정, 온라인채널을 통한 의사소통, 전문가와의 협업 등의 영향요인들이 국민참여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증명하는 연구를 후속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인공지능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 및 의사결정자의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Decision Making : Focusing on Human-AI Collaboration and Decision-Maker's Personality Trait)

  • 이정선;서보밀;권영옥
    • 지능정보연구
    • /
    • 제27권3호
    • /
    • pp.231-252
    • /
    • 2021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미래를 가장 크게 변화시킬 핵심 동력으로 산업 전반과 개인의 일상생활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무엇보다 활용 가능한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더 많은 기업과 개인들이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의사결정에 활용하고 있다. 인공지능에 관한 기존 연구는 모방 가능한 업무의 자동화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인간을 배제한 자동화는 장점 못지않게 알고리즘 편향(Algorithms bias)으로 발생되는 오류나 자율성(Autonomy)의 한계점, 그리고 일자리 대체 등 사회적 부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들어, 인간지능의 강화를 위한 증강 지능 (Augmented intelligence)으로서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에 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기업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의사결정을 위해 조언(Advice)을 제공하는 조언자의 유형을 인간, 인공지능, 그리고 인간과 인공지능 협업의 세 가지로 나누고, 조언자의 유형과 의사결정자의 성격 특성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311명의 실험자를 대상으로 사진 속 얼굴을 보고 나이를 예측하는 업무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의사결정자가 조언활용을 하려면 먼저 조언의 유용성을 높게 인지하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결정자의 성격 특성이 조언자 유형별로 조언의 유용성을 인지하고 조언을 활용하는 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 형태인 경우 의사결정자의 성격 특성에 무관하게 조언의 유용성을 더 높게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조언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단독으로 활용될 경우에는 성격 특성 중 성실성과 외향성이 강하고 신경증이 낮은 의사결정자가 조언의 유용성을 더 높게 인지하고 조언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의 역할을 의사결정과 판단(Decision Making and Judgment) 연구 분야의 조언자의 역할로 보고 관련 연구를 확장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기업이 인공지능 활용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였다는데 실무적 의의가 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환자 의료 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과 수행 (Perception and Performance about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in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 최선영;임도연;고일선;문인오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3-9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erception, performance, and the related factors of performance in regards to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mong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Methods: Four hundred twelve subjects from three colleges located in Jeonbuk and Kyungbuk province consented to participat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28 to December 15, 2012. To assess perception and performance in regards to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as used. Data was analyzed via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score of perception and performance about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were 4.07 and 3.56, respectively. All item's scores of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perception. The perception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cognition of hospital ethics code (t=1.95, p=.052), and recognition of association ethics code (t=2.88, p=.004). The performance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t=-3.32, p=001), major (F=14.41, p<.001), clinical practicum hospitals (F=8.22, p<.001), and method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access (F=3.23, p=.023). The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were perception(${\beta}=.46$, p<.001),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beta}=-.36$, p<.001), and gender(${\beta}=.09$, p=.033).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in regards to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of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we should develop ethical education programs and standardize them through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기업-정부출연(연) 간 협력과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Industry-Public Research Institutes Cooperation and Firm Performance in Korea)

  • 황경연;성을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3호
    • /
    • pp.147-171
    • /
    • 2018
  • 본 연구는 기업과 정부출연(연)간 산연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산연협력이 기업의 기술적 성과 및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 산학간, 산연간, 산산간 및 산학연간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산연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연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정된 요인은 정부출연(연)의 역량, 기업의 연구개발역량과 조직적 특성 그리고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다. 한편, 기존 연구에 기초하여 산연협력 영향 요인, 산연협력, 기업의 기술적 성과 및 기업의 경제적 성과간 구조적 관계를 7개의 가설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산연협력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116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가설검정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방법으로는 PLS-MGA가 사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에서 정부출연(연)의 역량, 기업의 조직적 특성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산연협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연협력은 기업의 기술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기술적 성과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의 연구개발역량이 산연협력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과 정부출연(연)간 산연협력이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산연협력과 경제적 성과간의 관계에서 기술적 성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과 정부출연(연)간 협력을 활성화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